나무들/유실수

겨우살이

지리산자연인 2007. 2. 14. 11:30
겨우살이 장터엣 퍼 온글 입니다,,



 


   circle01_black.gif 한국산 겨우살이류의 차이점.

구분

겨우살이

붉은
겨우살이

동백나무
겨우살이

참나무
겨우살이

꼬리
겨우살이

나무성질
성숙잎 유무
열매빛깔
분포특성
암수꽃 성질
암수술 성
잎의 길이
잎의 털
꽃피는 시기
꽃덮이 빛깔
열매모양
열매길이

늘푸름
존재
연한 노란빛
전국
암수딴그루
단성화
3∼8cm
없음
3월
연한 노란빛
둥근꼴
6∼7mm

늘푸름
존재
붉은빛
중남부
암수딴그루
단성화
3∼8cm
없음
3월
연한 노란빛
둥근꼴
6∼7mm

늘푸름
퇴화
짙은 노란빛
남부
암수한그루
단성화
퇴화 비늘조각
없음
5∼8월
황록색
넓은길둥근꼴
2∼3mm

늘푸름
존재
적갈색 노란빛
제주도
암수한그루
양성화
3∼10cm
있음
9∼10월
짙은 보랏빛
넓은길둥근꼴
4∼5mm

갈잎
존재
밝은 노란빛
강원도
암수한그루
양성화
2∼4cm
없음
6∼7월
누런빛
달걀꼴
5∼6mm

* 겨우살이는 전체적인 모양이 새의 둥지처럼 보이며, 주로 갈잎나무(낙엽수)의 살아있는 참나무류, 버드나무, 벚나무, 전나무, 소나무, 팽나무, 물오리나무류, 밤나무, 자작나무 등에 붙어서 자란다.

* 붉은 겨우살이는 겨우살이와 같은 속(屬)의 나무로 열매가 붉은빛으로 익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주로 갈잎나무(낙엽수)의 살아있는 참나무류, 팽나무, 물오리나무류, 밤나무, 자작나무 등에 붙어서 자란다.

* 동백나무 겨우살이는 퇴화하지 않았을 때의 잎이 동백나무의 잎과 비슷하거나 또한 주로 동백나무의 줄기 또는 가지에 붙어 겨우 살아간다고하여 명명되었으며, 주로 늘푸른나무(상록수)의 광나무, 사철나무, 감탕나무,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생달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꽝꽝나무, 참나무류 등에 붙어서 자란다.

* 참나무 겨우살이는 주로 참나무류에 붙어서 겨우 살아간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고, 주로 늘푸른나무(상록수)의 광나무, 녹나무, 감탕나무,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생달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꽝꽝나무, 참나무류 등에 붙어서 자란다.

* 꼬리 겨우살이는 꽃과 열매가 꼬리처럼 달린다고 해서 명명되었고, 다른 겨우살이류와 달리 겨울에 잎이 모두 떨어지며, 주로 갈잎나무(낙엽수)의 살아있는 참나무류, 벚나무, 팽나무, 물오리나무류, 밤나무, 자작나무 등에 붙어서 자란다.


  • 어쩌면 일반인들이 겨우살이를 고르기란 거의 불가능한지도 모르겠습니다.
    겨우살이의 빛깔은 채취시기와 건조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뿐만아니라 같은 숙주나무에서 채취된 겨우살이조차 그 빛깔이 다른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게다가 이미 중국산도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 겨우살이는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서로 자신들이 사는 고장의 겨우살이가 최고라고 말씀들 하십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건 참나무 혹은 동백나무에서 채취된 겨우살이인가? 의 여부입니다.

 겨우살이 제약회사 에서는 지리산 자락에서 자라는     겨우살이가 제일 좋다고 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