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개똥쑥

지리산자연인 2008. 12. 23. 13:20

 
ⓒ 국립수목원

미국 워싱턴대학 연구팀이 암을 죽이는 능력이 기존 약보다 1200배 가까이 되는 약초에 대해 보고했다.

연구팀은 '암 저널(Cancer Letters)'을 통해 '개똥쑥(Artemisia annua L)'에 대해 "암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도록 처리한 후 백혈병 세포에 투여했더니 폭탄처럼 암 세포를 죽이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전립선암과 유방암 치료에도 쓰일 수 있는지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개똥쑥의 원산지는 한국으로 국화과 식물이다. 전국 각지, 일본, 대만, 몽골, 시베리아 등에서 자생하며 길가나 빈터, 강가에서 볼 수 있다.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잎은 호생하고 3회우상복엽이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4-7cm이고 최종열편은 나비 0.3mm정도이며 표면에 가로 같은 잔털과 선점이 있고 중축이 빗살모양이며 윗부분의 잎이 작다. 열편은 피침형으로 황록색이다.

또한 수과는 길이 0.7mm이고 담갈색으로 9월에 익는다.


◆복용방법

全草는 黃花蒿(황화호), 과실은 黃花蒿子(황화호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黃花蒿(황화호)
①가을에 채취하여 잘라서 그대로 햇볕에 말리거나 혹은 통째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서 抗말라리아原蟲(원충)의 유효성분인 arteannuin 및 arteannuin B 등이 추출되고 있다. 잎은 scopoletin, coumarin, artemetin, eupat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바람에 말린 식물을 수증기로 蒸溜(증류)하면 연한 녹색의 향이 좋은 精油(정유) 0.18%를 얻을 수 있다. 精油含油率(정유함유율)은 개화기가 최고이며 신선한 식물은 오래된 식물보다 함유율이 높다. 정유성분 중의 ketone類 물질의 함유율은 44.97%로 artemisia ketone 21%, l-樟腦(장뇌) 13%, 1,8-cineole 13%, l-β-artemisia alcohol의 醋酸(초산) ester 4%, pinene 1%가 주된 것이다. 지상 부분에는 scopoletin 및 scopolin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학), 祛風(거풍), 止痒(지양)의 효능이 있다. 暑滯(서체), 말라리아, 潮熱(조열-定時刻發熱(정시각발열)), 小兒痙攣(소아경련), 熱(열)로 인한 설사, 惡瘡(악창), 疥癬(개선)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⑵黃花蒿子(황화호자)
①약효 : 피로를 치료하며 下氣(하기), 開胃(개위), 止盜汗(지도한)의 효능이 있다.
②용법/용량 : 3-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출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epochtimes.co.kr/news/article.html?no=12371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슬란드 이끼(Iceland Moss)  (0) 2009.01.05
[스크랩] 설연화를 아시나요....  (0) 2008.12.24
[스크랩] 약초 가격표  (0) 2008.12.03
다이어트에 좋은 약초  (0) 2008.12.02
해방풍  (0) 2008.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