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일엽초

지리산자연인 2006. 1. 9. 22:11

▶ 항암작용 이뇨 지혈 해수 결석 녹이는 일엽초

일엽초는 고란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일엽초의 다른이름은 와위(瓦韋), 검단(劍丹), 칠성초(七星草), 골패초(骨牌草), 낙성초(落星草)라고도 부른다.  

일엽초, 파초일염초, 우단일엽초, 주걱일엽초를 잎부터 뿌리 부분까지 모두 약으로 사용한다.  주로 나무껍질, 습기가 있는 암석 표면, 오래된 기와지붕에서 자라기도 한다.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이는 20센티미터 미만으로 자나는데 뿌리 줄기는 굵고 단단하며 옆으로 퍼지고 비늘 조각으로 조밀하게 덮여 있으며 수염뿌리가 있다.  잎자루는 짥고 근경으로부터 작은 잎이 한개씩 나온다고 하여 일엽초(一葉草)라고 부른다.

잎의 길이는 10~18센티미터이며 너비는 1~1.5센티미터이고 끝부분은 완만하게 뾰족해져 있으며 기부는 서서히 좁아져 있다.  육질이 두껍고 윗면은 진한 녹색이며 작은 혈점이 산재해 있으며 밑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 뒷면에 중간부터 위쪽에 10~20여개의 황색의 둥근 모양의 홀씨주머니가 2줄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일엽초는 민간에서 위암, 자궁암, 유방암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일엽초를 5~8월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건조한 전초는 대부분은 여러 그루가 감겨서 한 덩어리로 붙어 있다.

일엽초의 잎은 맛은 싱겁고 성질은 차며 독이없다.  뿌리줄기는 맛이 쓰다.  일엽초의 성분중에 곤충 변태 호르몬인 엑디스테론을 함유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감기와 임질, 산기, 고환과 음낭 등의 질환으로 생겨나는 신경통과 요통 및 아랫배의 음낭이 붓고 아픈 병 등의 약으로서 뜨거운 물에 달여 복용한다.  

이뇨작용이 있어서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지혈작용이 있어서 출혈을 멎게 하며, 기침을 할 때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에도 효험이 있다.  이질, 해수, 토혈, 요도염이나 신장염, 방광결석, 신장결석, 부종, 경풍, 주마아감(走馬牙疳), 안목성예(眼目星翳), 임질, 타박상, 하리, 뱀에 물린 상처, 대장염 등에도 쓴다.

하루 12~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구워서 가루내어 뿌린다.  

일엽초를 질병에 이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해수 토혈의 치료
일엽초의 잎에서 홀씨주머니를 벗겨내고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

2, 주마아감(走馬牙疳: 잇몸이 썩고 이가 빠지는데)
일엽초를 뿌리째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 재로 만들어 바른다. (강서 초약수책)

3, 안목성예(眼目星翳)
계란 1개의 한쪽 끝에 구멍을 뚫어 일엽초의 거친 가루를 채우고 종이로 봉해서 뜨거운 물에 푹 삶아 분말을 제거하고 계란을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

4, 타박상
타박상에는 일입초를 술로 달여서 복용한다. (식물명실도고)

(글/ 약초연구가 전동명)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ne.kr  클릭하시면 홈으로갑니다.
 

일엽초
2006/01/02 오후 2:21 | 산야초(약초)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위암, 자궁암, 유방암 등 암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

요약

양치식물 고사리목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학명 Lepisorus thunbergianus
분류 고란초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필리핀·인도차이나 등 동아시아 지역의 온대
서식장소 바위 겉과 늙은나무의 나무껍질



본문

바위 겉과 늙은나무의 나무껍질에 붙어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잎이 무더기로 나온다. 뿌리줄기는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다. 잎은 단엽으로 길이 10∼30cm정도로 선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 끝이 좁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잔구멍으로 된 점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잎맥이 도드라져 있다. 포자낭군은 둥글고 포막이 없으며, 중륵 양쪽에 1줄씩 달리고 황색이 돈다. 전초를 약용으로 한다. 한국·일본·중국·필리핀·인도차이나 등 동아시아 지역의 온대에 분포한다.



약효능

일엽초는 민간에서 위암, 자궁암, 유방암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일엽초를 5~8월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건조한 전초는 대부분은 여러 그루가 감겨서 한 덩어리로 붙어 있다.일엽초는 우리나라 민간에서 위암과 자궁암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널리 알려져 있는데 위암, 자궁암, 유방암 등에 하루 10~15g을 달여 3번에 나누어 먹으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아직까지는 일엽초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민간에서는 가장 항암작용이뛰어난 약초의 하나로 쓰고 있는 것이다.

일엽초의 잎은 맛은 싱겁고 성질은 차며 독이없다. 뿌리줄기는 맛이 쓰다. 일엽초의 성분중에 곤충 변태 호르몬인 엑디스테론을 함유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감기와 임질, 산기, 고환과 음낭 등의 질환으로 생겨나는 신경통과 요통 및 아랫배의 음낭이 붓고 아픈 병 등의 약으로서 뜨거운 물에 달여 복용한다.

이뇨작용이 있어서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지혈작용이 있어서 출혈을 멎게 하며, 기침을 할 때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에도 효험이 있다. 이질, 해수, 토혈, 요도염이나 신장염, 방광결석, 신장결석, 부종, 경풍, 주마아감(走馬牙疳), 안목성예(眼目星翳), 임질, 타박상, 하리, 뱀에 물린 상처, 대장염 등에도 쓴다.

하루 12~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구워서 가루내어 뿌린다.

일엽초를 질병에 이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해수 토혈의 치료 ; 일엽초의 잎에서 홀씨주머니를 벗겨내고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

* 주마아감(走馬牙疳: 잇몸이 썩고 이가 빠지는데) ; 일엽초를 뿌리째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 재로 만들어 바른다. (강서 초약수책)

* 안목성예(眼目星翳) ; 계란 1개의 한쪽 끝에 구멍을 뚫어 일엽초의 거친 가루를 채우고 종이로 봉해서 뜨거운 물에 푹 삶아 분말을 제거하고 계란을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

* 타박상 ; 타박상에는 일입초를 술로 달여서 복용한다. (식물명실도고)

 

 

일엽초 무엇인가?

항암 이뇨 지혈 해수 토혈에 효험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굽버섯  (0) 2006.01.09
[스크랩] 도꼬마리(창이자)에 대하여  (0) 2006.01.09
만병초  (0) 2006.01.09
속새  (0) 2006.01.09
식용버섯 모음  (0) 2006.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