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명 : 일본녹제초. 녹함초. 파혈단
분포지 : 전국의 산기슭 나무 밑 그늘
개화기 : 6 - 7월
꽃색 : 흰색
결실기 : 8월
높이 : 15 - 30cm
특징 : 뿌리 줄기가 옆으로 길 게 뻗는다. 상록성 식물
용도 :
관상용, 약용
생육상 : 한해살이 풀
효능 : 풀 전체 또는 줄기와 잎을 이뇨. 방부. 충독. 수렴. 각기. 절상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칼에 베인 상처, 뱀 등에 물렸거나 독충등에 쏘였을 때의 상처에 노루발풀의 잎을
으깨어 짜낸 즙을 환부에 문질러 바르면 출혈이 멎고 통증이 없어진다. 짜낸 즙에 소금을 약간 넣고 바르기도
한다.<약초지식>
폐병. 늑막염에는 노루발풀 말린 잎 1일분 6 - 15g을 물 0.5리터에 넣고 달여 3회로 나누어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말린 잎을 달인 즙은 각기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경험양방>
노루발풀효능 질병ID
민간요법처방
각기(脚氣) 온포기 4~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씩 3~4일 공복에 복용한다.
강장보호(腔腸保護)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고혈압(高血壓)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관절통(關節痛)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금창(金瘡)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면서 그 물로 환부를
씻어낸다.
독충해독(毒蟲解毒)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복용한다.
류머티즘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보신(補身)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사독(蛇毒)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하면서 그 물로 환부를 자주 씻어준다.
수렴제(收斂劑) 온포기를 진하게 달여서 그 물로 5회 이상 환부를 닦아낸다.
습담(濕痰) 온포기 4~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습비(濕痺)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요도염(尿道炎)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요통(腰痛)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월경이상(月經異常)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월경과다).
음낭습(陰囊濕)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이뇨(利尿)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절상(浙傷)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상처가 있을 경우 달인 물을 환부에 계속 바른다.
진정(鎭靜) 온포기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진통(陣痛)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타박상(打搏傷)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해독(解毒)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냉증을 고친다고 붙인 이름,
냉초(금강초/노금방풀/노루방풀)
냉초라는 이름은 냉증을 고친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수뤼나물 또는 숨위나물이라고도 하며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1~1.5미터쯤 자라고 잎은 3~5개씩 돌려나기로 나는데 잎모양은 넓은 피침꼴이다. 여름에 붉은 빛이 섞인 자주색
꽃이 줄기 끝에 피어서 가을에 둥근 열매가 달린다. 우리나라 각지의 산기슭에 더러 자란다.
뿌리에 사포닌, 잎과 줄기에는 쿠마린,
아스코르빈산, 알칼로이드 등이 있고. 민간에서 흔히 쓰고 전통 한의학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다. 이른 봄이나 가을에 캐서 여성의 냉증이나 대하증,
불임증 치료약으로 쓴다. 특히 여성이 아랫배와 자궁이 허하고 냉하여 생긴 불임증에 효과가 좋다. 류머티스성 관절염이나 요통 등에 통증을 멎게
하는 효과도 있고, 자궁출혈, 위출혈, 등에 출혈을 멎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열을 내리고 통증을 없애며 염증을 없애고 땀 나는 것을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다.
냉증에는 냉초 2킬로그램을 잘게 썰어서 물 5~6리터를 붓고 오랫동안 달여서 찌꺼기를 짜 버리고 다시 물엿처럼
될 때까지 달여서 한번에 10~15그램씩 하루 세 번 밥 먹고 나서 먹는다. 냉초는 생리를 고르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여 임신을 할 수 있게
한다.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과실효소와 식물활정효소 (0) | 2006.01.25 |
---|---|
짚신나물(선학초) (0) | 2006.01.24 |
[스크랩] 몸에좋은 산야초 용어 배우기 (0) | 2006.01.23 |
[스크랩] 당뇨인을 위한 산야초모음 (0) | 2006.01.22 |
[스크랩] 올바른 약초사용 (0) | 2006.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