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약용나무

유근피

지리산자연인 2006. 2. 25. 14:32
유근피가루(느릅나무 뿌리)와 콩
2006/01/01 오전 7:57 | 음양오행(아마추어)

유근피가루와 콩

주은래가 좋아한 음식이 유근피를 재료한 수프였다. 유근피는 느릅나무 뿌리이며  성질이
편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종기, 종창, 위궤양, 소장궤양, 위암, 소변불통, 축농증, 비염, 면역기능 강화등의 효과가 있으며, 부스럼과 종기위하수, 자궁질환, 유방질환, 유방암, 소변불통에 사용한다.
평강공주는 유근피를 된장에 잰 다음 그늘에 말려서  가루를 내어 온달에게 상복시켰다.
온달의 놀라온 힘은 유근피와 콩에서 나온 것이다.
콩은 생콩을 된장에  7일간 담갔다가  먹는 방법을 선택했다. 콩은 레시틴이라고 부르는 포스파티딜콜린 때문에 대표적 두뇌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두뇌세포 신경전달물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다. 콩의 포스파티딜린콜린이 바로 아시텔콜린의 원료가 되기 때문에 총명한 지혜를 얻을 수 있고 사나운 적을 무찌를 담력과 힘을 갖게 된다.
  백번을 가르쳐도 흉내내지 못하던 온달은 어느새 하나를 가르쳐주면 백을 이해하는 지혜를 터득하게 되었다. 심지가 굳은 온달은 공주가 가르쳐주는 대로 밤에는 글을 읽고 낮에는 활과 칼 쓰는 법을 익혀 대장군으로 거듭 태어난다.
 온달이 다시 태어나는 것처럼 어둠과 무명을 벗어난 깨달음 그 자체가 불교의 근본정신이다. 생로병사에서 시작된 깨달음은 바로 적게 먹는 것이다. 지금의 우리 또한 중향천반으로 온 국민을 소성케 하기 위해서는 적게 먹고 천천히 먹는 방법만이 길이다.
*농촌에서는 상복하는사람들이 많다.     금년한해는 모두모두 건강합시다
[밥상에 도(道)가 있다-정세채]

유근피
2006/01/02 오후 9:22 | 약나무 | [padimem]

알레르기 비염의 천적 '유근피'

I

신약(神藥)의 저자 故 인산 김일훈 선생에 의해 세간에 알려지게 된 최고의 종창약이자 천연 항생제 약초로 귀중한 가치가 있는 유근피는 각종 종창(腫脹)과 비위(脾胃)질환, 특히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소장·대장·직장궤양·식도궤양 등 제반 궤양증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부종(浮腫)·수종(水腫) 등 악성 종창과 등창·후발종·견창·둔종·음낭암 등 각종 암종(癌腫)의 영약(靈藥)으로 여겨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종창과 비위병, 궤양 외에 난치병 치료에 있어서도 필요한 약재이다.

필자가 유근피의 또 다른 효능에 대해서 발견하게 된 것은 대학시절, 30년간 축농증으로 고생하던 이웃 할머니가 나무 조각을 가져와 그것과 똑 같은 나무뿌리 같은 것을 구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그 약재를 구하던 과정에서였다.

할머니가 부탁한 그 나무를 구하던 중에 그것이 '유근피'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 나무조각을 먹은 할머니는 신기하게도 보름만에 콧병이 나아졌다.

할머니의 사례를 보고 유근피의 놀라운 효능에 감탄하여 고질병인 코질환을 잡기 위해 7년간을 연구한 끝에 '청비환'을 개발해 냈다.

'청비환'은 '코나무'로 불리는 유근피를 약재로 하여 살구씨, 목련꽃 봉우리, 수세미 등 20여가지 약재를 첨가해 만든 녹두알 크기의 환약으로, 유근피 하나만 치료할 때보다 치료결과가 몇 배로 빨리 호전되었다.

하지만 '청비환'으로 비염이나 축농증이 치료되는 것은 아니다. 전통한방치료가 약물 하나만으로 치료된다고 하는 법은 없다. 약이란 모름지기 몸이 허약하여 질환이 극도로 악화되었을 때 먹는 것이며 신체가 스스로 질병을 극복하지 못할 때 처치를 하는 것이다.

일단 약을 복용하기 시작한 후 증세가 호전되면서 본인의 노력이 점점 중요하다. 하지만 본인의 노력도 어떻게 해야 될 지 모를 때 의사를 찾고 본인에게 맞는 생활요법, 운동요법, 식이요법과 함께 꾸준하게 노력할 때 고질병은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질병은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그 병을 중히 여기지 않고 또 쉽사리 노력을 포기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올바른 한약의 복용과 환자의 개인의 노력이 함께 할 때 병은 나을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청비환으로 많은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얻은 결론으로 약의 효능과 환자의 노력이 극진할 때 본인이 얻고자 하는 치료결과를 만들 수 있다라는 수없이 확인했기 때문이다.

요즘 같이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환절기의 알레르기비염이 있는 환자들은 잠자기전 유근피로 달여진 물 200cc 한잔을 따뜻하게 마시면 편안한 수면을 청할 수 있다.

(이처럼 고질적인 알레르기성 비염에는 참느릅나무가 좋은 효과를 본다. 그 중에서도 참느릅나무의 뿌리껍질인 유근피는 알레르기성 비염에 탁월한 치료제로 쓰여왔다)

글/이환용(한의학박사·평강한의원 원장www.dr-lee.co.kr)



유근피는 대소변을 잘 나오게하고. 부종을 다스리고 불면증과 코의 질환에 쓰는 약입니다.
잘못 여러가지를 섞는것 보다 한가지만 하는것이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자료로

저서 내몸에 꼭 맞는 사상체질 건강요리, 김수법박사의 사상체질다이어트, 내몸에 꼭 맞는
체질건강법, 먹으면 약이 되는 한방체질약선600가지
(http://www.wooree-med.com/wooree_clinic/top_book/book.htm)

사상체질클리닉(http://www.sasang-med.com)의
체질감별프로그램 사상체질의학이란 외형(외모) 심성(성격) 체질별 음식 각종 질병들
에 대한 체질적 치료법, 약선요리 등

체질클리닉(http://www.const-med.com)
각종 체질에 대한 내용이 소개됨

수험생클린기(http://www.exam-med.com)
수험생들이 걸리기 쉬운 병, 건강관리법등에 대하여 설명함

난치병클리닉(http://www.hard-med.com)
치료하기 힘든 병들에 대하여 사상체질의학적인 면에서 접근함

사상체질약선(http://www.sasang-food.com)
음식을 영양학적인 면에서보다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약의 개념을 첨가하여 알고 먹는 다면
병을 예방할 수 있다.

사상체질생식(http://www.sasang-saengsik.com)
생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생식도 자신의 체질에 맞는 생식을 먹어야 보다 건강에 도움을 준
다.생식의 모든 내용을 알수있다

을 보시기 바랍니다.

'나무들 > 약용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골목  (0) 2006.02.25
[스크랩] 화살나무(귀전우)에 대하여  (0) 2006.02.25
[스크랩] 황벽(황경)나무  (0) 2006.02.21
[스크랩] 화살나무 효능  (0) 2006.02.19
두충나무  (0) 2006.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