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약이 결국은?
『보기좋고,먹기좋고,때깔좋은 상품을 만든 다고, 크게만든다고, 속성 재배 한다고 등..
농사 짖는데 무서운 농약을 사용 하면 농약에서 발생되는 각종 발암물질은 누가 먹는가?』
□ 농약 이란?
○ 제초제, 각종농약, 성장촉진제 등... 농사에 사용한다는 농약은 세계 1,2차 전생 당시에 독일의 화학 무기로 사용 하였던 물질로부터 발생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 세계 전쟁이 끝난후에 화학 무기 공장이 농약 생산 공장으로 바뀌어 독일은 세계 에서도 알아주는 농약 생산 국가가 되었다고 한다.
○ 무서운 제초제는?
주 성분이 '다이옥신이라는 물질로 구성 되어 있다고 하며 미국이 월남전때 우거진 식물을 죽여 시야를 확보하기위해 고엽제로 사용 하였던 화학 물질이라고 한다.
당시에 인체에 아무런 이상이 없다고 하였으나 전쟁이 끝난 몇십년이 지난 지금은 어떠한가,
월남전에 참가 하였던 병사들의 고엽제 후유증은 얼마나 무서운가?
'다이옥신'은 청산가리의 1만배나 되는 강한 독성이 있다고 한다.
제초제와 함께 사용하는 살충, 살균, 방지제, 낙치제, 성장 촉진제, 전착제 등 380여종이나 된다는 농약 대부분은 발암 물질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독성 물질은 오랬동안 땅속에 잔류 하면서 농작물 속으로 흡수 되며 특히, 농약은 자연 생태게를 파괴하는 아주 결정적 요소를 제공하는 물질이다.
□ 농약을 사용 하면?
○자연의 공생관계인 먹이 사슬의 파괴로 생태계의 균형이 피괴되어 더욱 많은 병.해충이 생겨나 더 독한 농약을 필요로 한다.
○농약을 뿌리면 작물의 잎 표면에 있는 왁스 층이 볏겨지고 왁스층은 작물이 병이나 해충의 피해로부터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병.해충을 막겠다고 농약을 뿌리면 왁스층까지 피해를 입어 작물 스스로 자기를 보호 할 능력을 상실 하고 만다고 한다.
또한 해충은 계속 농약에 내성이 생기다 보니 이는 더욱 독한 농약을 사용하게 된다.
○농약으로 해충이나 병도 예방하지만 이로운 미생물이 죽어가고 물도 오염되고....
땅이 죽어가고 있는 곳에서 생산된 그 식물을 섭취하게 된다면...
□ 농약을 당연히 사용 하여야 만 농사가 되는가?
○"먹기 좋은 떡이 때깔도 좋다" 는 식으로 농작물을 등급을 먹이면...
농업 관련 책자를 보면 병.해충에 제일 먼저 나오는 글이 어떤농약을 어떻게 사용 하고 하는 식으로 적혀 있다.
농약을 사용 하여 생산 하는 식물은 겉은 모양이 보기 좋게 보이지만 자생력도 없고 자생초(草) 들과 경쟁도 못하여 연약하기 그지 없는 속이 비어 있는 모양만 화려한 꼴이다.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식물은 수많은 풀들과 해충과 병과 경쟁을 하면서 살아 남기위하여 환경에 적응 하면서 풍파를 겪은 연후에 때깔은 좋지 않더라도 인체에 나쁜 후유증은 주지 않는다.
○ 지금 농촌은 농사를 시작으로 우선 제초제를 뿌려 잡초를 제거후 작물을 심고 수확 할 때 까지 농약을 뿌리는 것을 일로 삼고 있다.
그러나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무농약 농사를 짓는 곳도 점차 확산되는걸로 알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농사철에는 농약 냄새가 코를 찌른다.
□ 농약을 사용 하지 말아야 한다.
○ 그 옛날 우리네 선조 들은 농약 없이도 현 시대 처럼 심하게 병.해충에 시달리지 않고 농사를 지었다.
옛날에는 농작물 수확후 다음에 지을 씨앗을 좋은 것으로 미리 확보 하여 놓고 사용 한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종묘상같은 데서 사다가 사용하다보니 수입종과 화학처리된 씨앗때문에 화학비료와 농약의 물리적인 도움없이는 우리땅에 적응 하기 힘들다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농약을 다량으로 뿌리면 보기좋은 작물을 수확할지언정 자연의 생태계를 파괴하여 수많은 수억의 생물을 죽이며 인체에 해로운 덩어리를 먹게 만들고 자연을 오염 시키고 농약에 의하여 해로운 성분이 만들어져 이시대의 암 등 불치의 병들이 점점 늘어 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외국 선진국보다도 몇 배의 농약을 사용한다고 한다
(면적 1㏊당 한국 1.3톤, 미국 0.2, 케나다 0.1, 독일 0.3, 스위스 0.4톤)
그 옛날 우리네 선조들은 병.해충 예방으로 논.밭둑에다 익충,해충등 좋아하는 나무,풀등을 심어 공생관계를 유지하며 자연의 먹이 사슬로 이어지게 하여 작물에 영향을 덜 받게 하였다고 한다.
지금은 농경지 정리다 과학영농이라 하여 선조들이 심어 놓았던 식물들이 없어 진지 오래되었다고 한다.
옛날에는 식물을 재배 할 때 고추와 들깨처럼 서로 식물간에 도움을 주는 작물을 사이사이(혼작) 심었던 지혜가 있었다고 한다.<출처:인터넷>
『보기좋고,먹기좋고,때깔좋은 상품을 만든 다고, 크게만든다고, 속성 재배 한다고 등..
농사 짖는데 무서운 농약을 사용 하면 농약에서 발생되는 각종 발암물질은 누가 먹는가?』
□ 농약 이란?
○ 제초제, 각종농약, 성장촉진제 등... 농사에 사용한다는 농약은 세계 1,2차 전생 당시에 독일의 화학 무기로 사용 하였던 물질로부터 발생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 세계 전쟁이 끝난후에 화학 무기 공장이 농약 생산 공장으로 바뀌어 독일은 세계 에서도 알아주는 농약 생산 국가가 되었다고 한다.
○ 무서운 제초제는?
주 성분이 '다이옥신이라는 물질로 구성 되어 있다고 하며 미국이 월남전때 우거진 식물을 죽여 시야를 확보하기위해 고엽제로 사용 하였던 화학 물질이라고 한다.
당시에 인체에 아무런 이상이 없다고 하였으나 전쟁이 끝난 몇십년이 지난 지금은 어떠한가,
월남전에 참가 하였던 병사들의 고엽제 후유증은 얼마나 무서운가?
'다이옥신'은 청산가리의 1만배나 되는 강한 독성이 있다고 한다.
제초제와 함께 사용하는 살충, 살균, 방지제, 낙치제, 성장 촉진제, 전착제 등 380여종이나 된다는 농약 대부분은 발암 물질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독성 물질은 오랬동안 땅속에 잔류 하면서 농작물 속으로 흡수 되며 특히, 농약은 자연 생태게를 파괴하는 아주 결정적 요소를 제공하는 물질이다.
□ 농약을 사용 하면?
○자연의 공생관계인 먹이 사슬의 파괴로 생태계의 균형이 피괴되어 더욱 많은 병.해충이 생겨나 더 독한 농약을 필요로 한다.
○농약을 뿌리면 작물의 잎 표면에 있는 왁스 층이 볏겨지고 왁스층은 작물이 병이나 해충의 피해로부터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병.해충을 막겠다고 농약을 뿌리면 왁스층까지 피해를 입어 작물 스스로 자기를 보호 할 능력을 상실 하고 만다고 한다.
또한 해충은 계속 농약에 내성이 생기다 보니 이는 더욱 독한 농약을 사용하게 된다.
○농약으로 해충이나 병도 예방하지만 이로운 미생물이 죽어가고 물도 오염되고....
땅이 죽어가고 있는 곳에서 생산된 그 식물을 섭취하게 된다면...
□ 농약을 당연히 사용 하여야 만 농사가 되는가?
○"먹기 좋은 떡이 때깔도 좋다" 는 식으로 농작물을 등급을 먹이면...
농업 관련 책자를 보면 병.해충에 제일 먼저 나오는 글이 어떤농약을 어떻게 사용 하고 하는 식으로 적혀 있다.
농약을 사용 하여 생산 하는 식물은 겉은 모양이 보기 좋게 보이지만 자생력도 없고 자생초(草) 들과 경쟁도 못하여 연약하기 그지 없는 속이 비어 있는 모양만 화려한 꼴이다.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식물은 수많은 풀들과 해충과 병과 경쟁을 하면서 살아 남기위하여 환경에 적응 하면서 풍파를 겪은 연후에 때깔은 좋지 않더라도 인체에 나쁜 후유증은 주지 않는다.
○ 지금 농촌은 농사를 시작으로 우선 제초제를 뿌려 잡초를 제거후 작물을 심고 수확 할 때 까지 농약을 뿌리는 것을 일로 삼고 있다.
그러나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무농약 농사를 짓는 곳도 점차 확산되는걸로 알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농사철에는 농약 냄새가 코를 찌른다.
□ 농약을 사용 하지 말아야 한다.
○ 그 옛날 우리네 선조 들은 농약 없이도 현 시대 처럼 심하게 병.해충에 시달리지 않고 농사를 지었다.
옛날에는 농작물 수확후 다음에 지을 씨앗을 좋은 것으로 미리 확보 하여 놓고 사용 한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종묘상같은 데서 사다가 사용하다보니 수입종과 화학처리된 씨앗때문에 화학비료와 농약의 물리적인 도움없이는 우리땅에 적응 하기 힘들다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농약을 다량으로 뿌리면 보기좋은 작물을 수확할지언정 자연의 생태계를 파괴하여 수많은 수억의 생물을 죽이며 인체에 해로운 덩어리를 먹게 만들고 자연을 오염 시키고 농약에 의하여 해로운 성분이 만들어져 이시대의 암 등 불치의 병들이 점점 늘어 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외국 선진국보다도 몇 배의 농약을 사용한다고 한다
(면적 1㏊당 한국 1.3톤, 미국 0.2, 케나다 0.1, 독일 0.3, 스위스 0.4톤)
그 옛날 우리네 선조들은 병.해충 예방으로 논.밭둑에다 익충,해충등 좋아하는 나무,풀등을 심어 공생관계를 유지하며 자연의 먹이 사슬로 이어지게 하여 작물에 영향을 덜 받게 하였다고 한다.
지금은 농경지 정리다 과학영농이라 하여 선조들이 심어 놓았던 식물들이 없어 진지 오래되었다고 한다.
옛날에는 식물을 재배 할 때 고추와 들깨처럼 서로 식물간에 도움을 주는 작물을 사이사이(혼작) 심었던 지혜가 있었다고 한다.<출처:인터넷>
'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친환경농업 (0) | 2006.03.01 |
---|---|
천마 재배 (0) | 2006.02.28 |
상추재배 (0) | 2006.02.28 |
옥수수 재배 (0) | 2006.02.28 |
가지치기와 순자르기 (0) | 2006.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