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스크랩] 땅 위로 고개 내미는 여러 가지 봄나물

지리산자연인 2006. 4. 23. 21:02
 

땅 위로 고개 내미는 봄나물 퍼레이드

 

지난 수년간 방방곡곡 산야를 찾아다니면서

기록해 온 산나물 사진 중, 이제 갓 자라기 시작하는 사진들만 모아봤다.

 

개인적인 욕심으로는 산나물 싹부터

자라는 과정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과정까지, 모두 다 기록해 보고 싶다.

 

글과 사진 그림으로. 또, 나물로 무쳐진 사진과 맛에 대한 이야기까지 에고고....

앞으로 10년이 걸릴지 20년이 걸릴지는 나도 모르겠다.


 

엄나무/ 어린잎을 데쳐서 초장에 찍어 먹거나 쌈으로 먹는다.

약간 버터 맛이 나면서 씁쓰레하지만 향미가 뛰어나다.

민가에서는 엄나무 가지를 방문위에 걸어서 액운이나 호랑이 침입을 막기도 했다.

 

 

 

 

곰취/ 잎 모양이 곰 발바닥을 닮았다고 해서 곰취다.

깊은 심산에서 자란다. 묵나물로 먹기보다 주로 쌈으로 먹는다. 향취가 뛰어나다.

 

 

참나물/ 나물중의 나물, 참나물이다. 식당에서 흔하게 나오는 참나물은

온실에서 재배된 것으로 그 맛과 향은

자연산이나 노지에서 자란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줄기는 영락없이 미나리처럼 생겼다.

 

 

잔대/ 줄기와 잎은 나물로 먹는다.

 

 

 

곤드레/ 다른 이름으로 ‘고려엉겅퀴’ 다.

대표적인 구황식품으로 그 당시에는 곤드레 밥도 못해먹을 형편이어서

곤드레 죽을 끓여 먹었다.

 

맛이 부드럽고 은은한 향취가 난다. 많이 먹어도 탈이 없는 게 특징이다.

강원도 정선과 평창지역에서 주로 먹었다. 곤드레 밥과 나물로 먹지만

장아찌는 사강사강 씹히는 식감이 뛰어나다.

 

 

 

원추리/ 나물 중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자란다. 어린순을 따서 나물로 무쳐먹는다.

 

 

 

 

산부추/ 노지부추보다 질기지만 향취는 더하다. 뿌리 부분은 쪽파를 닮았다.

 

 

 

돌나물/ 식당에서는 천편일률적으로 돌나물 위에 초장이 끼얹어져서 나오는데

참 성의 없어 보인다. 물김치로 담가먹기도 한다. 풋풋한 향미가 난다.

 

 

누룩치/ 누리대라고도 한다. 귀족 산채라 할 정도로 독특한 향취가 압권이다.

가격도 다른 산채에 비해 쎈 편이다.

 

누룩치와 닮은 독초도 있으니 유의해서 먹어야 한다.

독초와 가장 손쉬운 구별법은 가지를 꺾어 봐서 하얀 액이 나오면 식용가능하나

금방 검어지면 미련 없이 포기해야 한다.

 

 

다른 지역에서 자라는 누룩치

 

 

 

명이나물/ 산마늘이다. 채소가 귀한 울릉도에서

명이나물로 김치를 담가 명을 이었다 해서 명이나물이라 한다.

김치나 쌈, 장아찌로 먹는다.

 

 

엉겅퀴/ 뿌리는 약용으로 쓰이나 어린잎은 국을 끓여 먹는다.

 

 

파드득/ 반디나물이라고 한다. 시원한 맛이 특징이다.

 

 

달래/ 따로 설명이 필요 없는 나물이다.

 

 



 

 

냉이/ 냉이 된장국 끓일 때 신 김치를 조금 썰어서 넣으면 맛이 특별해진다.

 

 

 

당귀/ 뿌리는 약용으로 쓰이고 잎은 쌈으로 먹는다.

당귀로 쌈을 먹고 나서 물을 마시면 물이 달 정도다.

 

 

미역취/ 크게 자란 미역취는 미역모양을 하고 있다.

전국 야트막한 야산이나 들에서 잘 자란다. 묵나물로 먹는다.

 

 

씀바귀/ 어린순을 쌈으로 먹거난 나물로 먹는다.

잎 모양이 용의 혀를 닮았다 해서 ‘용설채’라고도 한다.

 

 

민씀바귀

 

 

머위/ 응달지고 수분이 많은곳에서 잘 자란다. 쌉쓰름한 맛이 좋다.

개인적으로 취나물과 함께 좋아하는 나물 중에 하나다.

 

이상으로 요즘 한창 자라나고 있는 나물에 대해 알아봤다.

나물은 별로 부작용 없는 건강 먹거리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 몸에 좋은 나물에는 거의 공통적인 특징이 있는데

쓴맛과 향미가 뛰어나다는 점이다!

 

갈수록 단맛을 선호하고 향미가 강한 채소를 싫어하는

요즘의 식생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맛객 (맛 전문 블로거 http://blog.daum.net/cartoonist )

 


 

 

 

출처 : 몸에좋은 산야초
글쓴이 : 맛객 원글보기
메모 :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술 닫그기  (0) 2006.04.24
[스크랩] 백선(봉황삼)  (0) 2006.04.24
구척  (0) 2006.04.22
[스크랩] 장뇌삼 재배기술 (필독)  (0) 2006.04.19
[스크랩] 나물 그리고 야생화 .약초로서의 엉겅퀴  (0) 2006.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