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스크랩] 모기를 퇴치할 수 있는 방법

지리산자연인 2006. 5. 3. 00:34


천연 방충제로 모기를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고대 로마시대부터 방충제로 사용됐다고 전해지는 라벤더 꽃은 모기를 쫓는데 효과적이다. 독특한 향으로 모기의 접근을 차단하기 때문에 이 꽃을 증유해서 만든 라벤더 오일을 발라두면 물리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 또한 라벤더 꽃과 소금을 섞어 만든 가루를 목욕물에 풀어 사용하면 향이 몸에 배어 모기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잎을 만지면 강한 향기가 퍼지는 제라늄도 모기 퇴치에 큰 역할을 하는 식물이다. 라벤더는 종양이나 두통치료,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이기도 해 추출물을 오일이나 액체 형태로 가공해 판매하고 있다. 목욕할 때 한두방울 떨어뜨려 사용하면 여름철 모기퇴치에는 그만이다.

국화과에 속하는 탄지의 진녹색 잎에는 강렬하면서도 산뜻한 방향 물질이 있어 파리.모기의 접근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아예 모기를 먹어버리는 식물도 있다. 애완식물로 기르기도 하는 벌레잡이 식물은 특유의 향과 모양으로 모기를 유혹해서 잡아먹는다. 잎사귀마다 주머니가 주렁주렁 달린 '벌레잡이 통풀(사진)'은 대식가여서 웬만한 곤충들은 놓치지 않고 잡아먹기로 유명하다. 특별한 향으로 모기를 유혹한다.

잎사귀마다 반짝이는 이슬을 달고 있어 보석풀이라는 별명을 가진 '진잎 끈끈이 주걱'도 특이한 모습으로 유혹해 모기를 잘 잡는다. 화분 두개를 같이 놓고 키우면 여름철 모기 접근을 막을 수 있다.
사람에게 무해한 살충제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천연 방충제가 제품으로 나오기도 했다.
 서울대 농생명과학대와 (주)써브라임이 공동으로 만든 '모기퇴치 방향제'가 그것. 회향나무 열매로부터 모기가 싫어하는 성분을 추출해 만든 제품이다. 젤 상태의 방향물질을 용기에 담아놓으면 은은한 향이 발산되면서 모기를 쫓아준다.

 


모기를 퇴치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은 말 그대로 '씨를 말리는'것이다. 생명공학을 이용한 생물방제법은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가 즐겨먹는 클로렐라나 부유성 박테리아에 독성물질이나 소화억제 호르몬을 집어넣어, 이를 먹은 장구벌레가 결국 독으로 죽거나 영양부족으로 죽게 한다.

여기에서도 살아남은 장구벌레는 미꾸라지가 먹어치운다.미꾸라지를 모기유충이 사는 늪지에 방류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미꾸라지는 하루 1000마리의 모기유충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어떤 살충제보다 효과적이다.


쑥은 태울때 연기가 많이 나는 식물입니다. 모기는 이러한 연기에 이끌려서 바람과 연기를

타고 멀리 날라가게 됩니다.  네이버 지식인 yjmcj 님의 답변에 의하면 쑥에는 나프텐

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모기의 신경을 자극한다고 합니다.

 

 


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높이 60~90cm이며 잎은 어긋나서 우상(羽狀)으로 갈라진다. 표면은 심록색을 띠고 잎의 뒷면은 젖빛 솜털이 있고 향기가 나며 여름과 겨울에 담홍 자색꽃이 핀다.

고대에는 모자초(母子草)라고 불렸으며 염색재료로 쓰이는 것은 잎과 줄기이고 꽃이 피기 시작할 무렵 채취하여 사용하는데 결합하는 금속 염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나타나게 된다.

봄에 어린 잎을 따서 식용으로 하고 한방에서는 성숙한 것을 해열,복통,토사,독경,강장,거담,자궁출혈 및 지혈제 등의 약재로 사용해 오고 있다.

★또 쑥의 향기 성분이나 정유 성분은 살충,항균 및 항종양 등의 여러가지 생리적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항균 성분은 식품의 보존료와 식품 항균제로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모기는 후각이 발달되어 있고 이산화탄소를 매우 좋아하기 때문에 연기가 많이 나는 쑥을

태우면 그 연기에 유혹되서 연기를 따라 멀리 날아가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 : 디아이에스
글쓴이 : DIS 원글보기
메모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벽초지 문화 수목원 (3)  (0) 2006.05.05
[스크랩] 매듭묶기--농사에도 사용해볼만..  (0) 2006.05.04
한자성어의 유래  (0) 2006.04.30
[스크랩] 비누 만드는 법~  (0) 2006.04.26
[스크랩] 고소, 고발장  (0) 2006.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