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초, 약초
감별하기
◆ 독초, 약초 감별 상식
생약재를
채집할 때 대개 독초는 걸죽한 액즙이 나오는데, 그 액즙을 연한 피부(겨드랑이, 목, 허벅지, 사타구니, 팔꿈치
안쪽 등)에 발라 보면 독초일 경우 살갗에 반응이 생긴다. - 심하게 가렵거나
따갑고 통증이 있으며, 피부 밖으로 포진, 종기와 비슷한 것이 돋아남
살갗에
반응이 없을 때는 혀 끝에 발라 본다.- 독초일 경우 혀 끝을 톡 쏘거나 매우 민감한 반응이 온다. 아리한 맛,
화끈거림, 고약한 냄새, 또는 입 속이 헤질 수도 있다. 이때는 즙액을 삼키지 말고 뱉은
후 즉시 맑은 물로 씻어낸다
단맛이
나더라도 단맛 속에 아린 맛이 느껴지는 것은 독이 있는 약초다. -반드시 법제를 거친 후에 복용해야
한다
◆ 해독법
독초
잎이나 줄기, 뿌리에 중독되었을 때
①생 칡뿌리 즙을 내어 한 번에 200㏄ 정도씩
여러번 마심 ②생강즙을 마심 ③까맣게 태운 보리 가루를 물에 끓여
마심 ④검은 콩 2돈, 감초 1돈을 물에 달여 마심 ⑤미음에
볶은 소금을 타서 여러번 마심 - 미음 한 사발에 볶은 소금을
밥숟가락으로 3술
정도(죽염이 있으면 더욱 효과적) ⑥계란 노른자를 한 번에 15개 정도 먹음
독초 잎,
열매 등을 먹고 중독 되었을 때
①찔레 열매나 장미 열매를 한 홉의 물에 달여 마심
- 물 한 되에 넣어 반 되가 되도록 달여 단번에 마시면 설사를 한 후에 곧 해독
됨 ②한약재 육계 한 냥 정도를 물 한 되에 넣고 달여 물이 반으로 줄면 여러번 나누어 마심 - 5~6회 반복 ③감초, 생강을 등분하여 물에 달여 수시로 마심
버섯
종류에 중독 되었을 때
①연잎을 날 것으로 깨끗이 물에 씻어 씹어서 삼킴 -
연잎 생즙도 좋음 ②생 연잎이 없을 경우 마른 연잎을 물에 달여 자주 마심 ③소금을
불에 볶아 참기름에 타서 몇 차례 먹게 되면 해독 됨
◆ 독버섯 알아내는 방법
◆ 버섯을 안전하게 먹는 법
|
생약재를
채집할 때 대개 독초는 걸죽한 액즙이 나오는데, 그 액즙을 연한 피부(겨드랑이, 목, 허벅지, 사타구니, 팔꿈치
안쪽 등)에 발라 보면 독초일 경우 살갗에 반응이 생긴다. - 심하게 가렵거나
따갑고 통증이 있으며, 피부 밖으로 포진, 종기와 비슷한 것이 돋아남
살갗에
반응이 없을 때는 혀 끝에 발라 본다.- 독초일 경우 혀 끝을 톡 쏘거나 매우 민감한 반응이 온다. 아리한 맛,
화끈거림, 고약한 냄새, 또는 입 속이 헤질 수도 있다. 이때는 즙액을 삼키지 말고 뱉은
후 즉시 맑은 물로 씻어낸다
단맛이
나더라도 단맛 속에 아린 맛이 느껴지는 것은 독이 있는 약초다. -반드시 법제를 거친 후에 복용해야
한다
◆ 해독법
독초
잎이나 줄기, 뿌리에 중독되었을 때
①생 칡뿌리 즙을 내어 한 번에 200㏄ 정도씩
여러번 마심 ②생강즙을 마심 ③까맣게 태운 보리 가루를 물에 끓여
마심 ④검은 콩 2돈, 감초 1돈을 물에 달여 마심 ⑤미음에
볶은 소금을 타서 여러번 마심 - 미음 한 사발에 볶은 소금을
밥숟가락으로 3술
정도(죽염이 있으면 더욱 효과적) ⑥계란 노른자를 한 번에 15개 정도 먹음
독초 잎,
열매 등을 먹고 중독 되었을 때
①찔레 열매나 장미 열매를 한 홉의 물에 달여 마심
- 물 한 되에 넣어 반 되가 되도록 달여 단번에 마시면 설사를 한 후에 곧 해독
됨 ②한약재 육계 한 냥 정도를 물 한 되에 넣고 달여 물이 반으로 줄면 여러번 나누어 마심 - 5~6회 반복 ③감초, 생강을 등분하여 물에 달여 수시로 마심
버섯
종류에 중독 되었을 때
①연잎을 날 것으로 깨끗이 물에 씻어 씹어서 삼킴 -
연잎 생즙도 좋음 ②생 연잎이 없을 경우 마른 연잎을 물에 달여 자주 마심 ③소금을
불에 볶아 참기름에 타서 몇 차례 먹게 되면 해독 됨
◆ 독버섯 알아내는 방법
◆ 버섯을 안전하게 먹는 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