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의 성인병예방 및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기간: 2002년 8월 1 일 - 2003년 3월 31일 |
서 론
상황(桑黃)은 담자균류(Basidiomycetes)의 잔나비걸상과(Polyporaceae, 다공균과)에 속하는 곰팡이(Fungi)이로서 뽕나무(Morus alba, Moraceae)의 줄기에 기생한다.
전체가 목질화 되어 있는 편구형 또는 말굽모양을 하고 있으며 갈색, 암회갈색 또는 흑색을 띤다. 어린 버섯에는 약간의 털이 있으나 성장하면서 없어지며 등은 거북이 등모양을 하며 껍질은 없다.
한편 상황은 중국의 「약성론」에 처음 약으로서 수록이 되었으며 상신(桑臣), 상이(桑耳)라는 별명으로 명명하기도 하였다. 성분으로는 다당류를 비롯 agaricic acid가 약 4% 그리고 laricic acid, 포화지방산(주로 C22, C24), 포화탄화수소(C23, C25), 아미노산(glycine, aspartic acid). triterpenoid, oxalic acid 및 ergosterol등이 그밖에 당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다. 약성은 감(甘), 평(平)하며 본초학적으로 상황은 구어혈(驅瘀血), 지혈약으로서 혈붕(血崩), 혈림(血淋), 탈항(脫肛)으로 인한 출혈, 대하, 월경불순 등에 응용되며 민간에서는 늑막염(肋膜炎), 폐염, 감기 등의 열성병에 해열제로서 또한 일본의 큐슈지방에서는 심장병 및 반신불수 등에 민간약으로서 사용하여 왔다.
최근 담자균류의 버섯종류가 항암제 및 면역증강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고 그 중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은 효과가 탁월하여 일본에서 크레스틴ⓡ 우리나라에서는 코포랑ⓡ으로 그 다당류가 항암제로서 개발되어 항암제 시장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일본의 Maeta등은 여기에 착안하여 각종 담자균류 및 식용버섯에 대한 Sarcoma180을 이용한 항종양 활성 실험에서 상황버섯의 물추출물이 96.7%, 이어서 송이버섯의 물추출물이 91.8%로 가장우수한 종양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약으로 개발된 구름버섯의 경우 77.5%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상황은 다른 여러 버섯과 비교하여 볼 때 항암제로서의 효과가 탁월하다 할 수 있으나 그 연구가 체계화되어있지 않아 아직 현대약으로서 여러제형이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연구자는 이미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 상황버섯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음에 착안하여 1차적으로 민간에 사용하는 상황과 기타 민간항암제인 느릅나무, 꾸지뽕나무 및 시호에 대한 단독 및 조합물에 대하여 면역증강작용 및 항암활성을 실시하여 항암제로서의 의약품개발가능성과 건강식품으로서의 개발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최근 노화에 관련된 퇴행성 질환 예를 들어 동맥경화, 관절염, 치매 및 당뇨병등이 사회 문제화 되고 있고 이런 질환의 90%가 활성 산소와 과산화 지질이 원인이 되어 생체에 장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 산소는 내적으로 에너지 대사과정이나 지질산화에 의해 외적으로는 자외선, 방사선, 전자파, 의약품, 농약 및 식품첨가물등의 각종 환경성 화학물질과 스트레스에의해 형성이 된다. 활성산소에 의해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체내 반응으로는 세포막지질이나 세포막 단백질을 변성시켜 세포막을 손상하고 세포내 단백질, 효소, 핵산등의 변성을 일으켜 세포의 기능에 장애를 유발하며 세포의 생체막 구성성분인 다가 불포화지방산을 산화시켜 생성성되는 과산화지질이 단백질이나 DNA와 반응하여 조직의 퇴행성 변이나 돌연변이를 유발하여 질병이나 노화를 일으키며 나아가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나.
따라서 활성산소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질병과 노화기전의 규명과 각종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로의 항산화제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동맥경화 저해인자로 알려진 저밀도 단백질(low density lipoptotein, LDL)은 활성산소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산화 LDL을 생성시키고 이것은 동맥경화 유발인자로 작용하므로 합성 또는 천연의 LDL 산화에대한 억제제로서의 역할과 그들의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효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민간에서 사용되는 상황버섯과 관련된 민간 제제에 대하여 항산화 및 과산화 지질 억제 및 당뇨병에 대한 실험을 실시 항노화, 동맥경화 억제 및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상황 관련 민간제제의 활성의 증명 및 그 제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실험재료
상황(桑黃, Phellinus linteus)은 직접 재배지에서 2kg을 공급받아서 사용하였으며 어성초(魚星草, Houttuyniae herba), 양파(洋?, Allium cepae bulbus) 및 홍삼(紅蔘, Ginseng radix rubra)을 각가 2kg씩 구입하여 식물학적인 감정을 거친 후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약물인 ascorbic acid 및 tolbutamide는 E. Merk사의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시료제조방법
상기 실험재료 상황, 어성초, 양파 및 홍삼을 정밀히 달아 각각에 대하여 10-15배의 50% MeOH를 가하여 2시간씩 2회 가열 추출한 다음 각각을 저온 농축하였으며 농축된 엑스를 각각 동결건조하여 실험재료로 하였다.
3. 생리활성시험
- 투여약물
상황, 상황+어성초, 상황+양파, 상황+홍삼, Ascorbic acid, tolbutamide - DPPH에 의한 항산화능 실험
Hatano 등의 방법에 의하여 각 fraction을 25, 50, 100, 200, 500ppm(99.5% ethanol)의 5가지 농도로 조제한 용액 0.1㎖(control : 99.5% ethanol)에 0.1mM DPPH용액(99.5% ethanol) 1.9㎖를 가하였다. Vortex mixer로 10초간 진탕한 후 37℃에서 30분 동안 incubation시켰다. 이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 약물로는 L-ascorbic acid를 25, 50, 100, 200ppm(99.5% ethanol)의 4가지 농도로 조제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항산화작용은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과 IC50치(DPPH radical 형성을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 농도)로 나타내었다.(Scheme 1)
Sample O.D. : 시료를 가한 시험액의 흡광도
Control O.D. : 시료 대신 ethanol을 가한 시험액의 흡광도
Scheme 1. Measurement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TBARS assay를 이용한 LDL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Human plasma LDL(400㎍ 단백질), 1mM CuSO4 16㎕, 농도별로 조제한 각 시료(25, 50, 100, 200ppm) 100㎕에 PBS(pH 7.4)를 섞어 전체 부피가 1ml가 되도록 한다. Vortex mixer로 혼화하여 37℃ 수욕 상에서 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산화시킨 후 1mM EDTA 20㎕를 첨가하여 산화를 중지시킨다.
산화된 LDL용액에 25% trichloroacetic acid 1ml를 넣어 단백질을 침전시킨 후 그 상등액에 1% thiobarbituric acid 1ml를 첨가하여 95℃에서 발색시킨 후 냉각시킨다. 생성된 MDA의 양을 532nm에서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다.(Scheme 2)
MDA 표준시료로는 10nM 1,1,3,3-Tetraethoxypropane 용액을 용시 조제하여 사용한다.
MDA 농도 (nM/ml)= (f/F)×10
F: 표준시료의 흡광도 (532nm)
f: 검체의 흡광도 (532nm)
각 시료의 LDL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비교검토하기 위해서 Cu2+에 의해 유도되는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IC50)을 측정한다.
Scheme 2 .Procedure of TBARS assay
on Cu2+-induced oxidized LDL
- 고지혈증 및 당뇨유발 쥐에 미치는 영향
1)실험동물
Sprague-Dawley계 암컷 흰쥐를 한림농원에서 구입하여 일정한 조건하에서 1주일동안 사육하여 체중이 140 +20 g되는 것을 실험실에서 사용하였다.
2) 기기 및 기구
centrifuge
Blood Glucose meter
spectrophotometer : HITACHI 7600(Japan)
3) 시약
Glucostix
T-CHO (Randox, UK)
TG (Randox, UK)
Tolbutamide: E. Merk
Streptozotocin:E. Merk
4) 실험방법
가. 시약조제
Streptozotocin용액의 조제
pH 4.5 인 sodium citrate buffer에 50mg/kg의 용량으로 조제했다.
Heparin의 조제
20000IU를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400IU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나. 당뇨유발
Sttreptozotocin(50mg/kg)을 rat에 투여하였다.
blood glucose, choleaterol, triglycerida를 측정하기위해 하대정맥에서 혈액 sample을 취하여 원심분리하여 사용하였다.
다. Blood glucose , cholesterol 및 Triglyceride
혈액 sample을 상온에서 원심분리 하여 GOD-glucose assay, CHOD-PAP cholesterol assay, 그리고 GPO-PAP triglyceride assay를 위한 plasma를 제공하여 conventional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라. 통계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평균치와 표준오차를 계산하였고, 각군간의 차이는 student t-test를 사용하여 P값이 5%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상황, 어성초, 홍삼 및 양파를 각각 50% MeOH로 추출 농축하여 냉동 건조시킨 후 이들을 상황 , 상황+어성초, 상황+홍삼 및 상황+양파등으로 조합하고 그 조합물에 대하여 DPPH법과 LDL을 이용한 TBARS assay에 의한 항산화 활성과 streptozotocin투여 고지혈 및 고혈당 유발쥐에 대한 항당뇨 실험을 실시하였다.
1. DPPH에 의한 항산화능 측정
Hatano 등의 방법에 의하여 실험에서와 같이 각 조합물을 100-3000ppm(99.5% ethanol)의 6가지 농도에 대하여 0.1mM DPPH용액(99.5% ethanol)을 가해 항산화능을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Table 1, Table 2, Fig.1, Fig.2)
그 결과 대조약물인 ascorb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상황+양파, 상황, 상황+어성초순으로 활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상황+양파의 경우 상황 단독투여보다 DPPH에 의한 radical scavenging activity가 우수하였으며 상황+홍삼의 경우는 활성이 낮았다.
또한 IC50의 경우 상황+양파 조합물이 상황 단독투여 115.64㎍/㎖보다 84.24㎍/㎖로 우수한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나타내었고 상황+어성초의 경우 상황 단독투여군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Table 1.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DPPH
EDA% |
EDA%
| |||||||||||||||
Conc. (ppm) Sample |
100 |
200 |
500 |
1000 |
2000 |
3000 | ||||||||||
Ph. |
1.03 ±0.05 |
0.96 ±0.03 |
0.94 ±0.03 |
0.83 ±0.03 |
0.66* ±0.02 |
0.32** ±0.03 | ||||||||||
Ph+Ho. |
1.01 ±0.04 |
0.89 ±0.08 |
0.88* ±0.05 |
0.77* ±0.01 |
0.59* ±0.01 |
0.37* ±0.01 | ||||||||||
Ph+GR. |
1.05 ±0.03 |
0.94* ±0.03 |
1.01* ±0.03 |
0.97 ±0.00 |
0.92 ±0.01 |
0.71* ±0.03 | ||||||||||
Ph+Al. |
1.01 ±0.04 |
0.88 ±0.02 |
0.84* ±0.02 |
0.67* ±0.03 |
0.37* ±0.01 |
0.22* ±0.01 | ||||||||||
L-Ascorbic acid |
|
Ph: Phellinus, Ho: Houttuyniae herba, GR: Ginseng radix rubra, Al: Allium cephae bulbus, all 50% MeOH extract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 ± S.E. (n=2)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egative control : *p〈0.05 **p〈0.01
Fig.1.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DPPH
Ph: Phellinus, Ho: Houttuyniae herba, GR: Ginseng radix rubra, Al: Allium cephae bulbus, all 50% MeOH extract
Table 2. IC50 Value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against the DPPH Radical
Sample |
IC50 (㎍/㎖) |
Ph |
115.64±0.28** |
Ph+Ho |
115.53±1.10* |
Ph+GR |
238.82±0.91 |
Ph+Al |
84.24±0.46* |
L-Ascorbic acid. |
6.91±0.34* |
Ph: Phellinus, Ho: Houttuyniae herba, GR: Ginseng radix rubra, Al: Allium cephae bulbus, all 50% MeOH extract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 ± S.E. (n=2)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egative control : *p〈0.05 **p〈0.01
Fig.2.IC50 Value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DPPH
Ph: Phellinus, Ho: Houttuyniae herba, GR: Ginseng radix rubra, Al: Allium cephae bulbus, all 50% MeOH extract
2. LDL산화에 대한 억제효과 측정
상황 및 각 조합물에 대하여 50-2000ppm의 6가지 농도에 대하여 LDL 지방 과산화에 대한 억제활성을 실험하였다.(Table 3, Table 4, Fig.3, Fig.4)
그 결과 대조약물인 ascorb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상황+어성초, 상황+홍삼, 상황+양파, 상황,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상황+어성초, 상황+홍삼,의 경우 상황 단독투여보다 DPPH에 의한 radical scavenging activity가 우수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이 컷던 상황+양파 투여군의 경우 과산화지질억제 활성은 낮았다.
또한 IC50의 경우 상황+어성초 투여군이 상황 단독투여군 6.99㎍/㎖보다 -32.33㎍/㎖로 우수한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나타내었고 상황+홍삼투여군에서도 대조약물인 ascorbic acid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Table.3 Effect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on Cu2+-induced
LDL lipid peroxidation
MDA |
MDA(nmol/mg protein) | ||||||
ppm Sample |
25 |
50 |
100 |
200 |
500 |
1000 |
2000 |
LDL |
0.611±0.147 | ||||||
Ox-LDL |
7.504±3.98 | ||||||
Ascorbic acid |
6.89±1.15 |
4.86±0.42 |
3.19±0.73 |
2.09±0.31 |
1.99±0.19 |
0.99±0.17** |
|
Ph |
4.75±0.83 |
2.65±0.29 |
1.13±0.53 |
0.26±0.11 |
1.09±0.16 |
1.44±0.21* | |
Ph+Ho |
3.12±0.21 |
1.21±0.35 |
0.95±0.04 |
0.7±0.09 |
0.511±0.07 |
0.89±0.06** | |
Ph+GR |
5.71±0.33 |
2.98±0.21 |
1.25±0.42 |
0.95±0.02 |
0.58±0.07 |
0.89±0.04* | |
Ph+Al |
4.99±0.21 |
3.26±0.31 |
1.06±0.13 |
0.41±0.11 |
1.07±0.24 |
1.27±0.09 |
LDL : unoxidized LDL
Ox-LDL : Cu2+-induced oxidized LDL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 ± S.E. (n=2)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egative control : *p〈0.05 **p〈0.01
Ph: Phellinus, Ho: Houttuyniae herba, GR: Ginseng radix rubra, Al: Allium cephae bulbus, all 50% MeOH extract
Fig.3. Effect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Cu2+ -induced
LDL lipid peroxidation
Ph: Phellinus, Ho: Houttuyniae herba, GR: Ginseng radix rubra, Al: Allium cephae bulbus, all 50% MeOH extract
Table.4 Effect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on Cu2+-induced LDL lipid peroxidation (IC50)
Sample |
IC50(㎍/㎖) |
Ascorbic acid |
6.99±1.171** |
Ph |
7.44±2.65* |
Ph+Ho |
-32.33±5.171** |
Ph+Gr |
6.3±2.119* |
Ph+Al |
7.16±1.037 |
IC50 : Required sample concentration(㎍/㎖) for 50% inhibition of Cu2+-induced LDL lipid peroxidation
Fig.4. IC50 Value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Cu2+ -induced
LDL lipid peroxidation
Ph: Phellinus, Ho: Houttuyniae herba, GR: Ginseng radix rubra, Al: Allium cephae bulbus, all 50% MeOH extract
3. 혈액중 혈당에 대한 작용
Streptozotocin 50mg/kg을 복강내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혈당치195.6mg/dl로 정상동물의 91.5mg/dl에 비해 현저히 상승되어 고혈당이 유발된 것을 알수 있었고 당뇨병 치료약물인 양성 대조약물인 tolbotamide투여군에서는 혈당치가 117.4mg/dl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당뇨병을 유발시킨 쥐에 상황, 상황+어성초, 상황+홍삼 및 상황+양파를 각각 50, 100, 200mg/kg을 투여하였을때 대조약물과 비교하여 상황+홍삼투여군이 상황단독투여군에 비해 혈당이 120.3mg/dl, 102.8mg/dl 및 87.3mg/dl으로 용량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알수 있었다.
한편 항산화 및 과산화지질 억제작용이 큰 상황+어성초와 상황+양파 투여군의 경우 200mg/kg을 투여하였을때 144.2mg/dl 및 115.5mg/dl으로 활성이 낮았으며 특히 상황+어성초 투여군의 경우 활성이 없음을 알수 있었다.(Table 5, Fig.5, Fig.6)
Table 5. The effect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the level of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 induced hyperglycemic rats
Group |
Dose (mg/kg) |
Glucose (mg/dl) |
Normal |
91.5±8.6 | |
Control |
50 |
195.6±38.8 |
Tolbutamide |
1 |
117.4±22.1** |
Ph |
50 |
141.0±18.5* |
100 |
129.3±20.1* | |
200 |
125.0±50.55* | |
Ph+Ho |
50 |
176.0±21.3* |
100 |
156.6±22.2 | |
200 |
144.2±28.6* | |
Ph+GR |
50 |
120.3±14.7** |
100 |
102.8±16.8** | |
200 |
87.3±10.1** | |
Ph+Al |
50 |
132.3±19.1* |
100 |
123.5±22.6* | |
200 |
115.5±12.55** |
Control: 50mg/kg streptozotocin ip.
Ph: Phellinus, Ho: Houttuyniae herba, GR: Ginseng radix rubra, Al: Allium cephae bulbus, all 50% MeOH extract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 ± S.E. (n=6)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egative control : *p〈0.05 **p〈0.01
Fig.5. The effect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the level of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 induced hyperglycemic rats
Fig.6. The effect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the level of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 induced hyperglycemic rats
4. 혈청 중 총 cholesterol에 대한 작용
Streptozotocin 50mg/kg을 복강내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Table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cholesterol치 70.0mg/dl로 정상동물의 58.2mg/dl에 비해 약간 상승되어 당뇨병을 유발시킬 경우 cholesterol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수 있었으며 당뇨병 치료약인 tolbotamide투여군에서는 cholesterol치가 76.4mg/dl로 변동이 없음을 알수 있어 혈 중 cholesterol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알수 있다.
한편 당뇨병을 유발시킨 쥐에 상황 및 상황+홍삼을 각각 50, 100, 200mg/kg을 투여하였을 때 cholesterol 저하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상황+홍삼 투여군이 200mg/kg 투여군에서 61.5mg/dl으로 용량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항산화 및 과산화지질 억제작용이 큰 상황+어성초와 상황+양파 투여군의 경우 당뇨병 유발 혈액 중 cholesterol에는 활성이 낮았으며 특히 용량을 증가시킬수록 cholesterol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Fig.7, Fig.8)
Table 6. The effect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the level of blood cholesterol in streptozotocin induced hyperglycemic rats
Group |
Dose (mg/kg) |
Glucose (mg/dl) |
Normal |
58.2±6.4 | |
Control |
50 |
70.0±12.7 |
Tolbutamide |
1 |
76.4±18.1* |
Ph |
50 |
60.5±14.5 |
100 |
55.3±6.4 | |
200 |
63.5±6.7* | |
Ph+Ho |
50 |
73.8±13.5 |
100 |
81.2±8.3 | |
200 |
100.6±20.7* | |
Ph+GR
|
50 |
67.8±13.7 |
100 |
67.8±7.4 | |
200 |
61.5±17.2* | |
Ph+Al |
50 |
66.3±11.6 |
100 |
69.5±15.2 | |
200 |
72.5±21.1 |
Control: 50mg/kg streptozotocin ip.
Ph: Phellinus, Ho: Houttuyniae herba, GR: Ginseng radix rubra, Al: Allium cephae bulbus, all 50% MeOH extract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 ± S.E. (n=6)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egative control : *p〈0.05 **p〈0.01
Fig.7. The effect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the level of blood cholesterol in streptozotocin induced hyperglycemic rats
Fig.8. The effect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the level of blood cholesterol in streptozotocin induced hyperglycemic rats
5. 혈청 중 triglyceride에 대한 작용
Streptozotocin 50mg/kg을 복강내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Table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cholesterol치 123.0mg/dl로 정상동물의 60.4mg/dl에 비해 현저히 상승되는 것을 알수 있었고 당뇨병 치료약인 tolbotamide투여군에서는 중성지방인 triglyceride치가 74.2mg/dl로 현저히 감소됨을 알수 있었다.
한편 당뇨병을 유발시킨 쥐에 상황을 단독으로 50, 100, 200mg/kg을 투여 하였을때 중성지방이 67.5, 64.8 및 65.3mg/dl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상황+홍삼을 동일하게 투여하였을때 중성지방이 65.3, 66.3 및 62.3mg/dl으로 감소되어 상황 단독보다는 홍삼을 조합하는 것이 활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 및 과산화지질 억제작용이 큰 상황+어성초와 상황+양파 투여군의 경우 당뇨병 유발 혈액 중 triglyceride에는 활성이 낮았으며 특히 용량을 증가시킬수록 cholesterol의 농도와 같이 triglyceride농도 역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Fig.9, Fig.10)
Table 7. The effect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the level of blood triglyceride in streptozotocin induced hyperglycemic rats
Group |
Dose (mg/kg) |
triglyceride (mg/dl) |
Normal |
60.4±22.8 | |
Control |
50 |
123.0±35.3 |
Tolbutamide |
1 |
74.2±29.2* |
Ph |
50 |
67.5±17.7 |
100 |
64.8±22.5* | |
200 |
65.3±25.4* | |
Ph+Ho |
50 |
86.6±22.0 |
100 |
130.2±38.3 | |
200 |
143.6±60.3 | |
Ph+GR
|
50 |
65.3±8.3 |
100 |
66.3±13.1* | |
200 |
62.3±13.6** | |
Ph+Al |
50 |
74.8±15.6 |
100 |
84.8±14.4 | |
200 |
91.3±23.4 |
Control: 50mg/kg streptozotocin ip.
Ph: Phellinus, Ho: Houttuyniae herba, GR: Ginseng radix rubra, Al: Allium cephae bulbus, all 50% MeOH extract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 ± S.E. (n=6)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egative control : *p〈0.05 **p〈0.01
Fig.9. The effect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the level of blood triglyceride in streptozotocin induced hyperglycemic rats
Fig.10. The effects of Phellinus and its Preparations on the level of blood triglyceride in streptozotocin induced hyperglycemic rats
결 론
현재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질병과 노화기전의 규명과 각종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로의 항산화제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또 동맥경화 저해인자로 알려진 저밀도 단백질(low density lipoptotein, LDL)은 활성산소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산화 LDL을 생성시키고 이것은 동맥경화 유발인자로 작용하므로 합성 또는 천연의 LDL 산화에대한 억제제로서의 역할과 그들의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효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민간에서 사용되는 상황버섯과 관련된 민간 제제에 대하여 항산화 및 과산화 지질 억제 및 당뇨병에 대한 실험을 실시 그 활성을 증명하고 나아가 항노화, 동맥경화 억제 및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상황 관련 민간제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은 상황, 상황+어성초, 상황+홍삼 및 상황+양파등의 추출물 조합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DPPH에 의한 항산화 효과 - 대조약물인 ascorb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상황+양파, 상황, 상황+어성초순으로 활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상황+양파의 경우 상황 단독투여보다 DPPH에 의한 radical scavenging activity가 우수하였으며 상황+홍삼의 경우는 활성이 낮았다.
또한 IC50의 경우 상황+양파 조합물이 상황 단독투여 115.64㎍/㎖보다 84.24㎍/㎖로 우수한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나타내었고 상황+어성초의 경우 상황 단독투여군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2. LDL산화에 대한 억제효과 - 대조약물인 ascorb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상황+어성초, 상황+홍삼, 상황+양파, 상황,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상황+어성초, 상황+홍삼,의 경우 상황 단독투여보다 DPPH에 의한 radical scavenging activity가 우수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이 컷던 상황+양파 투여군의 경우 과산화지질억제 활성은 낮았다.
또한 IC50의 경우 상황+어성초 투여군이 상황 단독투여군 6.99㎍/㎖보다 -32.33㎍/㎖로 매우 우수한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나타내었고 상황+홍삼투여군에서도 대조약물인 ascorbic acid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3. 혈액중 혈당에 대한 작용 - 당뇨병을 유발시킨 쥐에 상황, 상황+어성초, 상황+홍삼 및 상황+양파를 각각 50, 100, 200mg/kg을 투여하였을 때 대조약물과 비교하여 상황+홍삼투여군이 상황 단독투여군에 비해 혈당이 120.3mg/dl, 102.8mg/dl 및 87.3mg/dl으로 용량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항산화 및 과산화지질 억제작용이 큰 상황+어성초와 상황+양파 투여군의 경우 200mg/kg을 투여하였을 때 144.2mg/dl 및 115.5mg/dl으로 활성이 낮았으며 특히 상황+어성초 투여군의 경우 활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4. 혈청 중 총 cholesterol에 대한 작용 - 한편 당뇨병을 유발시킨 쥐에 상황 및 상황+홍삼을 각각 50, 100, 200mg/kg을 투여하였을 때 cholesterol 저하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상황+홍삼 투여군이 200mg/kg 투여군에서 61.5mg/dl으로 용량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항산화 및 과산화지질 억제작용이 큰 상황+어성초와 상황+양파 투여군의 경우 당뇨병 유발 혈액 중 cholesterol에는 활성이 낮았으며 특히 용량을 증가시킬수록 cholesterol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혈청 중 triglyceride에 대한 작용 - 상황을 단독으로 50, 100, 200mg/kg을 투여 하였을 때 중성지방이 67.5, 64.8 및 65.3mg/dl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상황+홍삼을 동일 조건하에 투여하였을 때 중성지방이 65.3, 66.3 및 62.3mg/dl으로 감소되어 상황 단독보다는 홍삼을 조합하는 것이 활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항산화 및 과산화지질 억제작용이 큰 상황+어성초와 상황+양파 투여군의 경우 당뇨병 유발 혈액 중 triglyceride에는 활성이 낮았으며 특히 용량을 증가시킬수록 cholesterol의 농도와 같이 triglyceride농도 역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현재 민간에서 사용되는 상황 및 그 관련제제에 대하여 항노화 및 동맥경화와 연관된 활성산소의 항산화 및 과산화 지질 억제 실험에서 상황 단독보다는 상황에 어성초 또는 상황에 양파를 추가하는 것이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험 결과 나타났으며 특히 항산화의 경우 양파를 그리고 동맥경화와 관련된 과산화지질에는 상황에 어성초를 처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당뇨실험을 통하여 상황 단독보다는 홍삼을 복합 처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으며 특히 어성초 및 양파 투여군에서는 용량이 증가할수록 혈액내 glucose, cholesterol 및 triglyceride 양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병 또는 예방시 상황과 관련된 복합제제의 복용할 때에는 당뇨 검사를 한후 당뇨병이 아닐경우에만 양파 및 어성초제제를 복용하여야하고 당뇨병일 경우는 상황에 홍삼을 복합 처방하여 복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려된다.
인 용 문 헌
Eun JS, Kim DK, So JN, Zee OP. A suppressive component on phagocytosis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 in Aurantii immaturi pericarpium. Yakhak Hoeji 42, 567(1998)
Park JH, Kim WY, Lee Yh, Moon KS, Kim JK, Kim WK, Lee SK. Antitumor activity of the extract of Unripe cotton ball. Yakhak Hoeji 43, 23(1999)
Skehan P, Storeng R, Scudiero D, Monks A, McMahan J, Vistica D, Warren JT, Bokesch H, Kenney S, Boyd MR. New colorimetric cytotoxicity assay for anticancer-drug screening. J. Natl. Cancer Inst. 82, 1107(1990)
新編 中約大辭典: 新文豊出版公司, 中 p1480(中華民國 71年)
赤松金芳: 和漢藥, ?齒藥出版株式會社(日本), p515(昭和47)
和漢藥百科圖鑑: 保育社, 難波英雄, 下 p240(平成6年)
前田幸子 등 : 단백질, 효소, 핵산, 21(6),425-435(1976)
Hatano, T. :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ural Medicines, 49, 357 (1995)
Halliwell, B. : Drug antioxidant effects, Drugs, 42, 569 (1991)
木村善行, 奧田拓道 : 抗酸化劑としての和漢藥, 日本臨床 46, 2286 (1988)
Fukujawa, K., and Takaishi, Y. : Antioxidants, J. Act. Oxyg. Free Rad., 1, 55 (1990)
皆川信子 : 活性酸素か關與する代表的疾患, フアルマシア 29, 1029 (1993)
Branen, A. L. :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utylated hydroxyanisole. J. Am. Oil Chem. Soc. 52, 59 (1975)
Masaki, H., Sakaki, S., Atsumi, T., and Sakurai, H. :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 (1995)
Omaye, S. T.,Reddy, K. A. and Cross, C.E. :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and other antioxidants on mouse lung metabolism. J. Toxicol. Environ. Health 3, 829 (1977)
Inkeda, N. and Fukuzume, K. : Tocopherols as antioxidants in oxidation of methyl linolate.
J.Japan Oil Chem. Soc., 26, 343 (1977)
Hatano, T., Edamatsu, R., Hiramatus, M., Mori, A., Fujita, Y., Yasuhara, T., Yoshida, T., and Okuda, T. :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tannins with co-existing substances. Ⅳ.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2016 (1989)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슬, 쇠무릎 (0) | 2006.05.15 |
---|---|
[스크랩] 말굽버섯의 항암효과 (0) | 2006.05.15 |
[스크랩] 영지와 상황버섯의 신비 (0) | 2006.05.15 |
[스크랩] 삼의 성장 과정 (0) | 2006.05.15 |
[스크랩] 식물이 아플때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0) | 2006.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