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나무

[스크랩] 6월의 주요 실천 농작업

지리산자연인 2006. 5. 19. 22:30



6월의 주요 실천 농작업

이번 주간에 실천 할 농작업

4. 과 수
○ 사과 점무늬낙엽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홍로 등 감수성 품종을 재배하는 농가와 일부 농가에서는 점무늬낙엽병의 진전에 따른 잎의 황화와 낙엽이 발생하고 있으니 방제에 유의하도록 한다.
○ 장마철이 다가옴에 따라 겹무늬썩음병 및 갈색무늬병(사과), 노균병 및 갈색무늬병(포도), 세균성구멍병 및 잿빛곰팡이병(복숭아) 등 예찰 및 방제에 유의하도록 한다.
○ 무성하게 웃자란 가지는 나무 내부에 그늘을 만들고, 통풍을 불량하게 하여 꽃눈의 발달을 나쁘게 하며 병해충의 발생을 조장하게 되므로 웃자란 가지 등은 알맞게 솎아준다
○ 우박피해가 발생한 과원에서는 피해 정도에 따라 열매솎기를 해주어야하는데 피해가 심한 경우에는 모두 적과하고 중정도는 30~50%, 피해가 경미한 경우에는 정상 관리하도록 하고, 과실이나 잎 등으로 제2차 병원균 감염 방지를 위하여 종합 살균제를 살포하도록 한다.
○ 과원에 무성하게 자라는 풀을 방치하면 광합성과 통풍을 저해하므로 30~40㎝ 정도 자라면 깎아주고, 배수로 등을 정비하여 준다.
| 원예작물 병해충(예보)

4.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총채벌레 등 해충
○ 토마토, 파프리카, 고추 등의 과채류에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꽃노랑총채벌레 등 해충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 이들 해충은 같은 약제를 계속 사용하면 약제저항성이 생겨 방제효과가 낮아지니 농약을 바꾸어 가며 방제하기 바랍니다.
5. 사과 점무늬낙엽병,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탄저병, 포도 노균병, 갈색무늬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잿빛곰팡이병, 단감 둥근무늬낙엽병, 탄저병 등 과수 병해
○ 고온 건조한 날씨로 경과되어 모든 과원에서의 병 발생은 전반적으로 적은 경향입니다.
<점무늬낙엽병에 의한 황화>
○ 앞으로 장마철을 맞으면 사과 점무늬낙엽병,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탄저병, 포도 노균병, 갈색무늬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잿빛곰팡이병 발생이 우려되므로 장마 전에 예방 위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 특히 과원의 적정한 토양 수분을 유지하여 나무가 수분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면 수세가 좋아져 병 발생도 적게 됩니다.
○ 단감 둥근무늬낙엽병과 탄저병이 최근 강우로 포자가 번져 침입하여 8월 하순경에 병무늬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감꽃이 진후 방제를 못한 과원에서는 비가 온 전후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6. 과수 응애·진딧물, 사과굴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잎말이나방, 감나무 감관총채벌레 등 과수 해충
○ 사과응애, 점박이응애, 은무늬굴나방, 복숭아순나방 발생은 많은 경향을 보이고, 조팝나무진딧물은 발생과원 비율은 높지만 밀도는 낮은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응애류는 정기적으로 관찰하여 발생초기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고, 복숭아순나방은 1세대 피해가 많았거나 지난해 피해가 많았던 과원을 중심으로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고, 적과나 봉지씌우기 작업시 피해를 받은 신초나 어린과일은 없애주기 바랍니다.
○ 지난 2000년에 경남 창원에서 첫 발생했던 감나무 감관총채벌레가 최근 경북지역(청도, 포항, 구미, 문경)에서도 발생되고 있으니 감꼭지나방과 동시방제 하기 바랍니다.
○ 장마기에 대비하여 수관내부까지 바람과 햇볕 쪼임이 좋도록 도장지 정리와 배수로 정비를 잘 해 주고 방제시에는 잎 뒷면까지 고루 묻을 수 있도록 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 초생재배 과원에서 풍뎅이류 피해가 우려될 경우에는 6월하순경 전면 경운을 하여 주거나 토양살충제를 살포하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동물 식물 나라
글쓴이 : 운영자《용》 원글보기
메모 :

'나무들 >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광나무  (0) 2006.05.20
노니  (0) 2006.05.19
[스크랩] 과수원 ‘점박이응애’ 천적활용  (0) 2006.05.19
[스크랩] 분재관리 북  (0) 2006.05.19
[스크랩] 국수나무  (0) 2006.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