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나무

수목분류/자작나무

지리산자연인 2008. 2. 17. 19:55


수목분류 가장 중요…개화기와 열매, 고유기능 등으로 분류

조경기능사 필기는 물론 실기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수목의 분류이다.
수목은 개화기와 열매, 단풍 색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수목의 고유기능, 특성으로 상세한 분류가 이뤄진다.
이에 수목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와 함께 수목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관련해 자주 출제되는 문제를 소개하고자 한다.

♣ 용어해설 ♣

▶ 수고(樹高) H:나무의 높이를 말하며 H로 표시한다. 표시단위는 m이다.
▶ 수관(樹冠) 나비 W:나무의 폭을 말한다. 즉 가지와 잎이 뭉쳐 어우러진 부분을 수관이라 하며 그 폭을 수관나비라 한다. W로 표시하며 표시단위는 m이다.
▶ 근원지름 R:뿌리바로 윗 부분 즉 나무 밑둥 제일 아랫부분의 지름을 말한다. R로 표시하며 단위는 cm이다.
▶ 흉고지름 B:가슴높이의 줄기 지름을 측정한 값을 말한다. 지상 1.2m 지점의 나무 줄기의 지름을 측정한 값으로 B로 표시하며 단위는 cm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 ‘3-소나무 H3.5×R15’로 표기되었다면 높이 3.5m의 근원지름 15cm 짜리 소나무 3주를 의미한다. ‘30-회양목 H0.5×W0.3"은 높이 0.5m 수관나비 0.3m 회양목이 30주가 식재됐음을 의미한다.
보통 아파트 관리사무소에는 건축설계도면이 있고 조경도면이 있는데 그것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나무의 규격표시는 대체로 교목은 수고 H와 근원지름 R로 표시하며 관목은 근원지름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수고 H와 수관나비 W로 표시한다. 예외적으로 주목은 주로 수고 H와 수관나비 W로 표시하며 은행나무는 수고 H와 흉고지름 B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 수목의 분류 ♣

1. 꽃의 개화기 및 색깔로 분류
▶ 3월:동백나무(적색), 풍년화(황색), 생강나무(황색), 산수유(황색), 개나리(황색), 매화나무(담홍색, 백색)
▶ 4월:살구나무(담홍색), 벚나무(담홍색, 백색), 명자나무(담홍색), 박태기나무(담홍색), 목련(백색, 자주색), 산철쭉(홍자색), 조팝나무(백색), 황매화(황색), 히어리(황색)
▶ 5월:등나무(연자색), 모과나무(담홍색), 백합나무(녹황색), 산딸나무(백색), 쥐똥나무(백색), 칠엽수(홍백색), 영산홍(담홍자색), 이팝나무(백색), 매자나무(황색)
▶ 6월:인동(백색, 황색), 해당화(자홍색), 수국(자주색), 치자나무(백색), 피라칸사(백색), 개쉬땅나무(백색)
▶ 7월:자귀나무(담홍색), 불두화(백색), 무궁화(백색, 담자색), 회화나무(황색), 배롱나무(홍색), 능소화(주황색)

2. 열매로 분류
▶ 6월:앵두나무(적색)
▶ 7월:살구나무(황적색), 자두나무(자색), 매실나무(황녹색)
▶ 9월:주목(적색), 감탕나무(흑자색), 동백나무(흑자색), 아왜나무(흑자색), 칠엽수(갈색), 산딸나무(적색), 매자나무(적색), 화살나무(적색)
▶ 10월:모과나무(황색), 꽃사과(황색), 목련(적색), 은행나무(황색), 피라칸사(적색), 아그배나무(적색), 마가목(적색), 사철나무(적색), 산수유(적색), 남천(적색), 낙상홍(적색), 쥐똥나무(흑색)

3. 단풍색으로 분류
▶ 빨간 단풍:단풍나무류, 감나무, 담쟁이, 옻나무, 붉나무, 마가목, 산딸나무, 화살나무 등이 있으며 이외에는 거의 노란 단풍이라고 보면 맞다.
▶ 노란 단풍:고로쇠단풍, 은행나무, 느티나무, 계수나무, 참나무류, 배롱나무, 플라타너스, 자작나무 등 대부분의 조경수

♣ 자주 출제되는 수목·식물 분류문제 ♣

수목·식물 분류문제는 매우 광범위하고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아래에 제시한 문제들은 조경기능사 준비시 필히 숙지해야 한다. 이는 아파트 조경 실무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1. 공해에 강하여 가로수로 가장 많이 쓰이는 나무:은행나무
2. 봄에 노란 꽃이 피며 붉은 열매는 약용으로 쓰이는 나무:산수유
3. 여름에 연보라색 꽃이 피며 뿌리는 약용으로 쓰이며 그늘진 나무 밑에서도 잘 자라는 지피식물:맥문동
4. 공해·맹아력이 약하며 건조지, 척박지에서도 잘 자라나 이식하기 어려운 나무:소나무
5. 모래터 위의 녹음식재에 적합한 나무:버즘나무, 백합나무, 튤립나무
6. 겨울화단용 꽃:양배추꽃
7.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며 맹아력이 강하여 형상수로 적합하며 가을에 열매가 붉게 되는 나무:주목
8. 어릴 땐 심근성, 늙어서는 천근성인 나무:오리나무
9. 봄뿌림(가을화단용)초화류:맨드라미, 매리골드, 피튜니아, 금잔화
10. 가을뿌림(봄화단용)초화류:팬지, 스위트피
11. 봄심기(가을화단용) 알뿌리화초:다알리아, 칸나
12. 가을심기(봄화단용) 알뿌리화초:튤립, 수선화
13. 붉은계통의 단풍:담쟁이, 붉나무, 옻나무, 감나무, 화살나무, 마가목, 홍단풍, 산딸나무
14. 황색계통의 단풍:은행나무, 느티나무, 백합나무, 갈참나무, 고로쇠나무, 계수나무, 칠엽수
15. 내염성이 약한 나무:독일가문비, 소나무, 일본목련, 왕벚나무
16. 내염성이 강한 나무:해송, 비자나무, 눈향나무, 동백나무
17. 굵은 가지를 다듬으면 상처가 썩어들어가며 흰가루병과 빗자루병에 모두 잘 걸리는 나무:벚나무
18. 공해에 강한 나무:사철나무, 벽오동, 은행나무, 플라타너스, 가시나무
19. 공해에 약한 나무:소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느티나무, 독일가문비나무
20. 옥상조경에 좋은 나무:라일락, 수수꽃다리
21. 곁움이 잘 생기는 나무:느티나무, 라일락
22. 가지치기를 안해도 수형이 잘 잡히는 나무:느티나무
23. 침엽수 중에 낙엽이 지는 나무:은행나무, 메타세쿼이아, 낙엽송
24. 심근성 나무:소나무, 전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모과나무, 백합나무
25. 천근성 나무:독일가문비, 편백, 미루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 현사시나무, 매화나무
26. 울타리용 나무:쥐똥나무, 사철나무, 개나리, 철쭉, 회양목, 매자나무, 명자나무, 화살나무, 가시나무
27. 지피식물:맥문동, 잔디, 조릿대
28. 척박지에 잘 견디는 나무:소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등나무, 아카시아, 자귀나무
29. 비옥지를 좋아하는 나무:주목, 장미, 측백, 회양목, 철쭉, 벽오동, 벚나무, 불두화
30. 잎의 모양은 침엽수이나 활엽수에 속하는 나무:위성류
31. 잎의 모양은 활엽수이나 침엽수에 속하는 나무:은행나무
32. 전정할 때 반드시 가위를 45도로 눕혀서 해야 하는 나무:가이즈까향나무
33. 월동기를 대비하여 반드시 수피감기를 해줘야 하는 나무:단풍나무, 배롱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