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

[스크랩] 한국농업대학산하 농업기술연수관 농기계교육(무료)

지리산자연인 2008. 3. 5. 19:42
 

 농업기계교육


1. 목  표

○ 농업기계 조작 및 점검․정비 능력을 갖춘 농업기계 전문가 양성

 ○ 농업기계 이용률 향상 및 내구연한 증가로 농가의 경영개선 도모 


2. 추진방향

 ○ 새로 개발 보급되는 신개발 기종 농업기계의 이용기술 교육 강화

 ○ 원예․축산, 밭작물분야 농업기계 취급조작 및 정비수리교육 확대

 ○ 점검․정비 핵심기술 교육 강화로 농업기계 이용률 증진


3. 과정편성

과 정 명

교육

기간

인 원

교육시기

대 상

장 소

계 12과정

2일~2주

1,520

 

 

 

1. 농업기계산업기사 양성

2주

30

2. 18~2. 29

희망 농업인

한농대

2. 신개발 기종

3일(2기)

180

3. 12~3. 21

농기계담당공무원

3. 한농대생 농기계

 - 공통필수(기초)

 

1주

330 

(300)

 

3월말~5월말

 

한농대 신입생

(학과별 실시)

 - 선택교육

1학기

(30)

2학기

4. 전․특작기계화촉진

2일

280

6월 중순

기계담당공무원

 및 지역농업

추후결정

5. 도시민 기초농기계

3일

30

6월 하순

도시민, 귀농인

한농대

6. 농과대학생 농기계

1주

40

6. 30~7. 4

전국농과계대학생

7. 농업기계정비기능사 양성

 - 제1기 : 한농대 학생

 - 제2기 : 희망 농업인

2주

 

 

80

(40)

(40)

 

7. 7~7. 18

7. 28~8. 8

 

한농대 학생

희망 농업인

 

8. 농업기계산업기사 종합 정비실기

2일

20

7월 중순

산업기사수료자

9. 무인방제기

3일

30

7월 하순

농기계담당공무원

한농대

10. 농업기계 교육훈련사업 발전연찬

2일

180

10월말~11월초

추후결정

11. 기종별 핵심전문 기술

2일

280

11월중

〃 

해당업체

12. 농업기계정비기능사

   종합정비 실기

2일

40

11월 하순

정비기능사 수료자

4. 과정별 추진계획

 (1) 농업기계산업기사 양성

   농업기계분야 종사자에게 산업기사 자격취득에 필요한 이론과 실기 중점 교육으로 전문지식과 기능을 겸비한 고급 기술인력 양성

 ○ 교육시기 : 2. 18 ~ 2. 29(2주, 합숙)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정비기능사 취득자, 농과대학 졸업자, 2년 이상 농기계분야

                실무 근무자 등

  ○ 교육인원 : 30명

  ○ 교육내용

    - 농업기계 산업기사 자격취득 관련 교과목에 대한 이론 및 실기교육

    - 주요 기종 취급조작 및 정비기술 등


 (2) 신개발 기종

  새로 개발 보급되고 있는 신기종 농업기계의 취급조작 및 핵심정비 기술 중점 교육으로 농기계교관 및 담당지도공무원의 직무능력 향상

 ○ 교육시기(2기, 기당 3일, 비합숙)

    - 제1기 : 3. 12~3. 14

    - 제2기 : 3. 19~3. 21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도, 시․군 농기계담당자 및 농기계교관

  ○ 교육인원 : 180명(1기 : 90명, 2기 : 90명)

  ○ 교육내용

    - 신개발기종 중심의 주요기대 취급조작 및 정비수리기술 등

    경종 : 전기전자․유압계통

    ․원예 : 자동제어장치 등

    ․축산 : 스키드로더, 베일러 등

(3) 한농대 학생 농업기계

○ 한농대 학생들의 졸업 후 체험해야 할 농업기계 취급 및 운전조작, 정비수리 교육 강화로 농업기계 이용능력 향상 및 미래 전문인력 양성

○ 실기 실습위주의 농업기계 취급 및 운전요령, 경운정지 작업기술

 ○ 교육시기

  - 공통필수(기초)교육 : 3월 말~5월 말(7기, 기별 5일씩 실시)

  - 선택교육 : 2학기 중 실시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한국농업대학 신입생 중심

 ○ 교육인원 : 330명(공통필수 : 300명, 선택교육 : 30명)

 ○ 교육내용

  - 농업기계 구조, 작동원리, 포장작업요령, 안전관리

  - 기종별, 분야별 취급조작, 실기실습 및 주요 핵심부분 점검정비기술 등


(4) 전․특작 기계화 촉진

 ○ 기계화 및 전문기술이 상대적으로 미진한 전․특작분야의 농업기계교육 강화

 ○ 보편화되어 있고, 최근 개발 보급된 전․특작분야 농업기계의 연․전시를 통한 실기실습 교육으로 전문기술 습득 및 전․특작기계화 촉진

 ○ 교육시기 : 6월 중순(2일, 비합숙)

 ○ 교육장소 : 추후결정

 ○ 교육대상 : 도원 및 시군 농기계교관, 전․특작담당자, 현지관련 농업인 등

 ○ 교육인원 : 280

 ○ 교육내용 : 전․특작분야 주요 기종의 취급조작, 정비, 포장작업 연시 및 전시 등

(5) 도시민 기초 농업기계

   소규모 영농을 하는 도시민 및 귀농인을 대상으로 소형 농업기계의 이용기술 및 안전사용법 교육으로 농업기계 이용기술 향상 도모

 ○ 교육시기 : 6월 하순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도시민 및 귀농인

 ○ 교육인원 : 30명

 ○ 교육내용 : 휴대용예취기, 보행관리기, 소형파종기, 방제기 등 기초 농업기계의 이용기술 및 안전사용법 등


(6) 농과대학생 농업기계

○ 대학에서 배운 이론영역에 현장에 적응하기 위한 실기실습교육

작부체계에 맞는 작업기 등의 접목 기술교육으로 농업기계 운용기술 강화

 ○ 교육시기 : 6. 30 ~ 7. 4(5일, 합숙)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전국 농과계대학생 중 교육희망 학생

○ 교육인원 : 40명

 ○ 교 육 비 : 한국농업대학 부담

 ○ 교육내용

  - 국내 주요 보급기종의 운전조작, 취급요령, 포장실습 등

  - 시험ㆍ연구기관 현장 실습교육 등

(7) 농업기계 정비기능사 양성

국가기술자격 취득 희망농업인들에게 자격을 취득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농업기계 자가 정비수리기술 향상 및 기계화영농을 선도할 핵심 전문농업인 양성

 ○ 교육시기(2주, 합숙)

  - 제1기 : 7.  7 ~ 7. 18(한농대 재학생)

  - 제2기 : 7. 28 ~ 8. 8(희망 농업인)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농업인, 수리점 요원, 한농대학 재학생 등 자격취득 희망자

 ○ 교육인원 : 80명(기당 40명)

 ○ 교육내용

  - 농업기계정비기능사 자격취득 관련 교과목에 대한 이론 및 실기교육

  - 주요 기종 취급조작 및 정비수리 기술 등


(8) 농업기계 산업기사 종합정비 실기

  산업기사 양성교육 수료자로서 산업기사 필기시험 합격자에게 정비수리 실기분야 중점교육으로 자격취득 및 현장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 도모

 ○ 교육시기 : 7월 중순(2일, 비합숙)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산업기사 양성교육 수료자 및 필기시험 합격자 중 자격 취득 희망자

 ○ 교육인원 : 20

(9) 무인방제기

  첨단화, 전자화되어 보급되고 있는 무인헬기, 광역방제기 등의 올바른

  사용방법과, 점검정비 기술교육으로 고급 기술인력 양성

○ 교육시기 : 7월 하순(3일, 비합숙)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농기계교관, 담당공무원(무인헬기 및 광역방제기 보급 시군 우선)

 ○ 교육인원 : 30명

 ○ 교육내용 : 무인헬기, 광역방제기, 무인방제기의 취급조작 및 점검정비,  올바른 작업요령 등


(10) 농업기계 교육훈련사업 발전연찬

  농업기계 교육훈련 사업추진 현장 우수사례 및 순회수리교육 등을 비교 평가하여 우수사례 벤치마킹 및 정보교환으로 사업 활성화 도모

 ○ 교육시기 : 10월 말~11월 초(2일, 비합숙)

 ○ 교육장소 : 추후 결정

 ○ 교육대상 : 도, 시군 농기계교관, 농기계교육담당 공무원

 ○ 교육인원 : 180명

  ※ 세부추진 사항은 추후 확정하여 공문발송 계획





(11) 기종별 핵심 전문기술

농업기계 생산업체에 주요 기종별 핵심전문기술에 대한 위탁교육을

    실시하여 일선 농업기계 담당 공무원의 정비수리 기술능력 향상

 ○ 생산업체 현장에서 현지지도 및 교육시 문제 중심의 핵심교육

 ○ 교육시기 : 11월중(2일씩, 10기, 비합숙)

 ○ 교육장소 : 해당 관련업체 교육원

 ○ 교육대상 : 농기계교관, 담당공무원 등

 ○ 교육인원 : 280명(기당 20~30명)

 ○ 교육내용 : 핵심기종의 유압, 전기전자, 트랜스 밋션부 분해조립 및 시설 원예 분야, 축산분야, 건조기 등의 취급조작 및 핵심부분 정비 등


(12) 농업기계 정비기능사 종합정비 실기

정비기능사 양성교육 수료자 및 정비기능사 필기시험 합격자에게 정비 수리 실기분야 중점교육으로 자격취득 및 현장에서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

 ○ 교육시기 : 11월 하순(2일, 비합숙)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

 ○ 교육대상 : 정비기능사 양성교육 수료자 및 필기시험 합격자 중 자격취득 희망자

 ○ 교육인원 : 40명




5. 관련 법령

 □ 농촌진흥법 제2조 제3항(법률 제6353호, 2001. 01. 16) 및 동법시행령 제8~10조(대통령령 제15135호, 1996. 08. 08)

  ○ 농촌지도사업 및 교육훈련사업에 종사하는 자에 대한 교육훈련

   - 농업인, 농촌여성 및 이와 관련된 단체의 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

   - 전업농업인, 농업경영인 등 전문 농업 인력의 육성을 위한 교육훈련


 □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 제5조 제3항(법률 제6221호, 2000. 01. 28) 및 동법 시행 규칙 제3조의 9(농림부령 제1371호, 2000. 8. 10)

  ○ 기계화영농사에 대한 교육훈련과 그 지도 활동에 관한 사항

  ○ 기계화영농사를 선정하고 기계화영농사의 육성에 필요한 지원

  ○ 기계화영농사증 소지자에 대한 우대 방안 강구


 □ 농업기계화촉진법 제5조 제2항(법률 제5951호, 1999. 03. 31)

  ○ 농업기계화 촉진을 위한 기술훈련 기본계획 수립

  ○ 농업기계 기술, 안전관리 등의 교육

  ○ 농업기계의 효율적인 이용관리에 관한 교육


 □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직제 제64조(대통령령 제17638호, 2002. 06. 25)

  ○ 농업인에 대한 농업기계 교육

  ○ 지도직공무원에 대한 농업기계 교육

  ○ 기타 전문 농업인력 육성시책 관련 교육

 분야별 교육장소 안내

 

교육장 위치도


 

 

 

공무원․농업인 교육 : 한국농업대학(기술연수과, 수원시 소재)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88-14  (기술연수과 - 농촌개발연수관)

전화 031)290-6920~2, 290-6930~1   팩스 031)290-6950

▣ 시내버스 이용시 : 36, 37, 38, 39, 92, 88, 720, 720-2번

※ 36~39, 92번 : 수원역(건너편) → 서호초등학교 → (구)서울대 농생대 하차 → 걸어서 15분정도(농촌자원개발연구소방향) → 농촌개발연수관

 

※ 88, 720, 720-2번 : 수원역(건너편)→(구)서울대 농생대→농촌자원개발연구소 앞 하차 → 정문통과→농촌개발연수관

 

▣택시 이용시:수원역 앞(택시 타는 곳) → 농촌자원개발연구소 정문 → 농촌개발연수관

▣네비게이션 이용시:한국농업대학 기술연수과 입력


 

 

 

농업기계교육 : 한국농업대학(화성시 소재)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동화리 11-1(한국농업대학 농기계교육장)

전 화 031)229-5245~6    팩스 031)229-5240

수원역에서 오는 경우

 ① 자 가 용 : 평동 굴다리→고색사거리→발안방향 직진→수원대학교 쪽으로 1.5Km직진 오른쪽에 위치

 ② 택시이용 : 한국농업대학 하차(요금은 약 1만원/약 10-15분소요)

 ③ 버스이용 : 수원역 관광안내소 쪽에서 시내버스 700-2, 77-1번

               (수원대학교, 와우리 방면) 이용하여 한국농업대학 정문

서울방면에서 오는 경우

 ① 사당역에서 수원대행 직행버스 이용 한국농업대학 앞 하차

 ② 자가용: 과천-의왕간 자동차 전용도로 끝지점(발안방면)에서 좌회전후1.5km진행→우회전후 1.5km 이동하면 한국농업대학 정문

 

▣네비게이션 이용시:한국농업대학 입력

출처 : 하 늘 내 린 터
글쓴이 : 하늘내린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