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계교육
1. 목 표
○ 농업기계 조작 및 점검․정비 능력을 갖춘 농업기계 전문가 양성 ○ 농업기계 이용률 향상 및 내구연한 증가로 농가의 경영개선 도모 |
2. 추진방향
○ 새로 개발 보급되는 신개발 기종 농업기계의 이용기술 교육 강화
○ 원예․축산, 밭작물분야 농업기계 취급조작 및 정비수리교육 확대
○ 점검․정비 핵심기술 교육 강화로 농업기계 이용률 증진
3. 과정편성
과 정 명 |
교육 기간 |
인 원 |
교육시기 |
대 상 |
장 소 |
계 12과정 |
2일~2주 |
1,520명 |
|
|
|
1. 농업기계산업기사 양성 |
2주 |
30 |
2. 18~2. 29 |
희망 농업인 |
한농대 |
2. 신개발 기종 |
3일(2기) |
180 |
3. 12~3. 21 |
농기계담당공무원 |
〃 |
3. 한농대생 농기계 - 공통필수(기초) |
1주 |
330 (300) |
3월말~5월말 |
한농대 신입생 |
(학과별 실시) |
- 선택교육 |
1학기 |
(30) |
2학기 |
〃 |
〃 |
4. 전․특작기계화촉진 |
2일 |
280 |
6월 중순 |
농기계담당공무원 및 지역농업인 |
추후결정 |
5. 도시민 기초농기계 |
3일 |
30 |
6월 하순 |
도시민, 귀농인 |
한농대 |
6. 농과대학생 농기계 |
1주 |
40 |
6. 30~7. 4 |
전국농과계대학생 |
〃 |
7. 농업기계정비기능사 양성 - 제1기 : 한농대 학생 - 제2기 : 희망 농업인 |
2주
|
80 (40) (40) |
7. 7~7. 18 7. 28~8. 8 |
한농대 학생 희망 농업인 |
〃 |
8. 농업기계산업기사 종합 정비실기 |
2일 |
20 |
7월 중순 |
산업기사수료자 |
〃 |
9. 무인방제기 |
3일 |
30 |
7월 하순 |
농기계담당공무원 |
한농대 |
10. 농업기계 교육훈련사업 발전연찬 |
2일 |
180 |
10월말~11월초 |
〃 |
추후결정 |
11. 기종별 핵심전문 기술 |
2일 |
280 |
11월중 |
〃 |
해당업체 |
12. 농업기계정비기능사 종합정비 실기 |
2일 |
40 |
11월 하순 |
정비기능사 수료자 |
” |
4. 과정별 추진계획
(1) 농업기계산업기사 양성
농업기계분야 종사자에게 산업기사 자격취득에 필요한 이론과 실기 중점 교육으로 전문지식과 기능을 겸비한 고급 기술인력 양성 |
○ 교육시기 : 2. 18 ~ 2. 29(2주, 합숙)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정비기능사 취득자, 농과대학 졸업자, 2년 이상 농기계분야
실무 근무자 등
○ 교육인원 : 30명
○ 교육내용
- 농업기계 산업기사 자격취득 관련 교과목에 대한 이론 및 실기교육
- 주요 기종 취급조작 및 정비기술 등
(2) 신개발 기종
새로 개발 보급되고 있는 신기종 농업기계의 취급조작 및 핵심정비 기술 중점 교육으로 농기계교관 및 담당지도공무원의 직무능력 향상 |
○ 교육시기(2기, 기당 3일, 비합숙)
- 제1기 : 3. 12~3. 14
- 제2기 : 3. 19~3. 21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도, 시․군 농기계담당자 및 농기계교관
○ 교육인원 : 180명(1기 : 90명, 2기 : 90명)
○ 교육내용
- 신개발기종 중심의 주요기대 취급조작 및 정비수리기술 등
․ 경종 : 전기전자․유압계통
․원예 : 자동제어장치 등
․축산 : 스키드로더, 베일러 등
(3) 한농대 학생 농업기계
○ 한농대 학생들의 졸업 후 체험해야 할 농업기계 취급 및 운전조작, 정비수리 교육 강화로 농업기계 이용능력 향상 및 미래 전문인력 양성 ○ 실기 실습위주의 농업기계 취급 및 운전요령, 경운정지 작업기술 |
○ 교육시기
- 공통필수(기초)교육 : 3월 말~5월 말(7기, 기별 5일씩 실시)
- 선택교육 : 2학기 중 실시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한국농업대학 신입생 중심
○ 교육인원 : 330명(공통필수 : 300명, 선택교육 : 30명)
○ 교육내용
- 농업기계 구조, 작동원리, 포장작업요령, 안전관리
- 기종별, 분야별 취급조작, 실기실습 및 주요 핵심부분 점검정비기술 등
(4) 전․특작 기계화 촉진
○ 기계화 및 전문기술이 상대적으로 미진한 전․특작분야의 농업기계교육 강화 ○ 보편화되어 있고, 최근 개발 보급된 전․특작분야 농업기계의 연․전시를 통한 실기실습 교육으로 전문기술 습득 및 전․특작기계화 촉진 |
○ 교육시기 : 6월 중순(2일, 비합숙)
○ 교육장소 : 추후결정
○ 교육대상 : 도원 및 시군 농기계교관, 전․특작담당자, 현지관련 농업인 등
○ 교육인원 : 280명
○ 교육내용 : 전․특작분야 주요 기종의 취급조작, 정비, 포장작업 연시 및 전시 등
(5) 도시민 기초 농업기계
소규모 영농을 하는 도시민 및 귀농인을 대상으로 소형 농업기계의 이용기술 및 안전사용법 교육으로 농업기계 이용기술 향상 도모 |
○ 교육시기 : 6월 하순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도시민 및 귀농인
○ 교육인원 : 30명
○ 교육내용 : 휴대용예취기, 보행관리기, 소형파종기, 방제기 등 기초 농업기계의 이용기술 및 안전사용법 등
(6) 농과대학생 농업기계
○ 대학에서 배운 이론영역에 현장에 적응하기 위한 실기실습교육 ○ 작부체계에 맞는 작업기 등의 접목 기술교육으로 농업기계 운용기술 강화 |
○ 교육시기 : 6. 30 ~ 7. 4(5일, 합숙)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전국 농과계대학생 중 교육희망 학생
○ 교육인원 : 40명
○ 교 육 비 : 한국농업대학 부담
○ 교육내용
- 국내 주요 보급기종의 운전조작, 취급요령, 포장실습 등
- 시험ㆍ연구기관 현장 실습교육 등
(7) 농업기계 정비기능사 양성
국가기술자격 취득 희망농업인들에게 자격을 취득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농업기계 자가 정비수리기술 향상 및 기계화영농을 선도할 핵심 전문농업인 양성 |
○ 교육시기(2주, 합숙)
- 제1기 : 7. 7 ~ 7. 18(한농대 재학생)
- 제2기 : 7. 28 ~ 8. 8(희망 농업인)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농업인, 수리점 요원, 한농대학 재학생 등 자격취득 희망자
○ 교육인원 : 80명(기당 40명)
○ 교육내용
- 농업기계정비기능사 자격취득 관련 교과목에 대한 이론 및 실기교육
- 주요 기종 취급조작 및 정비수리 기술 등
(8) 농업기계 산업기사 종합정비 실기
산업기사 양성교육 수료자로서 산업기사 필기시험 합격자에게 정비수리 실기분야 중점교육으로 자격취득 및 현장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 도모 |
○ 교육시기 : 7월 중순(2일, 비합숙)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산업기사 양성교육 수료자 및 필기시험 합격자 중 자격 취득 희망자
○ 교육인원 : 20명
(9) 무인방제기
첨단화, 전자화되어 보급되고 있는 무인헬기, 광역방제기 등의 올바른 사용방법과, 점검정비 기술교육으로 고급 기술인력 양성 |
○ 교육시기 : 7월 하순(3일, 비합숙)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화성시 봉담읍)
○ 교육대상 : 농기계교관, 담당공무원(무인헬기 및 광역방제기 보급 시군 우선)
○ 교육인원 : 30명
○ 교육내용 : 무인헬기, 광역방제기, 무인방제기의 취급조작 및 점검정비, 올바른 작업요령 등
(10) 농업기계 교육훈련사업 발전연찬
농업기계 교육훈련 사업추진 현장 우수사례 및 순회수리교육 등을 비교 평가하여 우수사례 벤치마킹 및 정보교환으로 사업 활성화 도모 |
○ 교육시기 : 10월 말~11월 초(2일, 비합숙)
○ 교육장소 : 추후 결정
○ 교육대상 : 도, 시군 농기계교관, 농기계교육담당 공무원
○ 교육인원 : 180명
※ 세부추진 사항은 추후 확정하여 공문발송 계획
(11) 기종별 핵심 전문기술
○ 농업기계 생산업체에 주요 기종별 핵심전문기술에 대한 위탁교육을 실시하여 일선 농업기계 담당 공무원의 정비수리 기술능력 향상 ○ 생산업체 현장에서 현지지도 및 교육시 문제 중심의 핵심교육 |
○ 교육시기 : 11월중(2일씩, 10기, 비합숙)
○ 교육장소 : 해당 관련업체 교육원
○ 교육대상 : 농기계교관, 담당공무원 등
○ 교육인원 : 280명(기당 20~30명)
○ 교육내용 : 핵심기종의 유압, 전기전자, 트랜스 밋션부 분해조립 및 시설 원예 분야, 축산분야, 건조기 등의 취급조작 및 핵심부분 정비 등
(12) 농업기계 정비기능사 종합정비 실기
정비기능사 양성교육 수료자 및 정비기능사 필기시험 합격자에게 정비 수리 실기분야 중점교육으로 자격취득 및 현장에서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 |
○ 교육시기 : 11월 하순(2일, 비합숙)
○ 교육장소 : 한국농업대학 농업기계종합교육관
○ 교육대상 : 정비기능사 양성교육 수료자 및 필기시험 합격자 중 자격취득 희망자
○ 교육인원 : 40명
5. 관련 법령
□ 농촌진흥법 제2조 제3항(법률 제6353호, 2001. 01. 16) 및 동법시행령 제8~10조(대통령령 제15135호, 1996. 08. 08)
○ 농촌지도사업 및 교육훈련사업에 종사하는 자에 대한 교육훈련
- 농업인, 농촌여성 및 이와 관련된 단체의 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
- 전업농업인, 농업경영인 등 전문 농업 인력의 육성을 위한 교육훈련
□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 제5조 제3항(법률 제6221호, 2000. 01. 28) 및 동법 시행 규칙 제3조의 9(농림부령 제1371호, 2000. 8. 10)
○ 기계화영농사에 대한 교육훈련과 그 지도 활동에 관한 사항
○ 기계화영농사를 선정하고 기계화영농사의 육성에 필요한 지원
○ 기계화영농사증 소지자에 대한 우대 방안 강구
□ 농업기계화촉진법 제5조 제2항(법률 제5951호, 1999. 03. 31)
○ 농업기계화 촉진을 위한 기술훈련 기본계획 수립
○ 농업기계 기술, 안전관리 등의 교육
○ 농업기계의 효율적인 이용관리에 관한 교육
□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직제 제64조(대통령령 제17638호, 2002. 06. 25)
○ 농업인에 대한 농업기계 교육
○ 지도직공무원에 대한 농업기계 교육
○ 기타 전문 농업인력 육성시책 관련 교육
분야별 교육장소 안내
교육장 위치도
|
|
|
공무원․농업인 교육 : 한국농업대학(기술연수과, 수원시 소재) |
|
|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88-14 (기술연수과 - 농촌개발연수관) 전화 031)290-6920~2, 290-6930~1 팩스 031)290-6950 |
▣ 시내버스 이용시 : 36, 37, 38, 39, 92, 88, 720, 720-2번 ※ 36~39, 92번 : 수원역(건너편) → 서호초등학교 → (구)서울대 농생대 하차 → 걸어서 15분정도(농촌자원개발연구소방향) → 농촌개발연수관
※ 88, 720, 720-2번 : 수원역(건너편)→(구)서울대 농생대→농촌자원개발연구소 앞 하차 → 정문통과→농촌개발연수관
▣택시 이용시:수원역 앞(택시 타는 곳) → 농촌자원개발연구소 정문 → 농촌개발연수관 ▣네비게이션 이용시:한국농업대학 기술연수과 입력 |
|
|
|
농업기계교육 : 한국농업대학(화성시 소재) |
|
|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동화리 11-1(한국농업대학 농기계교육장) 전 화 031)229-5245~6 팩스 031)229-5240 |
▣ 수원역에서 오는 경우 ① 자 가 용 : 평동 굴다리→고색사거리→발안방향 직진→수원대학교 쪽으로 1.5Km직진 오른쪽에 위치 ② 택시이용 : 한국농업대학 하차(요금은 약 1만원/약 10-15분소요) ③ 버스이용 : 수원역 관광안내소 쪽에서 시내버스 700-2, 77-1번 (수원대학교, 와우리 방면) 이용하여 한국농업대학 정문 ▣ 서울방면에서 오는 경우 ① 사당역에서 수원대행 직행버스 이용 한국농업대학 앞 하차 ② 자가용: 과천-의왕간 자동차 전용도로 끝지점(발안방면)에서 좌회전후1.5km진행→우회전후 1.5km 이동하면 한국농업대학 정문
▣네비게이션 이용시:한국농업대학 입력 |
'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긴꼬리투구새우(트라이옵스)를 이용한 논잡초 생물학적 방제기술 (0) | 2008.04.19 |
---|---|
[스크랩] 異少(이소)님 봐주세요 (0) | 2008.04.18 |
[스크랩] 재배학 요점정리 (0) | 2008.02.17 |
[스크랩] 병충해 도감 (0) | 2008.02.14 |
야콘도 순치기 하나요/곧은터 (0) | 2008.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