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봉

[스크랩] 꿀벌의 종류- 꿀벌의 형태(꿀벌 길러보세요 1통에 12-16만원정도 한답니다)

지리산자연인 2008. 6. 11. 11:03

 

꿀벌의 종류와 생태

에니메이션

 

 

 

꿀벌의 종류

벌은 곤충 가운데서 큰 무리 중 하나로서 전 세계에 10만 종 이상이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그 배가 넘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원산지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이다. 그 중 꿀벌은 분류학적으로 벌목 꿀벌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완전변태(完全變態)하며, 산란관(産卵管)의 변형물인 벌침을 가지고 있다.

 

꿀벌의 곤충 분류학상 위치는 다음과 같다.

▶ 절지동물문(節肢動物門; Phylum Arthropoda)

▶ 곤충강(昆蟲綱; Class Insecta or Hexapoda)

▶ 벌목(蜂目; Order Hymenoptera)

▶ 세요아목(細腰亞目; Suborder Aculeata)

▶ 꿀벌상과(蜜蜂上科; Superfamily Apoidea)

▶ 꿀벌과(蜜蜂科; Family Apidae)

▶ 꿀벌속(蜜蜂屬; Genus Apis)

▶ 인도 최대종(印度 最大種; Apis dorsata FAB.)

▶ 인도 최소종(印度 最小種; Apis florea FAB.)

▶ 동양종(東洋種; Apis cerana FAB.)

▶ 서양종(西洋種; Apis mellifera LINNE.)

꿀벌은 식물의 꽃에서 꿀을 채취해 먹고 사는 꿀벌과의 곤충으로서 우리 나라에는 서양종 꿀벌과 재래종 꿀벌 두 종류가 있다. 이 두 종류의 꿀벌은 생태적인 습성의 차이는 있지만 근본적으로 같은 계통이기 때문에 꿀벌 특유의 생활 습성은 다를 바가 없다.
  우리 나라에서 서식하는 야생벌은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꿀벌과에 속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잡식성이고 76개科에 1,500種이 있다.

 

꿀벌은 다음과 같이 크게 4종류가 있다.꿀벌의 분포 지역

(1) 큰 꿀벌(giant honeybee, 인도 최대종 꿀벌; Apis dorsata)
  아시아 남부에 서식하고, 단 1개의 집을 만들며, 동양종 꿀벌과 서양종 꿀벌이 나무나 바위의 동굴 등 어두운 장소에 집을 짓는 데 비하여, 야외의 나뭇가지 등에 집을 짓는다. 가로 90㎝, 세로 180㎝ 정도의 큰 집을 만들며 일벌의 몸 길이도 1.7㎝나 되어 꿀벌 중에서는 가장 크다. 공격성이 강하여 위험하지만, 산지(産地)의 사람들은 벌집을 채집하여 벌꿀이나 밀랍을 모으고 있다.

(2) 작은 꿀벌(little honeybee, 인도 최소종 꿀벌; Apis florea)
  큰 꿀벌과 마찬가지로 아시아 남부에 서식하고, 손바닥 정도의 작은 집을 야외의 나뭇가지 등에 1개 만든다. 꿀벌 중에서도 가장 작으며, 성질은 온순하고 쏘는 경우도 드물다. 큰 꿀벌과 작은 꿀벌은 생태나 집의 모습 등으로 보아 서양종 꿀벌이나 동양종 꿀벌에 비해 원시적인 꿀벌로 여겨진다.

(3) 서양종 꿀벌(western honeybee, 양봉 꿀벌; Apis mellifera)
  원산지는 유럽과 아프리카 양 대륙이다. 원래 신대륙인 북미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꿀벌이 서식하지 않았지만, 유럽으로부터의 이주민에 의하여 꿀벌도 이주하여 오늘날은 극지(極地)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사육되고 있다. 양봉업(養蜂業; beekeeping, bee culture)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 서양종 꿀벌로 나무나 바위의 동굴 등 어두운 곳에 집을 짓는 습성을 갖고 있다.
서양 꿀벌에는 많은 아종(亞種)이 있지만 근대 양봉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다음의 4 아종이다.
  검정벌(Apis mellifera)은 유럽, 알프스 북부, 서유럽, 러시아 연방의 일부가 원산지로서, 키틴질의 색은 매우 검고 황색줄이 없다.
이탈리안종(Apis mellifera ligustica)은 이탈리아가 원산지로, 몸은 황색이고, 번식력과 집밀력(集蜜力) 등이 강하여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품종이다. 카니올란종(Apis mellifera carnica)은 오스트리아의 알프스 남쪽과 북발칸이 원산지이다. 전체적으로는 검지만 몸 마디에 난 털은 검은 키틴질에 비해 밝은 회갈색으로 회색벌(gray bee)이라고도 불린다. 코카시안종(Apis mellifera caucasica)은 중앙 코카서스 지방이 원산으로 카니올란종과 많이 비슷하다. 카니올란종의 털이 갈색을 띤 회색인 데 비하여 코카시안종은 회색이다.

(4) 동양종 꿀벌(oriental honeybee, 재래 꿀벌; Apis cerana)
  
아시아 남서부가 원산지로 추정되고, 현재는 아시아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형태는 서양종 꿀벌과 매우 비슷한데 약간 작다. 토종벌이라고도 한다.
  서양종 꿀벌과의 중요한 구별점은 뒷날개의 가운뎃맥이 확실히 나타나는 것이다. 집의 장소는 서앙종 꿀벌과 같고 나무와 바위의 동굴 등 어두운 장소에 여러 개의 집을 수직으로 만든다.
집밀력과 사육 가능성 등은 서양종 꿀벌에 비해 떨어지지만 내한성이 뛰어나 아시아 각국에서는 동양종 꿀벌용 벌통이나 벌집틀 등을 개량해서 사육하는 곳도 많다.
  토종벌을 키우는 사람들은 꽃따라 철따라 이동을 하지 않고 한 장소에서 1년을 보내며 꿀도 가을 철에 한 번만 채밀하기 때문에 흔히 고정 양봉이라고 한다.

토종벌통과 양봉벌통

<토종 벌통과 양봉 벌통의 모습>

토종벌은 서양벌처럼 사람이 만들어 넣어준 나무틀에다 집을 짓는 것이 아니라 통나무 속에 자연 상태로 집을 짓기 때문에 서양 벌의 집처럼 규칙적이지는 못하다. 하지만 밀랍으로 만든 육각형의 방에서 새끼를 키우고, 꿀을 저장하는 등의 일반적인 생태는 서양벌과 차이는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

처음으로!

 

 

꿀벌의 형태

꿀벌은 일반 곤충과 마찬가지로 외부 골격(外部 骨格)으로 되어 있으며, 몸은 머리, 가슴, 배로 나뉜다.

꿀벌의 외부 형태

<꿀벌의 외부 형태>

머리[頭部]에는 홑눈[單眼], 겹눈[複眼], 더듬이[觸角], 입틀[口器] 등의 부속 기관이 있고, 머리는 가는 목으로 가슴과 연결되어 있으며, 가슴과 같은 폭이고 정수리가 길다. 머리에는 주요 감각 기관과 먹이 섭취 기관인 입틀이 있다. 꿀벌은 1쌍의 겹눈과 3개의 홑눈이 있으며, 겹눈은 먼 거리와 복잡한 물체를 식별하고, 홑눈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단순한 물체를 식별하는데 쓰인다. 더듬이의 편절(鞭節)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감각 수용체(感覺 受容體)를 지니고 있어 냄새, 페로몬, 접촉, 그 밖의 여러 가지 자극을 탐지하는 역할을 한다. 입틀은 큰턱[대시]과 주둥이[口吻, 구문]로 되어 먹이를 씹는 일보다는 액체 상태의 먹이를 빨아 먹는데 적합하게 발달되어 있다.
  
가슴[胸部]은 마디로 되어 있으며, 3쌍의 다리와 2쌍의 날개가 있어 몸의 운동을 맡고 있다. 따라서 꿀벌의 운동을 위한 근육은 거의 가슴에 있으며, 특히 다리와 날개의 운동을 위한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다리는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에 각각 1쌍씩 있고, 촉각 소제기(antenna cleaner)와 화분 수집 장치(pollen-collecting apparatus)가 있다. 앞날개는 크고 시맥(翅脈)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뒷날개는 작고 시맥이 덜 발달되어 있다. 날개는 비상 활동을 하는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벌통에서 선풍 활동이나 날개의 진동 소리의 강약으로 꿀벌의 기쁨과 괴로움을 표시하는 수단으로도 이용된다.
  
배[腹部]는 가슴의 전신 복절(腹節)과 짧고 가는 복병(腹柄, 배자루; petiole)으로 연결되어 배와 가슴은 따로따로 운동이 가능하고, 특수 기관인 납선(蠟腺; wax gland), 향선(香腺, Nassanoff's gland), 벌침[蜂針; bee sting]이 있다. 납선은 출방 후 12∼18일 된 일벌에서 잘 발달되고, 배쪽마디 4, 5, 6, 7환절 내에 있는데 각 마디에 1쌍씩의 납선이 있다. 납선에서 분비되는 액체상의 물질은 납경(wax mirror)을 통해 분비되어 밀랍 주머니(wax pocket)에서 굳어져 밀랍쪽(wax scale)으로 되어 나온다. 향선은 처음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나사노프샘이라 부르기도 하고, 일벌의 배 등쪽 제 7환절에 있는데 제 6환절에 덮혀 있다. 향선에서 분비되는 물질은 일벌 상호간의 여러 가지 의사 전달에 이용된다. 여왕벌과 일벌은 벌침을 가지고 있으나 수펄은 없다.
  꿀벌의 몸 빛깔은 변화가 있어서 대개는 굵은 황갈색의 가로띠가 있으며, 황백색의 잔털로 된 가로띠도 있다.

여왕벌

일벌

수펄

<여왕벌>

<일벌>

<수펄>

여왕벌, 수펄, 일벌의 3계급으로 나뉘는데, 여왕벌은 몸 길이 15∼20mm이며, 특히 복부가 길어서 접은 날개에서 뒤쪽으로 더 나온다. 수펄은 15∼17mm이고, 겹눈이 큰 것이 특징이다. 일벌은 몸 길이가 12∼14mm이다.

 

꿀벌은 일반 곤충과 마찬가지로 몸 안에 소화 기관, 순환 기관, 호흡 기관, 신경 기관, 생식 기관, 감각 기관으로 되어 있으며, 꿀벌에서만 볼 수 있는 왕유 분비샘을 가지고 있다.

꿀벌의 내부 기관

<꿀벌의 내부 기관>

위의 그림은 일벌의 분비샘 시스템으로 일벌 몸에는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많은 외분비샘이 발달되어 있다. 하인두선(下咽頭腺; pharyngeal gland)과 대시선은 로열젤리를 분비하고, 독주머니는 독액을, 유인샘은 페로몬을 분비한다. 왁스샘은 꿀을 원료로 해서 집 재료인 밀납(蜜蠟; beeswax)을 분비한다. 

처음으로!

 

 

꿀벌의 생태

1개의 집 구성은 한 마리의 여왕벌과 다수의 일벌, 그리고 약간의 수펄로 되어 있는데, 큰 집단이 되면 5∼8만 마리에 달한다.

 

여왕벌은 산란을 계속하며, 많을 때에는 하루에 약 2,000~3,000개나 된다. 여왕벌의 분화와 로열젤리의 관계는 매우 깊다. 즉, 유충기의 영양 조건에 따라 여왕벌과 일벌로 분화한다. 여왕벌로 분화가 유충기에 부여되는 다량의 로열젤리에 의한다는 것은 틀림없다. 여왕벌의 유충은 다량의 로열젤리를 유충 기간 동안 계속 받는 데 비하여, 일벌의 유충은 유충기 6일간 중 전반 3일간은 거의 로열젤리와 같은 일벌 유(乳)를 조금씩 받아 먹고, 후반 3일간은 벌꿀과 꽃가루의 혼합물을 받아 먹는다. 로열젤리 중 분화결정인자 등에 대해서는 아직 불명확하다.
  여왕벌의
수명은 수 년이지만 다른 벌의 수명은 비교적 짧다. 일벌의 경우 가을에 우화(羽化; eclosion, 번데기가 脫皮하여 성충으로 변함)한 것은 다음해 봄까지 살지만, 여름에 우화한 것은 노동에 시달려 50일밖에 못 산다.
  한 벌집 안에 벌이 많아지면 왕대(王臺, 아래 그림과 같이 주로 소비 아래쪽으로 지어진다)에서 새 여왕벌이 키워지고 먼저의 여왕벌은 새 여왕벌이 우화하기 전에 일벌에 둘러싸여 새 집단을 이루고 떠나가는데, 이것이
분봉(分蜂; swarming)이다. 새로 우화한 여왕벌이 수펄을 거느리고 혼인 비행을 하며, 공중에서 교미한 후에 집에 돌아와서 산란한다.
   

소비 하단에 지어진 왕대

먼저 태어난 처녀왕이 나머지 왕대를 공격하는 모습

<소비 하단에 지어진 왕대>

<처녀왕이 왕대를 공격하는 모습>

 

 

교미 비행을 나선 처녀왕

꿀벌의 짝짓기

<교미 비행을 나선 처녀왕>

<수펄과 여왕벌의 짝짓기 모습>

 

일벌은 출방 후 화장(化粧; 몸통과 더듬이 등의 먼지를 소제한다), 벌집방의 청소, 유충의 보육 등을 한다. 2~3일이 지나면 하인두선과 대시선이 발달하고 침샘에서 로열젤리를 내서 어린 유충에게 먹이는데, 이것은 침샘이 포육샘(哺育腺)으로 발달하는 시기에 해당된다.
  그 후로는
꽃꿀이나 꽃가루의 수집과 저장, 벌집의 청소와 우화의 심부름 및 파수병 역할을 한다.
  또한 집으로 운반해 놓은 꽃꿀을 여러 번 입으로 옮기거나 꿀을 새로 채워 넣으면서, 선풍(扇風) 작업도 하여, 벌꿀을 완성시켜 나간다.
  하인두선의 퇴화를 전후해서 배 부분의 배면 제 4마디부터 제 7마디에 모두 4쌍의 납선(蠟腺; wax gland)이 발달하여
밀랍(蜜蠟; beeswax)의 분비가 시작된다. 이 시기에 일벌은 집을 만들거나 수리를 한다. 사회성 사냥벌류의 집은 수목(樹木)의 껍질 등을 사용하는 데 비하여, 꿀벌의 집은 스스로 분비한 밀랍에 의하여 정확히 육각형의 집을 만들어 나간다.
 

밀랍을 분비하고 있는 일벌

집을 짓고 있는 모습

<배의 납샘에서 분비되는 밀랍>

<밀랍으로 집을 짓는 일벌>


  
출방한 지 20일이 지나면서 파수병을 하던 벌이 집을 떠나 먹이를 가져오게 된다.(이들 과정은 엄밀한 것은 아니고, 개체차 계절차 또는 봉군의 상태에 적응하면서 변화된다.) 그때부터
죽을 때까지 꽃꿀과 꽃가루를 모은다.

 

수펄은 미수정란이 발생해서 생기지만, 여왕벌과 일벌은 수정란에서 생긴다.

출방하는 수펄

수펄과 일벌

<막 출방하는 수펄>

<몸집이 큰 수펄(가운데)>

 

여왕벌의 유충은 일벌의 입에서 나오는 로열젤리만 받아 먹게 된다. 난기(卵期) 3일, 유충기(幼蟲期) 5.5일, 번데기期 7.5일, 합계 16일 만에 성충이 된다.
  
일벌은 유충기 6일 중 3일만 로열젤리를 받아 먹고, 이후에는 꽃가루에 꿀을 섞은 경단을 받아 먹게 되어 번데기期 12일을 합하여 21일 만에 성충이 된다.
  
수펄은 유충기 6.5일 중 4일만 로열젤리를 받아 먹고, 2.5일은 꽃가루 경단을 받아 먹으며, 번데기期 14.5일, 합계 24일만에 성충이 된다.

<꿀벌의 발육기간>

구  분

애 벌 레

번 데 기

합   계

여왕벌

3일

5.5일

7.5일

16일

일  벌

3일

6일

12일

21일

수  펄

3일

6.5일

14.5일

24일

 

꿀벌의 알

꿀벌의 일생

<꿀벌의 알 모습>

<알에서부터 성충까지>

 

일벌의 번데기

출방하는 일벌

<일벌의 번데기>

<막 출방하는 일벌>

꿀벌의 벌집은 야생 상태에서는 수목이나 동굴 틈에 있지만, 양봉은 나무 상자에 넣은 틀(소초광)의 양면에 6각 통형(筒形)의 방을 틈새없이 만든다. 여왕벌은 벌집 중앙의 보육방에서 계속 산란한다.

 

일벌의 배 부분 제 7마디 등 쪽에 있는 나사노프샘[香腺; Nassanoff's gland]에서 방출되는 나사노프샘 페로몬은 밀원(蜜源), 꽃가루원(源) 및 다른 꿀벌의 위치를 알리는 작용을 한다. 흥분한 일벌은 배를 높이 들어 올리고 자침(刺針)의 기부(基部)를 노출하여 경보 페로몬(alarm pheromone)을 방출한다. 이 페로몬을 정보 페로몬이라 하는데, 정보 페로몬에 의한 경계와 공격의 촉발(觸發)은 벌집 주위에서만 볼 수 있다.
  여왕벌의 대시선에서 분비되는 특별한 산(酸)을
여왕벌 물질(queen substance)이라 하는데, 이것이 여왕벌이 분비하는 중요한 페로몬이다. 그 효과는 복잡하지만 3가지가 알려져 있다. 일벌의 난소(卵巢) 발달이나 왕대(王臺) 형성을 억제하는 계급 페로몬(caste pheromone), 집을 나눌 때 그 효과를 발휘하는 집합 페로몬, 공중에서 교미할 때 기능하는 성 페로몬이 그것이다.
  평상시에 벌집 안에 왕대(王臺)가 형성되지 않는 것은, 여왕벌의 대악샘(大顎腺)에서 나오는 페로몬이 일벌에 의해서 여왕벌의 입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여왕벌이 늙거나 벌집이 너무 혼잡해지면 이 여왕벌 물질이 미치지 못해서 왕대가 형성되고 새 여왕벌이 발생하게 된다.

 

꿀벌의 시각(視覺; sense of sight)은 물체의 형상에는 둔하다. K. 프리시의 실험에 의하여 적색이 보이지 않지만 자외선이 보이고, 청색 청록색 황색의 3색을 구분한다. 또 푸른 하늘의 한 부분만을 보고도 태양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이른바 편광해석능력(偏光解析能力)을 갖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것들은 겹눈(compound eyes, ommateum)의 기능이다.(겹눈의 수는 여왕벌이 4,000개, 일벌이 5,000개, 수펄이 10,000개 정도이다.)
  
후각 기관(嗅覺 器官; olfactory organ)은 더듬이의 끝에 있는 8마디로 감지하는데 인간의 후각에 가깝다. 촉각에 넓게 분포하는 감각자(感覺子)가 수용기로 되어 있으며, 꽃의 냄새를 식별할 뿐만 아니라, 그 냄새로 동료에게 밀원 식물의 종류를 전달한다.
  
미각 기관(味覺 器官; gustatory organ)의 수용기는 구기(口器)와 다리의 부절(附節; 선단의 마디), 그리고 촉각에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꿀벌의 언어인 춤에 의한 정보 전달의 연구는 프리시(Karl von Frisch; 1886~1982, 독일)의 40여 년에 걸친 업적으로 유명한데, 그는 이 연구 업적으로 73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춤은 벌통 안에 수직으로 늘어진 소비 위에서 행해진다. 유력한 밀원과 꽃가루원 식물에서 화밀이나 꽃가루를 채집하고 벌통으로 돌아온 일벌은 흥분 상태로 소비 위를 분주하게 돌아다니고 때때로 배 부분을 심하게 진동시키면서 춤을 춘다.
  춤에는 꽃이 벌통에서 100m 이내에 있을 때 거리만을 알리는 <원무(圓舞)>와 100m 이상 떨어져 있을 때 거리와 방향을 알리는 <꼬리춤>이 있다.
원무(round dance)는 그 이름대로 원을 그리면서 불규칙하게 빙글빙글 돌며, 바로 근처에 꽃이 있는 것을 알린다. 꼬리춤(tail-wagging dance)은 규칙적으로 <8>자를 그리고, 그 중앙의 직선을 움직일 때 특히 배 부분을 심하게 진동시킨다. 프리시의 실험에 의하면 100m일 때는 15초 간격으로 9∼10회, 1,000m가 되면 4∼5회, 6,000m일 때는 2회로, 회전수가 많을수록 가깝고 적을수록 먼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8자 중앙의 직선상을 움직이는 방향과 중력의 반대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벌통과 태양을 연결하는 선에 대한 꽃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꿀벌의 움직임이 바로 위를 향하고 있을 때에는 태양의 방향으로 날아가면 꽃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밀원이 벌통에서 9∼90m 범위에 있을 때는 원무 대신에 초생달형 춤(crescent dance)을 추는 경우도 있다. 프리시의 제자인 R. 린다우어는 동양종 꿀벌, 큰 꿀벌, 작은 꿀벌의 춤을 비교 연구하여 종류에 따라 춤이 조금씩 다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춤은 동양종 꿀벌이나 서양종 꿀벌 모두 어두운 벌통 속에서 행해진다.

 

원무

8자형의 꼬리춤

<원  무>

<8자형의 꼬리춤>

 

꿀벌의 춤

일벌은 꿀과 화분원 등 먹이 장소를 중간에서 알릴 때 중력장에 대한 몸의 각도(평형 감각)를 이용해서 방향을 전하고(그림 ①), 먼 거리인 경우는 꽁무늬를 흔들며 추는 8자춤의 템포와, 8자 중앙선을 통과할 때 내는 진동음의 길이로 거리를 알린다(그림 ②,③). 이러한 정보전달시스템은 분봉시 새로운 장소를 알려줄 때도 이용된다.[왼쪽 그림]

 

꿀벌 춤

 

<중앙의 일벌이 춤으로 꽃의 위치를 알린다>

 

분봉군의 모습5∼6월의 번식기에 봉군을 자연 상태대로 방치해 두면, 새 여왕벌이 우화하는 2∼3일 전에 구(舊) 여왕벌이 봉군의 약 반 정도의 일벌, 수펄과 함께 새로운 장소를 찾아 일제히 나오는 현상을 집나눔 또는 분봉(分蜂)이라 한다. 이 과정을 관찰하면 끝까지 일벌의 주도에 따라 행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벌통에서 일제히 나온 수 만 마리의 벌이 가까운 상공에서 무리지어 난다. 거기에 여왕벌이 가담하며, 이윽고 부근의 나뭇가지 등에 벌의 집단이 생긴다. 이 집단이 생기는 것에는 여왕벌 물질의 집합 페로몬이 관계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집단은 탐색벌이 미리 찾아 둔 장소로 단숨에 이동하여 집짓기를 시작한다. 이와 같이 꿀벌은 사회성 곤충으로 진화의 정점(頂點)에 있는 곤충이다.

 

선풍 활동을 하고 있는 일벌변온 동물(雙溫 動物)인 꿀벌의 집안 온도가 사계절을 통해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놀랄 만한 일이다. 특히 유충과 번데기가 자라고 있는 집의 온도는 항상 32∼35℃로 유지되고 있다[이를 동태 온도(動態 溫度)라 한다]. 따라서 꿀벌의 유충 기간과 번데기 기간은 항상 일정하다.
  여름에 온도가 너무 상승하면 일벌의
선풍(扇風)이 행해지고[그림], 다시 집 밖에서 물을 운반해 와 집 표면에 바름으로써 찬 외기(外氣)를 집안으로 들여 올 뿐만 아니라 수분의 기화(氣化)를 촉진하여 집의 온도를 내려가게 한다.
  집의 온도 상승을 꾀하는 방법으로는 특히 날개를 움직이지 않고 흉부 비상 근육을 진동시킴으로써
발열(發熱)을 일으키는데, 이것이 온도 상승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의 에너지원은 벌꿀이므로 월동 중에는 충분한 저장꿀이 필요하다.
  꿀벌은 21℃ 이하에서는 활동을 중지하며, 월동 중의 봉구(蜂球)의 온도는 8~10℃가 된다.

처음으로!

 

 

꿀벌의 사회 생활

꿀벌의 사회는 사회성 곤충 중에서 가장 진화한 곤충으로, 항상 봉군(蜂群; colony)이라는 하나의 기능적 군단위로 생활하고 있다. 봉군은 1마리의 여왕벌과 계절에 따라 그 수가 변하는 수 만 마리의 일벌, 그리고 번식기인 4∼9월에 나타나는 20,000∼3,000마리의 수펄이 모여 왕국을 이루고 살며, 철저히 분업화되고 독립된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는 1군 1왕제이다. 그 외에 봉군은 애소성(愛巢性), 번영성(繁榮性), 배타성(排他性), 귀소성(歸巢性) 등의 특징이 있다.여왕벌과 일벌
  한 곳에 꿀벌 100여통이 있다 해도 각 통마다 별개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자기 집단 외에 남이야 굶어 죽든 말든 아랑곳하지 않고 이웃 벌통을 약탈 공격하는 행위[盜蜂]가 꿀벌이 지닌 일반적인 습성 가운데 하나라면 많은 사람들이 놀랄 것이다.
  
여왕벌과 일벌은 모두 암컷으로, 똑같은 수정란 (염색체 2n)에서 태어난다. 여왕벌과 일벌의 분화는 성육(成育)하는 벌집의 방과 유충기에 주어지는 먹이의 양과 질의 차이에 따라 유충 전기에 결정된다.

 

여왕벌은 일벌보다 몸이 길고 무거우며(170∼250㎎), 오로지 산란만 하며, 자성(雌性)의 수정란(2n)과 웅성(雄性)의 무정란(n)을 나누어 낳는다. 여왕벌은 우화(羽化; 탈피) 후 7∼10일 경에 보통 3∼7회 공중에서 교미하여, 수펄에서 얻은 정자를 저정낭(貯精囊; spermatheca)에 모아 둔다. 이 정자의 수는 700만 개에 이르는데, 여왕벌이 생존하는 동안은 계속 저정낭 속에서 살고, 필요에 따라서 수란관(輸卵管; 나팔관)으로 나오게 된다. 증식기인 4∼7월에는 하루 2,000~3,000개 이상의 알을 낳는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역할은 꿀벌 사회를 통솔하는 것이고, 3~5년 동안 산다.

 

일벌은 몸무게 80∼130㎎으로 우화 후 일령(日齡)에 따라 체내의 생리 조전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벌집의 청소, 육아(育兒), 조소, 파수 등의 역할을 하는 내역봉(內役蜂)과, 꽃을 찾아 화밀(花蜜)이나 꽃가루를 운반하는 외역봉(外役蜂)으로 구별된다. 수명은 봄에서 여름에 걸쳐 활동이 활발한 시기에는 30∼40일, 겨울에는 6개월 정도이다. 전 생애에 걸쳐 모든 시간을 일하는데 소비한다.
  밀랍을 분비하고 이 밀랍으로 6각형 벌집을 짓고 왕대를 만든다. 벌통 안에서 날개짓(선풍 작업)을 하여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외부의 침략으로부터 방어 활동을 하며, 출생하여 21일이 지나면 바깥으로 날아가 꽃꿀, 화분, 봉교, 물을 모으는 등 꿀벌 생활에 필요한 모든 일을 한다.
  젖(로열젤리)을 주거나 먹이(꿀과 화분)를 먹여주는 모든 육아 활동은 일벌이 한다[蜂兒養成蜂; nurse bee]. 여왕벌은 전 생애를 통해 로열젤리를 먹는데 일벌은 이러한 여왕벌의 먹이를 공급해 줄 뿐만 아니라 여왕벌의 뒷바라지를 해준다.
  여왕벌이 노쇠하여 산란 능력이 떨어졌을 때나 불구가 되어 여왕벌의 구실을 못할 때에는 죽여 버리는 일도 한다. 원래 자성인 일벌은 여왕벌이 죽고 다음 여왕벌의 육성(育成)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산란을 시작한다(산란성 일벌이라 함). 단 이 경우 알은 모두 무정란으로, 작은 수펄만 태어나게 된다.
  벌침(bee sting)은 산란관이 변화한 것이고
사람과 가축을 쏘는 것은 일벌이다. 벌침을 사용한 일벌은 침과 장이 빠져 곧 죽는다

 

수펄의 몸무게 l60∼280㎎, 평균 수명은 3개월이고, 겹눈이 특히 크고 여왕벌보다 약간 짧으나 더 뭉툭하며, 종족 유지에 필요한 여왕벌과의 교미가 유일한 역할이다. 평생 단 한번 교미하는 것 외에는 꿀벌의 세계에서 해야 하는 어떠한 일에도 참여하지 않는다.
  스스로 먹이를 구하지 못하기 때문에 봄과 여름에는 일벌들이 모아들인 꿀로 살아가지만 가을로 접어들기 시작하면 일벌에 의해 밖으로 쫒겨나 추위와 기아로 죽게 된다.

처음으로!

 

 

꿀벌의 질병과 해적

(1) 부저병(foulblood disease) : 꿀벌의 유충에 병원균(병원체; Bacillus larvae White)이 침투하여 유충벌을 썩게 하는 질병이다.

미국 부저병은 Bacillus larvae가 원인균인 세균성 질병이며, 열이나 화학적 소독제에 매우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며 벌집[소비] 속에서 35년의 저항성을 나타낸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 병은 꿀벌의 유충에 감염되는 질병이며, 꿀벌의 발육 단계 중 전기 번데기 단계에서 많이 생기며 유충이 사멸하기도 한다. 이 질병의 잠복기는 평균 12.5일로써 대부분 감염된 유충은 부화 후 10∼15일 사이에 유충의 색깔이 변하는 증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유충이 있으면 봉개는 평소보다 빨리 일어나며 축축하고 짙은 갈색으로 변한다. 즉, 봉개는 안으로 함몰되며(정상은 약간 볼록하게 됨) 건강한 성봉(成蜂)들은 이 질병에 감염된 유충을 제거하는데 처음에는 봉개에 조그만 구멍을 내다가 나중에는 열린 상태 그대로 두어 유충이 사멸케 한다. 붕개가 함몰되어 있는 소방에 성냥개비등으로 유충을 찔러 제거하면 갈색의 교질성 물질이 딸려 나오는 것을 볼수 있다. 미국 부제병 방제법은 꿀벌의 유충에만 걸리고 성충에는 걸리지 않는 병이란 것을 이용하여 질병의 증상을 보이는 벌통에서 벌이 붙어있는 소비를 꺼내어 다른 새 벌통에 덜어 담고 소비를 태우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성봉의 몸에 포자가 붙어있을 가능성이 있고 완전히 포자를 제거할 수 없으므로 재발의 여지가 많다. 또한 어떤 벌통에 한 마리 유충이라도 미국 부저병 증세가 확인되면 곧 그 벌과 소비를 태우는 방법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꿀벌 부저병의 전염원을 빨리 없애는 길이 된다. 흔히 이 질병의 치료제로 항생제를 사용하는데 그중 설파디아졸이 크게 주목을 끌어왔다. 그러나 근간에는 설파제 대신 항생 물질을 사용하는데 항생제의 벌꿀 내 잔류성에 대하여 주의하여야 한다. 급여시기는 월동 직후 육아 개시 시기를 택하는 것이 좋다. 실험실내 항생제 감수성 시험결과 좋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꿀벌 부저병을 완전 치료할수 있는 약제는 아직 없다고 한다.
 

(2) 백묵병(석고병; chalk brood disease) : 곰팡이 균사(병원체; Ascosphaera apis)가 자라면서 유충의 체액이 말라 백묵과 같이 굳어지는 질병으로 늦은 봄이나 초여름 사이에 벌통의 출입구나 벌통 내의 바닥, 소방 그리고 벌통 주변에서 감염된 것들을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

백묵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훈증성 약제가 매우 효과적이며, 처리시간에 따른 효과를 보면 원액의 경우에는 처리량과 처리 시간에서 강한 약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5배 희석한 경우는 30분 이상 처리했을 때 약제 효과를 나타내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처리 약제량과 처리시간의 밀접한 관계와 백묵병 방제에 있어서 프로피온산의 뛰어난 약제효과를 나타낸다. 방부제로 사용하는 프로피온산 나트륨을 소비 위에 뿌려주어도 좋다.
 

(3) 노제마병(nosema disease) : 노제마 병원균(병원체; Nosema apis Zander)에 의한 것으로 모든 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

노제마병의 예방책으로는 봄과 가을에 봉군 관리를 철저히하고, 봉장의 근처에 오염된 물이 고여 있지 않도록 청결히 하는 것이다. 치료법은 벌통 안의 습기를 제거하여 주고, 석탄산의 희석 당액을 급이하는 것이 권장되어 왔다. 벌들이 석탄산 당액을 먹으면 위 속에 흡수되어 노제마균이 소독되어 죽는 벌이 감소되고 건강을 회복하는데, 이를 계속해서 2∼3회 급이한다. 또한 벌통은 포르말린 훈증소독하여 청결케 한다. 기존에는 노제마병 치료제로서 노제마크나 치메로살 등을 썼는데, 이 약들은 수은제이기 때문에 WHO에서 사용을 금지하였으며, 생산마저 극히 제한하고 있다. 양봉인들은 국민 보건 차원에서 노제마크나 치메로살의 사용을 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퓨미딜 B의 항노제마는 실험에서 높은 항원충 효과를 나타냈으므로 앞으로는 퓨미딜 B의 사용을 권장한다. 퓨미딜 B는 꿀벌의 세포 내 DNA 복제는 방해하지 않고, 노제마의 마이크로스포리디언의 DNA 복제를 방해하여 노제마원충이 성장하지 못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노제마병을 구제 및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생적인 사양 관리, 훈증, 고온 소독 등이 권장되며 노제마병에 감염된 양봉 기구가 소독 처치된 양봉 기구와 섞이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3) 꿀벌 바이러스병 : 꿀벌 바이러스병에는 급성 꿀벌 마비병, 만성 꿀벌 마비병, 캐시미어병, 여왕벌 흑색병, 봉아 낭충 부패병, X 바이러스병, Y 바이러스병, 진주병 등이 있다.

꿀벌 바이러스병에 걸리게 되면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다르나 꿀벌 유충이 번데기가 되지 못하거나 성봉의 급성, 만성의 마비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어떤 바이러스에 걸리면 날개가 투명성이 없는 상태가 된다. 만성마비병(chronic paralysis)의 바이러스는 꿀벌 마비 현상을 나타내며 세계 각지에서 나타나고 있다. 봉아 낭충 부패병에 걸리면 유충은 번데기로 발육하지 못하게 되는데, 유충이 뻣뻣하게 된 후 둔부를 봉개 쪽으로 향하면서 죽게 된다. 죽은 유충 속에는 액상 물질이 침착된다. 유충의 색깔은 백색에서 옅은 황색으로 변하고, 죽은 지 며칠이 지나면 암갈색으로 된다. 유충의 두부와 기관 부위부터 암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는데, 결국 말라서 납작하게 된다. 봉아 낭충 부패병은 호주로부터 매년 많은 양의 꿀벌을 수입하는 우리 나라로에서 이 질병에 대한 계속적인 감염률 조사와 방제 대책이 필요하다. 꿀벌바이러스는 봉군의 세력을 강화하고 봉군의 관리를 잘해주면 막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의 치료제는 없는 상태이므로 위생적인 사양 관리와 봉군의 관리에 주력해야 한다. 발병 시기는 4월과 6월에 가장 높다.

 

(1) 응애(bee mite) : 유충, 성충벌에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 먹음으로써 발육 저하, 체중 감소, 기형벌, 수명 감소를 초래하는 가장 무서운 해적으로, 꿀벌 응애, 중국 가시 응애, 작은 꿀벌 응애 등 5종이 있다.

1) 꿀벌 응애(Varroa jacobsoni )

꿀벌 응애의 암컷은 꿀벌의 유충, 번데기, 성충벌에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먹어 응애병(acariosis)을 유발한다. 감염된 꿀벌 성충의 무게는 정상적인 것보다 7.1∼30.4%까지 감소하며 기생이 심한 경우에는 불구벌이 되거나 발육이 정지되기도 한다. 꿀벌 번데기의 경우에도 기생이 심한 경우 10%의 체중 감소를 보인다. 이와 같은 체중 감소 외에도 꿀벌의 복부가 위축되며, 몸의 다른 부위의 기형을 일으키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리의 불구나 번데기의 사망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봉세 약화로 말미암아 채밀 성적이 크게 떨어져 채밀량이 30∼46% 가량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2) 중국 가시 응애(Tropilaelaps clareae)

꿀벌 응애에 의한 증상과 비슷하다. 중국 가시 응애에 감염된 꿀벌의 복부는 작게 줄어들며, 건강한 꿀벌보다 수명이 짧다. 심하게 감염된 봉군에서는 날개 및 다리가 불구가 된 꿀벌이 보이기도 한다. 또한 감염되어 죽거나 불구가 된 꿀벌은 청소벌에 의해 벌통 밖으로 치워지게 된다.
 

<꿀벌 응애의 종류와 그 특징>

구        분

꿀벌 응애

작은 꿀벌 응애

중국 가시 응애

형        태

넓은 타원형

세모꼴에 가까운 타원형

장축 방향으로 타원형

 크  기(mm)

1.17×1.77

0.7×1.3

1.03×0.56

색       깔

적갈색

(꿀벌 응애보다 조금 밝은) 적갈색

황갈색

기생 부위

봉아,성충

봉아, 성충

봉아(간혹 이동을 위해 성충몸에도 붙어 있음)

조사 방법

- 봉개소방을 헤쳐내고 봉아를 핀셋으로 꺼내본다
- 성충의 등이나 복부 접히는 곳을 살펴본다
- 소비면을 느리게 기어 다닌다
- 벌통 바닥에 끈끈이 종이를 깔아 관찰한다

꿀벌 응애와 동일

- 봉개 소방을 헤쳐내고 봉아를 끄집어내어 소방안이나 봉아몸을 관찰한다
- 소비면을 빠르게 기어 다닌다
- 벌통 바닥에 끈끈이 종이를 깔아 관찰한다

질병 증상

복부 축소, 날개 불구, 다리 불구벌이 소비면이나 벌통 앞에서 기어 다닌다

조사된 것 없음

꿀벌 응애와 비슷하나 날개 불구벌이 많이 보인다

 

꿀벌 응애와 벌집나방

<꿀벌 응애와 벌집나방>

 

(2) 벌집나방(wax moth; 巢蟲): 저장 소비, 벌통 내 벌집에 기생하여 벌집을 먹고 살며 꿀벌방을 망가지게 한다.

1) 소충(큰꿀벌부채명나방, Galleria mellonella)

소충은 일차적으로 소비를 먹고 유충의 포피와 화분, 벌꿀등을 먹이로 삼는다. 35℃에서 소충의 유충기는 18일이며, 8월, 9월에 최고의 밀도를 보인다. 소충의 체색흰색은 이나 자라면서 점차 검회색을 띄게 된다. 머리껍질은 갈색이며, 부화하면서 1시간동안 벌꿀을 섭식하며 화분이나 소방벽을 파낸다. 이후에 소비 중간으로 이동하여 부화후 하룻동안 최대의 활성을 보여 총 3m 정도를 이동하게 된다.
 

2) 작은꿀벌부채명나방(Achrobia gricella)

노란색의 머리를 가진 10∼13mm정도의 나방이며, 유충의 경우는 20mm정도의 크기를 보인다. 피해양상은 큰꿀벌부채명나방의 유충피해와 유사하다.
 

(3) 장수말벌(vespa) : 동굴이나 땅 속에 3~5층의 큰 벌집을 짓고 집단 생활을 하고, 육식성이며 꿀벌이나 다른 곤충을 잡아먹을 뿐만 아니라 벌꿀, 과실즙액, 나무즙액 등을 먹고 산다. 8월 중순 이후 말벌이 여러 마리 내습하면 봉군은 큰 피해를 당하며 멸망하기도 한다.
 

(4) 기타 외부 해충 : 개구리, 두꺼비, 거미, 포식성 곤충, 설치류 등이 꿀벌에 해를 끼친다. 피해는 주로 꿀벌에 대한 습격 및 섭식이며, 설치류의 경우 봉군을 파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꿀벌에 해를 주는 해충 및 설치류>

목      명

종                                     류

나 비 목

화랑곡나방

벌      목

장수말벌, 말벌, 좀말벌, 검정말벌, 털보말벌, 꼬마장수말벌, 황말벌, 개미류, 땅벌

파 리 목

파리매, 왕파리매, 검정파리매, 빨간뒤엉파리매, 분파리매, 홍다리파리매, 뒤영벌파리매, 광대파리매, 쥐색파리매, 배털파리매

설 치 류

등줄쥐, 시궁창쥐, 생쥐

기      타

거미, 개구리, 두꺼비

  

거미와 말법

<거미에 잡힌 꿀벌과 꿀벌의 해적인 말벌>

 

출처 : 귀농을 꿈꾸는 사람들
글쓴이 : 신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