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
학명 Pyrus ussuriensis
분류 장미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자생지 부락 근처나 산지
크기 높이 약 10m
부락 근처나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0m이다. 작은가지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둥근 모양이거나 둥근 달걀 모양으로서 길이 5∼10cm이다.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와 양면에 털이 없으며 바늘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지름 3∼3.5cm이고 잎겨드랑이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1∼2cm이고 털이 없다. 꽃받침조각은 끝이 둥글며 옆으로 퍼진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암술대 밑동에 털이 난다. 열매는 이과로서 둥글고 지름 3∼4cm이며, 8∼9월에 노란색으로 익는다. 열매를 식용하며 접붙이기의 대목(臺木)으로 쓴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잎 뒷면에 잔털이 나는 것을 털산돌배(var. pubescens), 잎 뒷면 맥 위에 솜털이 나고 잎이 타원형이거나 넓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인 것을 금강산돌배(var. diamantica), 열매가 둥근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형인 것을 청실리(var. ovoidea), 어린 가지와 잎자루·열매자루에 털이 나는 것을 남해배(var. nankaiensics), 꽃이 큰 것을 문배(var. seoulensis), 열매 지름 4∼5cm이고 햇볕에 닿는 곳이 붉은빛을 띠며 톱니 길이가 2∼3mm인 것을 취앙네(var. acidula)라고 한다.
유사종
문배나무(var. seoulensis) : 꽃이 큰 것.
참배(var. mecrostipes) : 열매의 지름이 5-6cm이고, 과피에 0.5mm정도의 피목이 산재한 것.
털산돌배(var. pubescens Nak.)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금강산돌배(var. diamantica Uyeki) : 잎 뒷면 맥위에 면모가 있고 잎이 타원형,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청실리(var. ovoidea Rehder) : 열매가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남해배(var. nankaiensis T.LEE) : 어린 가지와 엽병 및 과경에 털이 있다.
취앙네(var. acidula T.LEE) : 열매가 지름 4-5cm로서 햇볕에 닿은 곳이 붉은 빛이 돌고 톱니의 길이가 2-3mm이다.
하얀꽃과 수형이 우아하여 도시의 공원에 적합하다. 열매는 생식하거나 술을 담근다.
우리가 먹는 식품은 알카리성 식품과 산성 식품으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과실류는 나트륨, 칼리, 칼슘 등의 함량이 많아 체내에서 알카리성을 나타내므로 중요한 카리성 식품이다.
과실은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어 신맛이 나지만 체내에서 이 산이 분해하여 그 회분이 알카리성이되 므로 맛은 시더라도 알칼리성 식품인 것이다.
따라서 혈액을 중성으로 유지하려면 고기류, 곡물과 같은 산성 식품을 섭취할 때도 과실과 같은 알카리성 식품을 함께 많이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칼리,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이 75%를 차지하고 인이나 유산 등의 함량이 25% 정도로서 강한 알카리성 식품이므로 배나 배 가공품을 많이 먹는 것은 우리의 혈액을 중성으로 유지시켜 몸에 좋다.
장미과 속하며 맛은 달고 약간 신맛이 있으며 성질은 약간 차가운 편에 속하며 주로 폐경(肺經)과 위경(胃經)에 작용을 하는 과일이다. 우리 몸의 중요한 체액인 진액을 생성해서 갈증을 멈추어주며, 바짝 마른 것을 적셔주고 마른 가래를 없애주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열이 나고 갈증이 있고 대변이 굳어지는 경우와 폐에 열이 있어서 마른 기침을 하는 경우에 좋은 과일이다. 그러나 소화기의 기능이 약하고 배가 차가우며 설사를 자주 하거나 묽은 가래가 많이 나오면서 기침을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기 초기에 콧물이 있고 가래가 끓으며 목안이 아픈 경우라면 도라지를 다려서 입 안에 머금었다가 마시면 좋다. 반면, 감기 증세가 오래 진행이 되면서 가래나 인후통은 줄어들고 목안이 간질거리고 마른 기침이 나오는 경우라면 배가 더 좋은데 소화력이 약한 경우라면 배를 익혀서 먹거나 다려서 즙으로 먹는 것이 더 좋다. 만약, 변비가 있고 갈증이 심하다면 배를 생으로 먹는 것이 더 효과가 좋다.
배 속에는 효소가 많은 편이어서 소화를 돕는 작용도 한다. 불고기를 잴 때나 육회등에 배를 섞으면 고기가 효소의 작용으로 연해질 뿐만 아니라 소화성도 좋다.
한자로 배를 이(梨: 배나무이)라고 한다. 맛은 달고 시큼하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폐경, 위경, 심경, 간경에 들어 간다. 진액을 생성하고 윤조하며 열을 내리고 가래을 삭이는 효능이 있다. 열병진상번갈, 소갈증, 열애, 담열경광, 식도암, 변비를 치료한다. 배나무 뿌리, 잎, 껍질, 배열매 껍질도 약용한다.
재배하는 배나무 보다는 산에서 야생하는 <돌배나무>가 훨씬 더 큰 효험이 있다. 약용으로 사용할때는 시중에 파는 배도 효험은 있지만, 그보다는 산에서 강인하게 생명력을 지탱하고 살아가는 돌배나무의 열매, 잎, 잔가지, 껍질, 뿌리 등을 약용
<중약대사전>에서는 배에 관해서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요점을 대략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배를 생식하거나 껍질과 씨를 제거하고 짓찧은 즙 또는 달여 엑기스를 만들어 먹는다. 외용시 짓찧어 바르거나 즙을 눈에 떨구어 넣는다.
배나무 뿌리를 <이수근>이라고 하는데, 1년 내내 채취할 수 있으며 맛은 달고 싱거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주로 산증을 치료하며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다. 하루 40~8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배나무가지는 <이지>라고 하는데, 곽란으로 인한 구토, 설사에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배나무 잎은 <이엽>이라고 하는데, 부스럼, 곽란에 의한 구토, 이질, 배를 많이 먹어서 탈이 날때, 수독, 하리, 땀이 없을 때, 버섯 중독, 소아의 산기를 치료한다. 물로 달여 먹거나 짓찧은 즙을 복용하거나 바를 수 있다.
배의 열매 껍질을 <이피>라고 하는데, 맛은 달고 떪으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다. 심기를 맑게하고 폐를 윤활하게 하며 화를 내리고 진액을 생성하는 효능이 있다. 등에 난 부스럼, 이질 및 발한하면서 나는 기침, 수종에 의한 소화불량, 서열번갈, 해수, 토혈, 발배, 정창을 치료한다. 하루 12~20그램, 신선한 것은 40~8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는 짓찧어 붙이면 된다.
배나무 줄기 껍질을 <이목피>라고 하는데, 유행성 상한을 치료한다."
배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배를 이(梨) 또는 밀부(蜜父)라고 한다. 배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배나무(Pyrus pyrifolia var. culta 'Mak.' Nak.)의 익은 열매이다.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배가 익은 다음 딴다. 맛은 달고 약간 시며 성질은 차다. 폐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진액을 불려주며 담을 삭인다. 열이 나고 갈증이 나며 가슴이 답답한 데, 소갈, 해소, 열격, 변비에 쓴다. 그대로 먹거나 짓찧어 즙을 짜서 먹는다. 엿처럼 만들어 먹기도 한다."
과실은 梨(이), 根(근)은 梨樹根(이수근), 수피는 梨木皮(이목피), 枝(지)는 梨枝(이지), 葉(엽)은 梨葉(이엽), 果皮(과피)는 梨皮(이피), 灰(회)는 梨木灰(이목회)라 하며 약용한다.
梨(이)
8-9월에 과실이 익었을 때 따서 신선한 것을 사용하거나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돌배나무의 과실에는 사과산, 구연산, 과당, 포도당, 蔗糖(자당)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재배종의 과실에는 자당, 과당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生津(생진), 潤燥(윤조), 淸熱(청열), 化痰(화담)의 효능이 있다. 熱病傷津(열병상진), 煩渴(번갈), 消渴(소갈), 熱咳(열해), 痰熱(담열)로 인한 驚狂(경광), 일격, 변비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 생과실을 먹거나 과피와 핵을 제거하고 즙을 내어 마신다. 또는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여도 좋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즙을 點眼(점안)한다.
梨樹根(이수근)
연중 수시로 채취한다.
약효 : 헤르니아(脫腸(탈장))를 치료하고 止咳(지해)하는 효능이 있다.
용법/용량 :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梨木皮(이목피)
傷寒(상한) 등의 유행성병의 熱(열)을 풀어 준다.
梨枝(이지)
곽란토혈을 치료하는데 삶아 즙을 복용한다.
梨葉(이엽)
성분 : 산돌배의 잎에는 arbutin과 tannin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成葉期(성엽기)에 질소, 인, 칼륨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이후부터는 점점 감소한다. 칼슘, 마그네슘의 함유량은 이와는 반대로 된다.
약효 : 버섯중독, 소아의 헤르니아(脫腸(탈장))를 치료하고 곽란토사, 下痢不止(하리부지)에는 삶은 즙을 복용한다.
용법/용량 : 煎液(전액) 또는 생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즙을 내어 塗布(도포)한다.
梨皮(이피)
약효 : 淸心(청심), 潤肺(윤폐), 降火(강화), 生津(생진)의 효능이 있다. 暑熱煩渴(서열번갈), 咳嗽(해수), 吐血(토혈), 發背(발배-등에 생기는 腫瘡(종창)), 정창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梨木灰(이목회)
氣積鬱冒(기적울모), 結氣咳逆(결기해역)을 치료한다.
주의 :소화력이 약한 사람이 배를 먹으면 설사를 일으키기 쉽다.
기관지염 :배의 속을 들어내고 속을 잘 긁어낸 후, 벌꿀을 가득 넣고 처음 밀가루 반죽을 잘 만들어 배를 싸고 그 위에 종이로 두껍게 싸서 약한 불에 찜 구이를 한 후 밀가루 반죽을 벗겨 내고 먹으면 심한 기침도 2 ~ 3회 복용으로 치유 된다.
출산후 기침을 할 때 :배 속을 파내고 꿀을 넣은 다음 쪄서 먹는다.
중풍으로 목이 쉬고 열이 날 때 :생배 즙을 내서 1홉씩 하루에 3번 마신다.
천식으로 호흡곤란이 올 때 :배 2개를 즙을 내어 그 속에 파뿌리 5개를 섞어 약간 끓여서 여러 번 나누어 먹는다.
기침 감기, 오래된 해소, 천식에 장기간 먹어도 부작용이 없다. : 배 속과 껍질을 제거하고 믹서에 갈아 즙을 만들어 꿀을 적당히 섞어 약한 불로 은근히 고운 뒤 수시로 복용한다.
백일해 :배를 껍질째로 4∼5조각을 내어 냄비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 불에 얹는다. 속까지 익게 되면 1번에 2조각씩 두 끼니 사이의 빈속에 먹인다. 담이 그치고 심한 기침도 완치된다.
술에 취한 것을 곧 깨어나게 하려할 때 :큰 배 10 개의 껍질을 벗기고 찧어 즙을 짜 가지고 찬 곳에 보관하여 부패하지 않게 해 둔 다음 찌꺼기를 말려 가루로 빻아 보관해 둔 뒤 술에 취했을 때 이것을 큰 숟가락으로 한 숟가락을 끓인 물에 타서 복용하면 곧 낫는다. 낫지 않을 때에는 재차 복용하면 된다.
가래를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하려 할 때 :배즙, 생강즙과 배갈이나 소주 또는 정종 3컵에 흰 꿀 1컵 반을 질그릇이나 사기그릇에 넣어 달인다. 이것이 무른 고약처럼 되었을 때 인삼 5그램, 패모(貝母) 12그램, 백출 5그램을 넣어 잘 섞어 고약처럼 갠 다음 병에 담아 둔다. 이것을 보통 하루에 3 차례 한 숟가락씩 끓인 물로 복용하면 된다. 병이 있는 사람이나 없는 사람도 계속 복용하면 천식증이나 파상(破傷) 기침에 매우 좋다.
![]() |
![]() |
'나무들 > 유실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초크베리(아로니아베리) (0) | 2009.04.30 |
---|---|
[스크랩] 비타민나무 발아해서 실생묘 만들기 (0) | 2008.12.28 |
[스크랩] 해외 건강기능성 식품 - 아로니아 (0) | 2008.07.30 |
[스크랩] 다양한 기능성, 다양한 블루베리 (0) | 2008.07.24 |
[스크랩] * 아로니아베리 (0) | 2008.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