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뇨병의 증상과 진단
1. 당뇨병의 증상
① 고혈당
당뇨병의 증상으로 혈당 수준의 상승 또는 고혈당이 나타난다. 혈액 중의 포도당을 각 조직세포로 끌어들이는 인슐린 부족은 각 조직세포의 열량원인 포도당 공급을 감소시키고, 신체기능을 약화시킨다.
② 당뇨와 케톤뇨
요 속에 포도당이 다량 함유되는 것도 당뇨병의 한 증상이다. 정상인에게서 요당은 검출되지 않는다. 신장의 재흡수 능력 이상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기 때문에 당뇨가 나타난다.
인슐린이 없다면 탄수화물은 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없다. 그 대신 인체는 지방을 주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정상상태에서는 간에서 적은 양의 지방산만이 케톤체를 생성하고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면서 케톤체가 대사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케톤체가 많이 생성되어 혈중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과다한 케톤체가 소변으로 배설되는데, 이를 케톤뇨라 한다. 케톤체가 적절히 체외에 배설되지 않으면 혈액 중 농도가 높아져 케톤증이 생기게 된다. 소변에서는 독특한 냄새가 난다.
③ 당뇨병의 자각증상
당뇨병의 자각증상은 당뇨병 자체에서 오기도 하고, 합병증에서 유래되기도 한다.
ⓐ 갈증과 다뇨 : 가장 흔한 초기증상으로서 심한 갈증이 계속된다. 물을 마시지 않으면 탈수가 나타나기도 한다. 포도당과 케톤체를 배설하기 위한 체내작용으로 자주 오줌을 누게 되며 야뇨증이 나타난다.
ⓑ 식욕항진 : 식욕이 증진되며, 먹어도 곧 심한 공복감을 느낀다. 이는 먹은 탄수화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더 많은 음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 체중감소 및 체력쇠약 : 포도당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체지방과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체중이 감소된다. 기력이 없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며, 일의 의욕이 없다. 이것은 에너지원의 절대적 부족에서 기인된다. 시력저하, 망막출혈, 안질환으로 결국 시력을 잃게 된다.
ⓓ 저혈당증 : 인슐린을 과다하게 주사하거나 식사량이 부족했을 때, 식사시간이 경과한 후 저혈당이 나타난다. 심한 운동 후, 소화불량, 설사나 구토 후에도 저혈당이 나타난다. 또한 혈당의 절대치가 40mg/dL 이하로 감소될 때 나타난다. 심한 어지러움을 느끼고 식은땀이 나며 안면이 창백해지고 맥박이 약해지고 심장이 띈다. 또한, 두통과 근무력증이 오고, 심해지면 의식이 혼탁해지고 간질발작과 혼수 등이 일어난다.
ⓔ 당뇨병성 혼수 :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는 초기에 케톤산혈증이 나타날 위험이 크다. 심하면 당뇨병성 혼수가 나타난다. 이것은 저혈당증에 의한 혼수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 신기능장애 . 고혈압 : 신기능장애, 동맥경화, 고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성욕감퇴와 월경이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 조절과 함께 합병증이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 당뇨병의 진단
당뇨병의 진단에는 임상증상과 요당검사, 혈당검사, 포도당부하검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① 요당검사
당뇨병 진단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이며 간단한 검사이다. 공복시에 받은 요에 지봉을 찍어 보아 색이 변함으로써 알 수 있다. 비타민 c를 장복하는 사람에게는 당뇨가 있더라도 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② 혈당검사
당뇨병 환자는 공복시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을 이용하여 공복혈당검사를 당뇨병 진단에 이용한다. 정상인의 공복혈당은 70-120mg/dL이다. 공복혈당이 140mg/dL이면 당뇨병으로 진단된다. 심한 경우 300mg/dL 이상으로 나타난다.
③ 포도당부하검사
일정량의 포도당을 먹은 후, 또는 경구적으로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혈당과 요량을 측정한다. 정상인은 포도당을 준 후 30-60분에 최고 혈당치를 나타내고 그 후에 인슐린 작용과 말초조직과 간의 당이용이 증진되어 혈당이 감소된다. 대개 2시간 이후에는 정상치를 유지한다. 당뇨병 환자는 2시간 이후에도 정상으로 감소되지 않고 계속 혈당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감소된다. 그리고 당뇨가 나온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Re:위염에 대한 2종류의 일반적 증상과 그 대처 요령 (0) | 2010.03.13 |
---|---|
[스크랩] 산에서 암을 이긴 사람들 (0) | 2010.03.12 |
[스크랩] 현김섭식 6개월.. 생리의 변화 (0) | 2010.03.10 |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 치료 (0) | 2010.03.10 |
현미김치 만들기 (0) | 2010.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