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작두콩의 효능

지리산자연인 2010. 3. 13. 10:37

약이되는 동식물] 모든 알레르기와 염증의 명약 작두콩


알레르기는 우리몸의 면역체계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각종 물질들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여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이다.

알레르기라고 하면 두드러기나 비염과 같은 것만을 생각하기 쉬운데 알레르기로 인한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두통, 피로, 두드러기, 피부병, 재채기, 콧물, 비염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 눈물이 나기도 하고 눈 아래 검은 반점이 생기기도 한다. 알레르기는 온갖 만성질병의 원인이 되는데, 천식, 기관지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당뇨병, 암, 아토피성 피부염, 편두통, 위장병, 만성피로증후군, 신장병, 녹내장, 비만증, 심장병, 우울증, 다발성 경화증 등이 그 예다.


알레르기는 특히 미국이나 유럽에서 많이 나타나며 의술이 가장 발달했다는 미국에서도 3천 5백만명 이상이 알레르기로 고생하고 있다고 한다. 알레르기는 나무, 풀 같은 식물과 꽃나무로 인한 것이 가장 많다.

그밖에 먼지, 동물의 털, 화장품, 향수, 세제, 옷감, 가스, 금속, 햇빛, 열, 한기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사람도 있다. 알레르기를 잘 일으키는 음식은 밀가루, 옥수수, 달걀, 우유와 모든 유제품, 토마토, 조개, 게, 땅콩, 초콜릿, 식용색소, 화학조미료, 식품첨가제등이다.


콩중에 임금, 작두콩

작두콩은 콩중에서 임금이다. 이 세상에 있는 모든 먹는 콩 중에서 크기도 가장 크고 약효도 가장 놓으며 재배하기도 쉽지 않고 값도 제일 비싸다. 이름만 콩이지 실제로 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 작두콩이다.

작두콩은 보통 콩보다 열배에서 스무배쯤 크고 꼬투리는 바나나보다 더 크며 넝쿨이 칡넝쿨처럼 길게 뻗고 잎도 칡잎 만큼 커서 사람들이 식용으로는 거의 먹지 않는다. 누구든지 한번 보기한 하면 깜짝 놀라고 신기하게 여기는 콩이 작두콩이다. 작두콩은 콩과에 딸린 한해살이넝쿨풀이다. 잎은 달걀보양으로 된 겹잎으로 광저기 잎을 닮았으나 그보다 조금 길고 더 크다. 6~8월에 연한 붉은 색, 또는 보라색 꽃이 나비모양으로 핀다. 열매는 활모양으로 구부러진 꼬투리로 그 모양이 작두와 닮았다 하여 작두콩 또는 도두(刀豆)라 부른다.

꼬투리는 끝부분이 안쪽으로 굽어 있거나 갈고리 모양이며 꼬투리의 길이가 30센티미터쯤 된다. 꼬투리속에서는 엄지손가락 마다 하나만큼 큰 씨앗이 10~14개 들어 있다. 작두콩은 먹는 콩중에서 제일 큰 콩이다. 씨앗길이의 4분의 3이나 되는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 씨앗의 배꼽 길이가 흰색, 붉은색, 까만색 등이 있는데 흰색이 약성이 높다고 한다. 본래 동남아시아의 열대지방이 원산지로 옛날에는 우리나라 남쪽지방에 더러 심었으나 요즘은 거의 심지 않아 아는 사람이 드물다.

한국전쟁 무렵에 거의 멸종되어 완전히 잊혀졌다가 요즘 건강식품으로 효과가 뛰어나다 하여 조금씩 배재하는 사람이 생겨났다. 중국에서는 양자강 이남에서 더러 심으며 일본에서도 따듯한 지방에 더러 심는다. 중국에서도 상당히 귀한 편이어서 한끼에 우리나라 돈으로 몇백만원씩 하는 최고급 요리재료로 쓴다.

작두콩은 따듯한 남쪽지방에서 잘자란다.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이 재배에 알맞고 서리가 일찍 내리는 산간지방에서는 열매가 제대로 맺지 않는다. 물 빠짐이 좋은 참흙에서 잘자라며 3~4월에 씨앗을 심어 늦가을에 거두어 들인다. 씨앗 겉껍질이 단단하고 두꺼우므로 하루쯤 물에 담가 두었다가 심어야 싹이 잘난다. 싹이 나서 20센티미터쯤 자란 뒤에 받침대를 세워 넝쿨을 올린다. 중부지방에서는 온실 안에서 키우는 것이 좋다.


다양한 약리작용을 지닌 만능약

작두콩의 약리효과는 다양하면서도 뛰어나서 만능약이라 할 만하다.
첫째, 작두콩은 비염, 축농증, 치질, 지루, 편도선염, 중이염, 갖가지 종기 등 화농성 질병에 효과가 탁월하다. 몹시 귀찮고 고통스러우며 여간해서는 잘 낫지 않으며 수술을 해도 얼마 지나지 않아 재발하곤 하는 치질이나 축농증, 중이염이 작두통을 먹고 깨끗하게 나은 보기가 적지 않다. 작두콩에는 고름을 빼내는 작용과 함께 염증을 삭이는 낙용이 매우 강하다. 치조농루는 잇몸이 곪아서 피가 나고 고름이 생기는 병으로 심하면 입안에서 하수도 냄새 같은 썩은 냄새가 나고 이가 흔들거리다가 빠져 버리는 고약한 병이다. 치조농루를 비롯한 치주염, 치은염 같은 잇몸염증, 구내염, 편도선염 등에도 작두콩을 차로 끓여 마시면 신기하다 싶을 만큼 잘 낫는다.

둘째, 뱃속을 따듯하게 하고 기를 잘 통하게 하므로 위나 장이 허냉하여 생긴 염증이나 궤양, 딸국질 등에 효력이 크다. 작두콩은 위와 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구토, 복통, 설사, 변비를 모두 낫게 한다. 뱃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때나 뱃속이 허냉하여 딸국질이 잘 날 때, 고질적인 설사나 작두콩을 차로 끓여 먹거나 가루 내어 먹으면 잘낫는다. 작두콩은 몸을 따듯하게 데워주는 작용이 있다. 냉증은 온갖 질병의 원인이 된다. 관절염, 신경통, 산후통, 치질, 뱃속의 덩어리, 소화 불량, 대장염등 많은 질병이 몸을 차갑고 습하게 한 것과 대게 관련이 있다. 작두콩은 몸이 차갑게 해서 생긴 여러 질병, 특히 위장이 허냉하여 생긴 질병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

셋째, 신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한다. 작두콩은 다같이 신장기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임신한 여성의 요통에도 작두콩은 다 같이 신장기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임신한 여성의 요통에도 작두콩을 넣어 달인 돼지 콩팥을 먹으면 효과가 좋다

넷째. 어혈을 삭이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피를 살리는 작용이 있다. 심하게 부딪히거나 멍이 시퍼렇게 든데, 죽은피가 뭉쳐 있는데, 타박상 등에 작두콩을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붙이면 효과가 신통하다. 다섯째, 변비와 비만을 치료하는 효과가 높다. 작두콩은 기를 밑으로 끌어내리고 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변비를 없애고 오줌을 잘나가게 한다.


뛰어난 항암 효과와 온갖 난치병의 명약

작두콩은 쥐눈이콩, 돌콩과 함께 콩중에서 약효가 가장 높은 콩이다. 음식재료이기도 하면서 온갖 난치병에 두루 위력을 발휘한다. 특히 작두통으로 담근 간장이나 된장, 고추장 같은 발효식품은 갖가지 암, 궤양, 염증, 치질, 신장병, 간장병 등 온갖 난치병에 천하의 명약이라 할만하다. 작두통의 약성에 대해 <동의학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맛은 달고 성질은 따듯하다.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중초를 따듯하게 하고, 기를 내리며 신장의 기운을 보한다. 허한으로 인한 딸국질, 게우는 데, 헛배 부른데, 신허요통,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을 하는 데 쓴다." 작두콩은 약리실험에서 종양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루 9~15그램을 부스러뜨려 달여 먹거나 약간 거무스름하게 볶아 가루내어 볶아 가루 내어 먹는다. 작두콩깍지는 게우는데, 딱국질, 이질, 타박상에 쓴다.

작두콩에는 비타민이 보통 콩보다 훨씬 많이 들어 있다. 비타민B1은 보통 콩의 세배, B2는 다섯배, 나이아신은 네 배나 들어 있다. 또 보통 콩에는 들어 있지 않은 비타민 A와 C도 매우 풍부하다. 이처럼 많은 영양물질이 갖가지 난치병에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작두콩을 식품이나 약으로 이용하기

작두콩은 맛이 담담하여 먹기가 좋다. 차로 끓이면 주구한 맛이 난다. 특히 볶아서 끓이면 맛이 더욱 좋다. 중국 남부지방에서는 작두콩으로 간장이나 된장을 담그고 덜 익은 것을 기름에 튀기거나 볶아서 먹는다. 작두콩을 복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날 것을 그대로 먹을 수도 있고 볶아서 먹기로 하며 가루 내어 먹을 수도 있고 검게 태워서 가루 내어 먹을 수도 있다. 작두콩뿐만 아니라 콩깍지나 뿌리 등도 다 같이 약으로 쓴다.

작두콩을 복용하여 효과가 나타나는 속도는 질병과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르다. 치조농루나 치은염, 구내염에는 효과가 빨라서 대개 일주일에서 한달쯤이면 낫고 치질이나 축농증, 중이염 등은 3~6개월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다.


백구한의원 원장 강재만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암을 이기는 작두콩  (0) 2010.03.13
작두콩의 효능2  (0) 2010.03.13
[스크랩] <<솔방울과 솔잎의 약리작용>>  (0) 2010.03.06
[스크랩] 섬엉겅퀴  (0) 2010.02.26
인진쑥의 효능과 부작용  (0) 2010.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