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초
영어 이름 primrose, cowslip
독일어 이름 Schlusselblume
원산지중앙아시아, 동아시아, 유럽
역사와 문화
앵초는 역사적으로 쓰임새가 매우 다양했던 향신료이자 또한 약초이기도 했다. 그러한 이유로 그와 관련된 풍습과 전설도 또한 다양하다. 영국에서는 앵초의 꽃을 실로 꿰어서 공을 만들어 서로 던지며 노는 놀이기구로 사용하기도 했고 또한 처녀들이 언제 신랑을 만나 결혼할 수 있을 지에 대해서 점을 처 보던 기구로도 사용했다. 또한 앵글로색슨 지역의 여성들에게 앵초는 사랑의 묘약을 만드는 재료로 인기가 높았다. 아침 일찍 앵초의 꽃에 내린 이슬이 마르기 전에 꽃을 따서 받아 놓은 맑은 빗물에 넣고 온 종일 햇볕에 놓아두면 꽃으로 만든 정수(精水)가 되었다. 이를 사랑하는 사람의 베개에 뿌려두면 다음 달 안에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이 열린다고 한다. 연인들이 앵초 꽃을 서로 선물하는 것이 유행되기도 하였고, 앵초가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믿었기 때문에 런던의 길거리에서는 앵초를 팔기도 하였다. 북구의 전설에 의하면 앵초는 사랑의 여신인 프라이야 (Freya)에게 봉헌되었다고 한다. 앵초가 보물이 많이 있었던 프라이야의 궁전의 자물쇠를 열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한 이유로 독일어에서 앵초는 '열쇠꽃' 이라는 의미의 슐리셀블루메(Schlusselblume) 라고 불리운다. 프라이야 여신은 운명과 하늘 그리고 별의 지배자였고 동시에 육감적 사랑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독교가 전래하면서 앵초를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하였고 '성모 마리아의 열쇠'라는 의미의 마리엔슐리셀(Marienschlussel)이라고 불렀다. 앵초의 꽃이 마치 열쇠꾸러미 처럼 보이고 이 열쇠로 천국의 문을 열 수 있다고 믿었다. 비슷한 이유로 성 베드로의 열쇠(Petersschlussel), 성 베드로의 꽃(Petersblume) 그리고 천국의 열쇠(Himmelsblume)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이는 성 베드로가 예수에게 천국으로 들어갈 수 있는 열쇠를 약속한 데서 비롯되었다. 영어 명칭인 카우스립(Cowslip)은 소(Cow)가 똥(Slip '점토액')을 싸 놓고 간 곳은 어디든지 앵초가 있었기 때문에 생겨났다. 또한 소가 우유를 더 생산할 수 있도록 앵초 꽃으로 장식을 만들어 목에 걸어주기도 하였다. 한편 학명과 속명인 프리물라 베리스 (Purimula veris)는 라틴어로서 '첫째'를 의미하는 프리무스(primus)와 '봄'을 뜻하는 베리스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앵초가 봄에 가장 일찍 나오고 꽃을 피우는 식물에 속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식물적 특성
앵초과에 속하는 앵초는 키가 30cm까지 자라고 짧은 지하경으로 겨울을 난다. 근경에서 잎이 나오는데, 처음에는 말려있다가 나중에 방사형 좌엽으로 변화한다. 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뭉뚝하며 잎에는 고랑이 난 잎줄기가 달려있다. 또한 잎의 위에는 주름이 나있고 아래에는 털이 나있다. 향이 좋은 노란색 꽃은 4월과 5월 사이에 좌엽에서 솟는 2-20cm 길이의 줄기의 끝에 우산모양의 꽃차례로 피어난다. 털이 많이 나있는 꽃받침과 꽃부리는 관 모양으로 생겼다.
이용부위
4월과 5월에 수확한 꽃과 10월에 수확한 뿌리
주요 성분
사포닌
효능
앵초의 뿌리는 가래를 해소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기관지 염증에 사용되고
앵초의 꽃은 천식이나 기침에 마시는 혼합차의 요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이용법
차 숟갈의 끝 부분에만 찰 (약 0.5g) 정도의 앵초에 뜨거운 물 150ml를 넣고
10-15 분간 우려낸 뒤 하루에 1-3 잔을 마신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없음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Pyrethrum (피레쓰럼; 제충국)이란? (꽃을 사랑하는 사람들 카페에서 옮김) (0) | 2010.05.17 |
---|---|
[스크랩] 큰연령초 (0) | 2010.05.03 |
육종용과 초종용/산약초담금주와 효소 카페 (0) | 2010.04.20 |
[스크랩] 아마씨(Flax seed) (0) | 2010.04.13 |
[스크랩] 상 륙 (0) | 2010.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