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큰절 ·계수배(稽首拜)
![]() |
![]() |
![]() |
① 공수하고 대상을 향해 선다. |
②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는다. (손을 벌리지 않는다) |
③ 왼쪽 무를을 먼저 끓는다. |
![]() |
![]() |
![]() |
④ 오른쪽 무릎을 왼무릎과 가지런히 끓는다 |
⑤ 왼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
⑥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댄다. (엉덩이가 들리면 안된다) |
![]() |
![]() |
![]() |
⑦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
⑧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 |
⑨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세운 오른쪽 무릎위에 얹는다. |
![]() |
| |
⑩ 오른쪽 무릎에 힘을 주며 일어나서 왼쪽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




(2) 차수한 손을 눈높이까지 가볍게 들어 올린다. 이를 읍(揖)이라고 한다.
(2)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는다. (손을 벌리지 않는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4) 오른쪽 무릎을 왼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무릎꿇은 앉은 상태를 궤([足+危])라고 한다.
(5) 왼발이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6)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댄다. (갓을 썼을 때는 갓의 차양이 손등에 닿게 한다. 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된다.) 이 상태를 배(拜)라고 한다.
(7)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
(9)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세운 오른쪽 무릎위에 얹는다.
(10) 오른쪽 무릎에 힘을 주며 일어나서 왼쪽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으며 다시 차수(叉手) 자세를 취한다. 이를 평신(平身)이라 한다.

큰절과 같은 동작으로 한다. 다만 큰절의 ⑤번동작 뒤꿈치를 벌이며 깊이 앉는 것과 ⑥번동작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손등에 대는 것과 ⑦번동작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떼는 부분은 생략한다. 공수한 손을 바닥에 대고 무릎끓은 자세에서 엉덩이에서 머리까지 수평이 되게 엎드렸다가 일어나는 절이다. 또한 반절은 평절을 약식으로 하는 절이라 이해하면 된다.
임금에게 하는 고두배(叩頭拜)
공수한 손을 풀어서 두손을 벌려 바닥을 짚으며 하는 절을
고두배라 한다. 고두배는 신하가 임금에게 하는 절이며,
한 번 절할때 세 번을 이마로 바닥을 두드리는 것이다.
여자의 큰절 숙배(肅拜)
여자의 큰절 숙배는 원래 무장을 한 군인이 진중에서 군례(軍禮)를 할때 하던 절인데 이것이 여자의 큰절로 행해지고 있다.
![]() |
![]() |
![]() |
① 공수하고 대상을 향해 선다.
|
② 공수한 손을 어깨높이로 수평 이 되게 올린다. (너무 올리면 겨드랑이가 보인다) ③ 고개를 숙여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붙인다. (엄지 안쪽으로 바닥을 볼 수 있게 한다. ) |
④ 왼쪽 무릅을 먼저 끊는다.
⑤ 오른쪽 무를을 왼무를과 가지런히 끓는다.
|
![]() |
![]() |
![]() |
⑥ 오른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
⑦ 윗몸을 반(45도)쯤 앞으로
굽힌다. (이때 손등이 이마 에서 떨어지면 안된다.) |
⑧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
![]() |
|
|
⑨ 오른쪽 무릅을 먼저 세운다. ⑩ 일어나면서 왼쪽발을 오른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




여자의 큰절은 시부모나 친정 부모에게, 또는 혼례, 상례, 제례 등의 의식에서 행한다. 대개 재배(再拜)를 하나 혼례 때 시부모를 처음 뵐 때, 사당 참배나 제사 때에는 반드시 4배를 한다. 이 때 수모(手母)라 하여 두 사람 또는 한 사람이 겨드랑이 밑을 부축해주는 일이 많다.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오늘날 통용되는 큰절의 절차를 소개한다.
(1) 공수한 손을 어깨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린다. (겨드랑이가 보일 정도로 너무 많이 올리면 안된다.)
(2) 고개를 숙여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붙인다.(엄지 안 쪽으로 바닥을 볼 수 있게 한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4) 오른쪽 무릎을 왼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5) 오른발이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오늘날은 대체로 꿇지 않고 다리를 옆으로 벌리며 앉는다.)
(6) 윗몸을 반쯤(약 45도) 앞으로 굽힌다. (이때 손등이 이마에서 떨어지면 안된다. 머리를 너무 깊이 숙이다 행여 머리에 얹은 장식이 쏟아지지 않도록 조심한다.)
(7)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손끝을 바닥에서 뗀다.
(9) 일어나면서 왼쪽발을 오른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10) 수평으로 올렸던 공수한 손을 원위치로 내리며 고개를 반듯하게 세운다.
여자의 평절 ·평배(平拜)
여자의 평절은 원래 중국여자의 큰절이었는떼 우리나라의 큰절보다 수월하므로 평절로 쓰인다.
![]() |
![]() |
![]() |
① 공수한 손을 풀어 양 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런다.
|
② 왼쪽 무릎을 먼저 끓는다. ③ 오른쪽 무릎을 왼무릎과 가지런히 끊는다. |
④ 오른쪽 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않는다. ⑤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 모아서 손끝이 밖(양 옆)을 향하게 무릅과 가지런히 바닥에 댄다. |
![]() |
⑥ 윗몸을 반(45도) 쯤 앞으로 굽히며 두 손바닥을 바닥에 댄다. (이때 엉덩이가 들리지 않아야 하며, 어깨가 치솟아 목이 묻히지 않도록 팔굽을 약간 굽혀도 괜찮다) ⑦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키며 두 손바닥을 바닥에서 뗀다. ⑧ 오른쪽 무름을 먼저 세우며 손끝을 바박에서 델다 | |
![]() |
![]() |
|
⑨ 일어나면서 왼쪽발을 오른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
⑩ 공수하고 원자세를 취한다. |
여자의 반절 ·반배(半拜)
여자의 반절은 평절을 약식으로 하면 된다. 답배해야 할 대상이 많이 낮은 사람이면 남녀 모두 앉은채로 두 손으로 바닥을 짚는 첫으로 답배하기도 한다.
< 출처 : kjs66lg 님의 블로그 방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통영 욕지도 야포에 사는 멋있는 사람 (민박집 소개) (0) | 2006.02.20 |
---|---|
생활영어 300가지 (0) | 2006.02.19 |
[스크랩] ㅋㅋㅋㅋㅋ (0) | 2006.02.15 |
[스크랩] 뉴질랜드)세계의 명차들의 축제,,클래식카 총집합 (0) | 2006.02.14 |
[스크랩] ‰~ 환상 속으로 (0) | 2006.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