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렁낚시'를 아시나요가벼운 찌맞춤과 PE라인 사용, 미끼 함몰 방지
“시렁낚시? 도대체 그게 뭐야, 처음 들어 보는 말인데, ‘시렁’이라면 시골집에서 메주를 매달 때 쓰는 거잖아!” 맞는 말이다. 시렁이라는
말을 국어사전에 찾아보면 ‘물건을 얹어두기 위해 방이나 마루의 벽에 건너질러 놓은 두 개의 시렁가래’라고 되어 있다. 바닥수초 위에서 ‘미끼 노출’
시렁낚시의 채비는 다음과 같다. 원줄은 물에 뜨는 플로팅 타입이면서도 질긴 합사 2호를 사용한다. 목줄 역시 부드러우면서 질긴 합사 8호를, 길이는 15cm와 10cm로 짝짝이 두바늘채비를 한다. 바늘은 허리가 짧아 흡입이 잘되면서 턱이 강한 벵에돔 5호. 미끼는 새우, 콩, 옥수수 등을 쓸 수 있으나 밝은 색채를 띠면서 가볍고 붕어가 한입에 흡입하기 쉬운 옥수수가 가장 적합하다. 찌는 30~35cm 길이에 0.7호 정도의 부력이 알맞다. 그리고 찌맞춤은 원줄에 찌를 끼운 다음 케미컬라이트와 바늘 등 모든 채비 일체를 달고서 찌톱이 수면에서 5cm 정도 위로 올라오게 맞춘다. 이렇게 채비를 가볍게 맞춘 다음, 현장에서 옥수수를 달아 수초 사이의 공간에 집어넣으면 서서히 채비가 가라앉는다. 이때 채비는 바닥에 거의 다다를 즈음이면 찌톱과 바늘에 끼워진 옥수수미끼까지가 일직선이 되어서 하강하게 된다. 이 대목에서 ‘시렁낚시’의 진면목이 나온다. 아주 천천히 내려가던 채비는 아랫바늘에 끼워진 옥수수미끼가 바닥에 쌓여있는 퇴적층이나 바닥수초 위에 닿는 순간 일직선이 된 채로 멈춘다. 한마디로 말해서 바닥수초 이파리 위에 미끼를 살며시 올려놓는 낚시 기법인 것이다. 미끼가 함몰되기 쉬운 새우낚시와 달리 미끼가 이파리 위에 놓여있는 시렁낚시는 지나가던 대물붕어의 시야에 쉽게 발견되므로 입질을 받기가 그만큼 쉬워지는 것이다. 이때 입질 형태는 윗바늘의 미끼를 물면 끌려 들어가고 아랫바늘의 미끼를 물면 찌가 올라온다. 혹자는 미끼가 그런 형태로 있으면 송사리와 참붕어 같은 잔챙이가 덤비지 않을까 우려하겠지만 실제로 시렁낚시를 해보면 씨알이 괜찮은 붕어 아니면 잉어만 입질을 하니 감탄사가 절로 나올 지경이다. 장시웅씨는 주변 꾼들에게 자신이 개발한 시렁낚시를 전파하여 초봄부터 유난히 많은 대물을 낚아냈다.
5월14일 경산시 자인면 교촌리 소재 (주)제다 소속 조우회원들은 자인면 사제지에서 밤낚시를 했다. 이날 새우미끼를 사용한 사람은 동자개를 낚기도 하였으나, 시렁낚시 기법을 구사한 이들은 손영관씨의 40cm를 비롯하여 36cm, 34cm, 32cm의 월척을 뽑아냈다. 시렁낚시의 위력을 새삼 실감하는 순간이었다. 아무튼 수초를 끼고 있는 포인트에서는 99%(?) 위력을 발휘하는 시렁낚시 신기법은 앞으로 그 위력을 발휘하며 전국적으로 많은 팬을 보유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문의 경산 자인 낚시와사람 053-856-2034, 018-575-0190. 글 사진 조도제 객원기자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시험에 절대 안나오는 고사성어 (0) | 2006.03.28 |
---|---|
[스크랩] 업보와 윤회 (0) | 2006.03.27 |
[스크랩] 암벽등반 매듭법 (0) | 2006.03.17 |
[스크랩] 엔진톱에 대해...아는 분들은 걍 넘어가세요 ^**^ (0) | 2006.03.17 |
[스크랩] 와인의 종류 (0) | 2006.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