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약용나무

[스크랩] 호장근 <虎杖>

지리산자연인 2006. 7. 12. 10:36

 

호장근 <虎杖>
 
학명  Reynoutria elliptica (Koidz.) Migo
 
과명 : 마디풀과
 
생지 : 볕이 잘 드는 냇가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분포 : 제주, 전북, 경남, 경북(금오산, 팔공산), 충남, 충북, 강원(삼악산, 설악산), 경기, 황해,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약효 : 어린 줄기는 식용한다.
虎杖(근경)- 緩下, 이뇨, 通經, 鎭咳鎭靜藥으로 쓰이고, 祛風利濕, 破瘀, 通經의 효능. 류마티즘에 의한 筋骨疼痛, 습열황달, 淋濁, 帶下, 월경폐지, 산후의 惡露滯留, 腹部의 結塊, 痔漏出血, 타박상, 화상, 惡瘡癬疾을 치료.
虎杖根(호장근)- 蛇咬傷에 찧어서 塗布
 
개화 : 6-8월, 백색 또는 담홍색
 
번식 : 종자
 
유사종 : 감절대, 왕호장, 붉은호장근
 
특징 :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의 속은 비어 있다
 
속명 : 호장. 반장. 이상. 반홍조. 범승아.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대개는 산기슭 양지바른곳
개화기 : 6 - 8 월
꽃색 : 흰색
결실기 : 10 월
높이 : 1 m 안팎
특징 : 뿌리 줄기가 목질로 길게 뻗으며, 원줄기의 속이 비어 있다.
용도 : 관상용. 약용. 식용. 밀원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에 어린순을 삶아 나물로 먹는다.
효 능 : 뿌리 줄기를 이뇨. 완하. 통경. 보익. 진정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가을에 땅속 줄기를 캐어 말려서 적당한 크기로 잘라 1회 4 - 5g 정도를 물 0.5리터에 달여 1일 3회로 나누어 복용하면 부인병. 월경불순. 오줌싸개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건위제로서 소화불량과 위가 약한 증상을 고치고 변비를 통하게 하며, 임질의 이뇨약이 되고 감기의 해열약이 되기도 한다.<응중거방>

 

 

출처 : 몸에좋은 산야초
글쓴이 : 촌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