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남 작물 시험장 홈페이지 한국의 구황식물에 나오는 배초향(곽향)과
방아풀(연명초)의 자료 입니다.

|
|
배초향 |
곽향(藿香), 방애풀,
토곽향 |
과 명 |
꿀풀과 |
학 명 |
Agastache rugosa O.KUNTZE |
분 류 |
다년초 |
분 포 |
산지의 숲속이나 볕이 잘드는 풀밭 |
특 징 |
줄기는 상부에서 많은가지가 갈라지며 네모가 진다. 잎은 마주나고 난상 심장형으로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약간의 털과 더불어 흰빛이 도는 것도 있으며 가장 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다. 꽃은 7-9월경 가지나 원줄기 끝에
윤산화서로 자주색 꽃이 입술모양으로 달리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나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며, 꽃잎은 밑부분 것이 길고 옆의 것은 톱니가 있으나
수술 4개가 길게 화관 밖으로 뻗는다. 열매는 도란상 타원형의 수과로써 , 종자는 평편한 삼능형이다. 전초에 강한 향기가
있다. |
번 식 |
種子栽培 , 種間雜種 , 分株 , 實生 , 生態育種 , 系統分離 |
용 도 |
食用(어린순) 나물 藥用(排草香 : 6-7월경에 전초를 채취하여 햇빛에 말린것) 腹痛 , 吐瀉 , 感氣 , 頭痛 , 腫氣 , 腫毒
, 藿亂 , 脾胃 , 風濕 , 健胃 , 胸痛
|
식용법 |
봄에 새로나온 어린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으면 초향미가 있다. 간장과 된장등 식료품에 좋은 향료로 쓰며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
민간요법 |
곽향 200g을 가루내여 돼지의 열물로 반죽하여 환을 지어 1회 5g씩 1일 2회 2-4주간 복용 - 만성비염 , 부비강염 -
곽향,향유,인진 각각 10g을 달여 1일 2회복용 - 더위먹고 구토설사하는데 - 말린곽향 12g을 달여 매일 한번씩 복용 - 소화불량에 의한
입냄새에 특효 - |
성 분 |
정유 0.28% (주성분은 Methylchavicol(Estragol 80%)) , Anisaldehyde , D-Limonene ,
P-Methoxycinnamic aldehyde , Anethole , Methylalcohol , Flavonoid 등을
함유 |
이미지 |
| | |
|
|
방아풀 |
회채화(回菜花),
연명초(延命草) |
과 명 |
꿀풀과 |
학 명 |
Isodeon japonicus HARA |
분 류 |
다년초 |
분 포 |
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풀밭 |
특 징 |
줄기는 곧게서며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나 밑부분이 둥글지만 잎자루가
윗부분으로 흘러 좁은 날개로 되고 ,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색이고 맥위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마주나며 취산화서는 자주색으로 이삭모양을 형성하고 전체가 원추화서로 된다. 꽃받침의 열편은 삼각형이고, 화관은 자주색으로 상순은
곧게서며 상부가 뒤로 젖히나 하순은 수술과 암술을 감싸지 않고 암술은 길게 화관 밖으로 뻗어 있다. 분과는 타원형으로써 윗부분에 점같은 선이
있다. |
번 식 |
系統分離 , 生態育種 , 種間雜種 , 分株 , 實生 |
용 도 |
食用(어린순) 나물 , 술 藥用(延命草 : 개화시에 지상부를 채취하여 음건한 것) 殺菌 , 驅蟲 , 胃 카타르 , 腹痛 , 消化不良
, 食欲促進 , 苦味健胃 , 强心 , 沆癌藥 , 解毒
|
식용법 |
봄,여름철에 연한잎을 화채로서 요리하여 먹는다. |
민간요법 |
말린 방아풀의 잎,줄기를 매일 10g을 달여 3회 복용 - 위장병에 특효 - 말린잎,줄기 15g을 450cc의 반되게 달여 1일 매식전
30분전 복용 -담석증 - |
성 분 |
Nodosin , Isodocarpin , Isodotricin , Isodonin (=Trichodonin) Ⅰ-Ⅴ, Enmein 등과
그 밖에 Epinodosin , Sodoponin , Epinodosinol Ⅵ-Ⅷ 함유 하며, 맛은 Plectoranthin의 황색결정체로서
40만배 희석액중에도 쓴맛이 있을 정도로 강한 쓴맛을 갖고 있다 |
이미지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