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시원추리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Hemerocallis dumortieri
분류 백합과
분포지역 전국
서식장소 산지 풀숲
크기 잎 길이 50cm, 꽃자루 높이 약 60cm
각시원추리 / 백합과. 꽃은 총상꽃차례로 5∼6월에 줄기 끝에 등황색의 꽃이 2∼3송이 핀다.
산지 풀숲에서 자란다. 잎 길이는 50cm이고, 꽃자루는 높이 60cm 정도이다. 잎은 밑쪽에서 마주나서 서로 맞물리고 윗부분이 활처럼 뒤로 휜다. 왕원추리에 비해 전체가 작고 꽃자루가 잎보다 길다.
6∼7월에 2∼3송이의 노란색 꽃이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핀다. 대롱 부위(筒部)가 짧고 향기가 나며, 포는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밀원식물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뿌리는 이뇨·지혈·소염제로 쓴다. 전국에 고루 분포한다.

▶어린 싹을 국에 넣어 먹거나 데쳐서 나물로 식용한다. 꽃은 국이나 스프용(중화요리)재료로 귀중하게 사용한다.
▶지하부의 뿌리가 매우 강건하므로 절개사면의 녹화용 또는 사방용으로 식재하면 좋고 척박지 녹화용, 반그늘의 지피용 소재 등으로 이용할 만하다.
▶꽃은 관상가치가 뛰어나 절화용으로 매우 좋다.
▶根(근)은 萱草根(훤초근), 幼苗(유묘)는 萱草嫩苗(훤초눈묘), 화뇌는 金針菜(금침채)라 하며 약용한다.
⑴萱草根(훤초근)
①가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H. minor 根(근)에는 asparagine, colchicine이 함유되어 있고 H. middendorffii의 根(근)에는 γ-hydroxyglutamine酸(산), asparagine, tyrosine, ficin, arginine, 호박酸(산), 유산, friedeline, β-sitosterol-d-glucoside, 安息香酸(안식향산) ethylester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利水(이수), 凉血(양혈)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배뇨곤란, 淋濁(임탁), 帶下(대하), 황달, 鼻出血(비출혈), 혈변, 崩漏(붕루), 乳癰(유옹-유선염), 石淋(석림-요로결석증)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9g을 달여 복용하거나 짓찧어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⑵萱草嫩苗(훤초눈묘)
①약효 : 利濕熱(이습열), 寬胸(관흉), 消食(소식)의 효능이 있다. 胸膜煩熱(흉막번열), 황달, 小便赤澁(소변적삽) 등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신선한 것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⑶金針菜(금침채)
①약효 : 利濕熱(이습열), 寬胸膈(관흉격)의 효능이 있다. 小便赤澁(소변적삽), 夜少安寢(야소안침), 痔瘡血便(치창혈변)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출처 : 고향마을 쉼터
글쓴이 : 김용원 원글보기
메모 :
'산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물레나물 (0) | 2006.08.10 |
---|---|
[스크랩] 어수리(언어리) (0) | 2006.08.09 |
[스크랩] 간과 눈에 좋은 -냉이 (0) | 2006.08.06 |
[스크랩] 간에 좋은 돌나물 (0) | 2006.08.06 |
[스크랩] 축농증 타박상 골절에 - 씀바귀 (0) | 2006.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