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

[스크랩] 데크시공 관련자료 입니다.(옮겨온 내용임)

지리산자연인 2006. 8. 21. 21:40
function forwardTag(blogid, tagname) { /* 태그별 포스트 정보 보기 페이지 호출 */ document.forwardTag.blogId.value = blogid; document.forwardTag.tagName.value = tagname; document.forwardTag.submit(); }
[본문스크랩] 데크시공 관련 자료입니다 도움되시길... | 황토집짓기 2006/07/27 09:39
http://blog.naver.com/ktsanha/60026758493
출처 카페 > 예다움 가구만들기 - DIY.. / 푸르나이
원본 http://cafe.naver.com/yedawoom/301

 

 

 

 

1. 기초콘크리트 다지기(옥외 데크 시공할 경우에)

- 지면바닥에 땅을 파고 그안에 양철통같은 원통을 박구소뤼...공구리(시멘트 몰탈 콘크리트)를 채우지용

위의 과정이 번거롭다면 아예 기초석으로 만들어져 있는 기성품을 사다가 땅을 파서 뭍어버리는 방법도 있지요

원통의 콘크리트 기초를 만들어진 상태에 스트롱타이까지 박혀있는 제품이 있지요 이놈을 걍 돈주고 사다가

땅에다 뭍어버리는 간단한 방법도 있읍니다.(대신 그만큼 비싸겠지용...ㅡ.ㅡ)

 

(기초석 샘플 사진예)


 

2. 고임목 세우기 

- 기초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굳고 나면 그 위에 수직으로 기둥을 세우는데 고임목 세우기 라고 하구요

양키쒜이들 말로는 포스트(post) 세운다고 하지용...

일반적으로 옥외에 시공할때는 철물(스트롱타이)를 사용해서 기초콘크리트와 고임목을 조인팅합니당...

고임목의 높이값은 옥외의 경우 테라스와 레벨을 맞추기 때문에 정해진 높이값은 없읍니다. 현장상황에  따라 각각 다르겠지용

즉 테라스의 수평레벨 높이에서 마이너스로 데크목 두께 빼기 장선목의 폭(높이) 빼기 멍에목의 폭(높이) 빼기를 하면

지면의 기초콘크리트 면에서 부터의 고임목 높이가 산출되지용...

실내에 데크를 시공할시에는 플로어의 정해진 높이값에 따라서 고임목의 높이를 맞추고요...

대부분 실내에 데크를 깔경우(베란다등등) 그다지 높게 시공하지 않고 기초 바닥면이 이미 방통을 치거나해서 평활도를 가진 상태이기 때문에 바닥면에 각재(30X30 또는 2'X4')를 대략 150m/m 길이로 자른다음 고임목(포스트)를 세울 위치에 콘크리트 타카로 쏴서 박아버립니다. 

 

 

3. 멍에목 깔기

- 고임목을 세우고 나면 그 위에 각종 스트롱 타이를 사용해서 멍에목을 400~450m/m 간격으로 설치합니다.

멍에목을 시공하는 길이 방향은 최종적으로 시공되는 데크목과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시공합니다.

즉 데크목의 길이방향이 세로라면 장선목은 가로 멍에목은 세로...

세로 - 가로 - 세로 이런 순서가 되지요 처음 시공할시에 데크목 시공의 길이방향을 미리 계산해서 멍에목의 시공방향을 정해야하지요

 

 

4. 장선목 깔기

- 멍에목을 시공하고 나면 그위에 반대방향(멍에목의 직각방향)으로 장선목을 시공합니다.

간격은 멍에목과 동일하구요 직접 대각선 방향으로 타카를 쏴서 멍에목과 고정하는 방법(쪼까 무식한 방법이고 FM 시공방법이 아닌)

이 있구 스트롱타이등의 철물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조인팅하는것이 정석입니다.

 

 

p.s :

멍에목과 장선목을 시공함에 있어 서양식과 우리나라 방식은 차이가 있읍니다.

서양식은 고임목 위에 가장자리 사면에만 멍에목을 시공하고 그위에 서로 교차(크로스)된 멍에+장선목을 시공하고 나서

바로 데크목을 깔지요...

우리나라식은 멍에목 위에 직각으로 장선목을 시공하는 방식이구요...높이에 있어 차이가 있읍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서양식과 우리나라식의 시공사진예를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5. 데크목 깔기

- 장선목까지 깔고 나면 그위에 본격적인 테크목 시공을 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마루깔기의 시공방법과 동일합니다 걍...타카로 쏴서 박아버리거나 데크목용 스크류피스 등을 드릴로 박아버리지용

대부분 그렇게 시공하는데 고급스런 시공방법은 아니구요(왜냐먼 못대가리 피스대가리가 보이니까...나중에 우천시 녹슬어 버리기도 하고...) 고급시공방법은 못대가리가 안보이게 하는 스트롱타이 종류를 사용해서 시공하는거구요..밑에 사진자료 있으니 참고하시길...

 

 

이상이 가장 일반적인 시공방법 순서입니다...

데크목의 종류나 규격은 각양각색이구요...일반적으로 미국산 레드파인이 가장 많이 쓰이구요...

멍에목이나 장선목은 구조용 방부목종류에서 나옵니다.

최종적으로 미관을 고려한다면 데크목의 수종및 규격 색상등은 여러 회사 제품을 골라봐야 겠지용...

좀더 섬세하게 시공한다면 데크의 측면 (fascia/측면도리) 를 데크목하고 어울리는 것으로 별도로 골라서 시공하는것도 있겠지용

 

머 대충 알고있는 내용을 주저리 주저리 읊어 보았읍니다만...

그림 이미지는 아래에서 참조하시구용...

도면이 있음 이렇게 구구절절 읊을 필요가 없을텐데...

쩝...돈을 내야 도면자료를 구할수밖에 없어서 ㅋㅋㅋ

암튼 도움이 되시길...

 

 

1. 데크의 구조 및 각부위 명칭

 

 
 
 
 
2. 데크 시공순서(서양식 시공법)
 

 
 
 
 
2-1. 데크 시공순서(우리나라식 시공법) 
 

기초 콘크리드를 다지고 그 위에 고임목(post)를 철물(스트롱타이)과 결합해 세우고 그위에 멍에를 연결한다.


멍에와 벽체부위의 연결은 스트롱앙커를 벽에 박은후 멍에를 관통해서 볼트로 고정한다.

볼트를 고정시에 볼트가 목재를 파고들어가지 않도록 와셔를 사용해야한다 위의 예는 잘못된 시공예 입니당...쩝

저렇게 시공하면 볼트가 목재를 파고먹어들어가서 언젠가는 볼트부위의 목재가 닳아서 구멍이 커지고

결국 하자가 발생합니당...저런 무식한 시공은 하지맙시당 ㅋㅋㅋ


멍에를 설치한후 장선을 올릴때 장선의 간격은 약 400~450m/m 정도를 유지한다.


기초콘크리드 + 고임목 + 멍에 + 장선 까지 시공된 모습

멍에와 장선의 고정을 타카를 쏴서 시공한 예인데용...쩝...(자세히 보심 장선목과 멍에목이 크로스 되는 부위에 타카핀이 보일겁니당)

일반적으로 목수들이 시공할때 지덜 작업하기 편하고 비용이 적게 드니까 걍 무식하게수리..저렇게 타카를 막 쏴버립니당...

근데..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시공방법이라 할수있지용...타카핀 한두개 사선(엇각)으로 쏜다고 고정이 잘 될리가 없지용

당장은 일시적으로 고정되는것 처럼 보일진 몰라두...연결고정용 전용 스트롱 타이 철물을 사용해서 피스로 고정하는것이

가장 좋은 시공예이지용....날탱이 목수들이 쓰는 시공방법은 가급적 지양하는게 ㅋㅋㅋ


장선위에 데크목을 벽체와 맞닿는 부위부터 시공한다.


차례로 데크목을 장선위에 시공한다.


최종적으로 데크 시공후 사진

 

 

3. 데크시공 하드웨어(연결부자재)

  스트롱타이   못, 피스, 기초석

과학적 설계에 의해 제작되는 스트롱타이는 자재와 자재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주며 불필요한 못을 박지 않은 상태에서도 최적의 하중을 받쳐주므로 전문가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까지도 손쉽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데크에 사용되는 스트롱 타이는 전문 목수의 정교한 작업이 없이도 훌륭한 데크 구조물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전문 목수의 시공도 꼭 필요한 부분에 아연도 스트롱 타이를 써 줌으로서 보다 튼튼한 구조체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DBT(Deck Board Tie) - 데크 상판에 못자국이 보이지 않게 시공

DJT(Deck Joist Tie) - 데크 기둥과 장선을 연결하는 철물

DPT(Deck Post Tie) - 데크 기둥과 데크를 연결하는 철물

DRT(Deck Railing Tie) - 데크 기둥과 핸드레일을 못자국 없이 처리

FB(Fence Brackets) - 데크 난간 장선이나 담장등에 사용하는 철물

TA(staircase Trend Angle) - 데크의 계단에 사용하는 철물
 
 
GT(Gazebo Tie) - GT6, GT2, GTF
 
 
 

출처 : 귀농 사랑방
글쓴이 : 정창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