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원
나자(裸子類)식물에 속하는 측백과의 상록 교목으로 20m 까지 자라고.
4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9-10월에 채취한다.
측백나무는
경북(달성군),대구시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자생 군락지가 있는
우리나라 고유 식물이다.
측백나무 잔가지와 잎을 측백엽
측백나무 씨앗을 백자인이라 약용한다.
측백엽은 지혈,량혈,이뇨,수렴의 효능이 있어
각종출혈,대장염,이질,풍습비통,고혈압을
다스린다.
백자인은 자양,안신,진정,윤자의 효능이 있어
도한,심계항진,신경쇠약,불면,신체허약,구건,번조,변비를
다스린다.
약리
(1)지혈작용.
(2)진정작용.
(3)호흡기계에
영향,
(가)진해작용,
(나)거담작용,
(다)평천작용.
(4)순환기계에
영향
기능
양혈지혈,지해거담,거풍습,산중독
주치
각종출혈,장풍하혈,붕루부지,
해수담다,풍습비통,단독
임상
(가),탕; 측백잎 15g에 물 300ml로서 150ml가 되도록 달여
매일 3회 오랫동안 복용한다.
(나), 산; 측백잎 세말하여 매일 9g을 3회로 나누어 복용,
위,12지장 궤양출혈환자 50명의 결과,
대변에 잔유혈 평균 3.5일만에 음성으로 호전되는 확실한 지혈효과를 얻었다.
(2),백일해 치료
신선한 측백잎 (1살이하 20g, 1-5살 30-50g, 6-10살 60-100g)을
물 200-400ml로서 90-300ml되게 달여서,
매회15-50ml식 매일 6회, 7-14일 동안 복용한다.
환자
92명중, 백혈구 및 임파세포 정상회복 환자가 80명,
백혈구 및 임파세포 정상근접 환자가 10명,
호전되지 않는 환자가 2명의
결과를 얻었다.
(주의),복약 말기 중독 부작용이 나타났다.
(3),만성기관지염 치료.
신선 측백잎 30g, 두시(香시;검정콩 발효) 15g 을 물로 달여
매일
3회 식후 나누어 10일 동안 복용함을 1개 치료요정으로 한다.
3개 치료요정 복용한 환자 80명중,치유 5명,주효 26명,호전
40명,무효 9명의 결과로
유효율88%, 부작용이 없었다.
(4),폐결핵 치료.
측백(側柏) 침고편(浸膏片) 및
주사약(注射藥)으로
침윤성(浸潤性)폐결핵(肺結核)환자 153명을
매일 일정사용량(생약120g)을 3-5개월 치료한 결과,
유효 119명으로 유효율73,95%를 나타냈다.
(5),급 만성 세균성 이질 치료.
측백잎을 잘 말려서 세말하고 18%
주정(에틸알콜;乙醇)에 4주야 동안 침적하고,
이 약액 50ml을 매일 3회, 7-10일간 복용하는 것을 1개 치료요정이라
한다.
중급성 세균성이질 환자 95명중, 치유 85명,호전 10명으로 유효율89.5%이였고,
만성 세균성이질 환자19명중, 치유
15명,호전 4명, 유효율78.9%의 결과를 얻었다.
(6),대머리치료.
신선한 측백잎(청록색 종자 포함) 25-35g,(
또한 신선한 뽕잎 3장을 쓰기도 함)을
잘게 잘라서, 65-70% 주정(에칠알콜)100ml에 침적시켜
7일 이후에 여액(濾液)을
모발(毛髮)탈락부위에 매일 3-4회 바른다.
독발(禿髮),탈발(脫髮) 환자 160명중,
주효 33명,유효 91명, 유효율
77.5%의 결과를 얻었다.
(7),볼거리(이하선염) 치료.
신선한 측백잎 200-300g을 잘 씻고 비벼서 섬유부는 제거하고
록잎가루 만를 매일7-8회 환처에 붙인다.
이하선 환자 50명중 합병환자 2명을 제외한
48명 환자의 통증이 1-2일 만에
완화되었다.
(8),화상 치료.
신선한 측백잎 300-500g을 잘 씻어 몰탈에 갈아서
75% 에틸알콜 소량을 넣어
겔(Gel)상으로 만들어 화상(火傷)부위에 매일 3회 바른다.
화상 환자 58명(1도 화상6명,2도 화상3명,3도 화상49명)중,
3-7일만에 치유 환자 31명,
7-10만에 치유 환자 27명의 결과를 얻었고,
치료 도중에 명확한 부작용이나 불량반응은
없었다.
(9),시력감퇴 치료.
측백씨(側柏仁),돼지간(猪肝)에 적당량의 돼지기름(猪油)과 끌인후
복용한다.
(10),청맹(靑盲) 치료.
백엽(微炒),夜明砂 각1냥을 세말하고, 소쓸개(牛膽汁)에 썩어 오동자대의 환을
만든다.
매일 밤 20환을 죽엽탕(竹葉湯)이나 미음(米飮)으로 복용
한다.
용량
내복;탕,6-12g/일, 혹
환,산,외용한다.
주의
오랫동안 많이 먹으면 위장이 거북하고 식욕이 감퇴된다.
'나무들 > 유실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열귀나무 재배기술 (0) | 2006.08.27 |
---|---|
마가목 종자발아율 향상방법 (0) | 2006.08.27 |
[스크랩] 모기쫓는 산초나무, 더위와 추위안타는 초피나무 (0) | 2006.08.21 |
[스크랩] 돌배나무 (0) | 2006.08.18 |
[스크랩] 산초나무(초피나무)재배 (0) | 2006.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