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버섯의 분류체계
![]()
|
버섯의 분류계급
분류학적 분류계급 |
|
분류학적 분류체계
분류학적 분류체계('73, Ainsworth & Bisby) |
|
![]()
|
특수한 분류(Specific Taxonomy) |
![]()
|
Morels |
![]() 자실체는 매우 두꺼운 자루와 굉장히 큰 자낭반(子囊盤 apothecium)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바로
갓이다. 이 갓은 다른 버섯류와는 달리 매우 특징적인 것이어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자낭반이 자실체의 갓 표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마치
이랑모양을 이루고 있어 스폰지(sponge)와 유사하다고 하여 Sponge Mushroom 또는 솔방울(pine-cone)을 닮았다고 하여
Morel이라고 불린다. 버섯의 크기는 매우 큰 편이며, 10∼14㎝에 달하는 것도 있고, 현재의 기술로서는 인공배양(人工培養)시 균사생장은
가능하나 자실체의 형성이 불가능한 형편이다.
|
Truffles |
자낭균아부(子囊菌亞部 Ascomycotina), 반균강(盤菌綱 Discomycetes), 괴균목(塊菌目 Tuberales)에 속하는 균의 일반명으로서 보통 송로(松露)라고 부른다. 지하에 자실체를 형성하며 자실층(子實層)이 폐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균 자체가 스스로 포자를 방출(放出)시키지 못하므로, 자낭포자는 자실체가 썩거나 자실체에서 풍기는 냄새 또는 향기를 맡고 유인(誘引)된 동물(動物)에 의해 분산(分散)된다. 자낭은 반균강에 속하는 기타 미생물과는 달리 원형(圓形) 또는 난형(卵形)이며, 자낭포자는 구형(求刑)으로서 돌기(突起)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속하는 대표적인 균은 괴균과(塊菌科 Tuberaceae)에 속하는 괴균버섯(Tuber indicum)이며, 괴경균과 (塊莖菌科 Terfeziaceae)에 속하는 괴경버섯(Terfezia gigantea) 등이 이에 포함된다. 괴균목에 속하는 대부분은 실내에서 배양하여 자실체를 얻는데 실패하였으며, 괴균버섯속에 속하는
송로(松露)에 있어 야생(野生)상태의 원산지(原産地)는 프랑스와 이태리이며,
참나무속(Quercus spp.)의 뿌리에 균근(菌根 mycorrhiza)으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참나무의 적절한 종을 이용한
재배는 어느정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송로에 대한 인공재배는 반야생(半野生)상태에서 주로 이루어 지고 있는데, 접종 후 약 7년만에
자실체가 발달하며, 자실체가 지하에 있으므로 잘 훈련된 돼지나 개, Truffle Flies 등을 이용해서 채취한다.
|
False
Truffles |
담자균아부(擔子菌亞部 Basidiomycotina), 진정담자균강(眞正擔子菌綱 Eu- basidiomycetes), 복균아강(腹菌亞綱 Gasteromycetidae), 알버섯目(Hymeno- gastrales)에 속하는 균으로서, 일반적으로 복균아강에 속하는 버섯은 자실층이 성숙하더라도 둘러싸여 있어서 공기 중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포자가 저절로 분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모균아강(帽菌亞綱 Hymenomycetes)과 구별된다. 또한 자실체도 잘 발달된 외피막(外皮膜 peridium)에 의해 둘러 싸여 있는 것이 분류학적으로 중요한 특징이다. 그 중에서 토양 내에서 자실체가 발달하여 자실체가 성숙하더라도 외피막이 열개(裂開)되지 않는 종이
대부분인데, 이것을 알버섯목으로 분류한다. 이 목에 속하는 균들은 지하에 자실체를 형성한다는 것으로 볼 때 송로(松露 Truffles)와
유사하나, 균학적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False Truffles라는 일반명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에 속하는 것들은 균근(菌根
mycorrhizae)을 형성하는 종이 많고, 주로 작은 들짐승들이 자실체를 먹고 포자를
전반(傳般)시킨다. |
Puff-balls, Earth-stars |
![]() Basidiomycotina), 진정담자균강(眞正擔子菌綱 Eubasidio- mycetes), 복균아강(腹菌亞綱 Gasteromycetidae), 말불버섯目(Lycoperdales)에 속하는 균이다. 자실체가 성숙하면 외피막(外皮膜 peridium)이 열개(裂開)되고 균사는 지하부에서 발달하지만 지상부에 구형(求刑) 또는 준구형(準求刑)의 자실체가 발달하는 버섯을 말한다.
|
분류, 이용, 약제
버섯의 분류를 위해서는 육안적(肉眼的) 관찰도 일부 가능하나, 거의 대분분이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에 의존해야만 가능하다. 현미경적 관찰에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슬라이드배양법, 현적배양법, 샤레배양법 등이 있는데, 이의 조작과정이나 뚜렷한
관찰을 위해 고정액(固定液)이나 특수시약(特殊試藥)들을 활용하게 된다. 현미경관찰에 있어 조작시 파라프레아트상의 검경시료(檢鏡試料)와
커버글라스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본적인 고정액은 물이다. 그러나 물은 관찰도중 금방 말라버리기 일쑤이고 색상의 변화를 주지 못해 특별한
구조가 잘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고정액과 시약이 고안되어 있으며, 오늘날까지 실험실에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
|
![]()
1) 형태적으로는 소극적이지만 활동상에는 복잡한 유기물의 흡수가 가능하고, 간단한
유기물로 분해하 2) 단순한 소비자는 아니고 생산자의 산물을 포식하여 잘게 부수어 분을 배출하여
환 원자에게 주는 중간 3) 신생세포가 쌓여 조직이 발달하는 것과는 달리 수정란이 분할되어 많은 세포가
구 상(球狀)으로 배열 4) 담자균류와 자낭균류의 자실체는 동식물류의 생식기관과는 의미가 다르며, 핵융합
과 감수분열을 계 5) 준복상환상(2n)체가 발달하여 형성된 단상(n)체는 간단하나, 단중상환은
복상과는 달리 중상체(n+n)
|
'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뽕나무 하늘소 사육 (0) | 2006.08.27 |
---|---|
[스크랩] 균사의 특징과 분화 (0) | 2006.08.27 |
표고버섯 재배 (0) | 2006.08.19 |
병아리 키우기 (0) | 2006.08.18 |
[스크랩] 유기농의 기본 - 흙 살리기 (0) | 2006.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