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

[스크랩] 균의 분류학

지리산자연인 2006. 8. 27. 16:43

 

 

 

 

 

 

 

버섯의 분류체계

 

분류학상 크게 생물(生物 animate)과 무생물(無生物 inanimate)로 나누어 지고, 생물은 식물(植物 plant)과 동물(動物 animal)로 대별된다. 18세기경 스웨덴의 Linne는 식물계(植物界)를 24강(綱)으로 나누어, 현화식물 (現化植物)과 은화식물(隱化植物)로 크게 대별하여, 양치류(羊齒類), 지의류(地衣類), 조류(藻類), 균류(菌類)를 은화식물에 포함하고, 그 중에서 조류와 균류는 근(根)·경(莖)·엽(葉)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하등식물(下等植物) 인 엽상식물(葉狀植物)로 분류하였다. 이것이 "균류는 곰팡이와 유사한 조류(alge)에서 엽록소가 퇴화하여 생겨 났다"는 조류기원설(藻類起源說)이다

19세기에 이르러 은화식물을 양치식물, 지의식물, 엽상식물(조류와 균류)로 나누었고, 균류를 분열균류와 진균류 (조균류, 깜부기균류, 녹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그리고 지의류를 포함하는 분류체계가 나왔다.

20세기초에 엽상식물문(葉狀植物門)에 분열균류, 점균류, 조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불완전균류를 포함하는 분류체계가 제안되었다.

1924년 Engler 등은 식물을 17문(門)으로 대별하고, 제1문은 세균식물문, 제4문은 점액식물문, 제12문은 균류 (고생균류, 조균류, 자안균류, 담자균류) 및 불완전균류, 제13문에 지의류를 포함시켰다.

1964년 Gёumann은 진균을 고생균, 조균, 자낭균, 담자균, 불완전균으로 분류하였으며, 1973년 Ainsworth & Bisby은 이를 보완하여 진균을 유주자균(遊走子菌), 접합균(接合菌), 자낭균(子囊菌), 담자균(擔子菌), 불완전균 (不完全菌)으로 분류하여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978년 寺川의 생물삼원론(生物三元論)에 의해 식물계(植物界), 동물계(動物界) 그리고 균계(菌界)로 나누게 되어 버섯은 균계에 속하게 되었다. 균계는 원핵균류(마이코플라스마, 세균, 방선균 등)와 진핵균류(眞菌)로 나누어 지는데, 버섯은 진핵균류 중 담자균과 자낭균에 속하는 사물기생균(死物寄生菌), 활물기생균(活物寄生菌) 또는 활물공생균(活物共生菌)이다. 寺川의 분류에 의하면 균계는 크게 원핵균류와 진핵균류로 대별된다. 원핵균류는 세포의 길이와 체적이 극히 작고 막에 싸여 있는 핵이나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지 않는 것이고, 진핵균류에는 여러가지 세포내 미세구조를 가지고 있다.

진균에 있어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어떠한 분류체계도 확정, 공인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여기서는 1973년 Ainsworth & Bisby가 제안한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버섯의 분류계급

 

분류학적 분류계급

Kingdom(界)

 

 

 

 

 

 

 

 

 

 

 

Division(部 = 門 Phylum)

Subdivision(亞部 = 亞門 Subphylum)

 

     

 

 

Class(綱)

Subclass(亞綱)

 

 

 

 

 

 

 

 

Order(目)

Suborder(亞目)

 

 

 

 

 

 

 

 

Family(科)

Subfamily(亞科)

 

 

 

 

 

 

 

 

Genus(屬)

Subgenus(亞屬)

 

 

 

 

 

 

 

 

Species(種)

Subspecies(亞種)

 

 

 

 

 

 

 

 

 

 

Valiety(變種)

  생물의 특성은 유전자(遺傳子)의 구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특성이 형태적 또는 생리적 성질로 표면에 나타나는데 이것을 표현형이라 한다. 표현형에 의해 유연관계를 판단하고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체가 다른 개체와 명확히 구별될 때 이 개체를 종(種)이라고 한다. 다음에 유사한 종의 집단이 타종의 집단과 구별되는 종의 집단을 속(屬)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속의 집단이 과(科)가 되고, 순차로 목(目), 강(綱), 부(部), 계(界)가 된다. 더욱 세분하기 위해 중간단계로 아목(亞目), 아강(亞綱), 아부(亞部) 등을 쓰는 경우도 있다.

  종은 분류의 기본단위 이므로 속명(屬名)과 함께 종명(種名)을 학명(學名)으로 사용한다. 학명은 특정 종의 특징이나 소속을 표시하기 위해 이명법(二名法)에 의해 명명되고, 라틴어로 표기하되 반드시 속명의 첫자는 대문자로 쓰고, 일반적인 표기시 이태릭체 또는 밑줄을 그어 다른 단어와 구별되게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예) 새송이버섯 : 일반명(영명) King oyester mushroom
  일본명 エリンギ(에린기)
  학 명 Pleurotus eryngii 또는 Pleurotus eryngii로 표기

 

 

분류학적 분류체계

 

분류학적 분류체계('73, Ainsworth & Bisby)

    균계(菌界 Fungi)

 

   점균부(粘菌部 Myxomycota) : 균사가 없고, 아메바상(狀)이며, 다핵 (多核)의 나원형질체(裸原形質
     體), 조류(藻類)

   진균부(眞菌部 Eumycota) : 거의 모든 균체(菌體)에 세포벽(細胞壁) 이 있고, 협의의 진균(眞菌)

유주자균아부(遊走子菌亞部 Mastigomycotina)1)
접합균아부(接合菌亞部 Zygomycotina)2)
자낭균아부(子囊菌亞部 Ascomycotina)3)
담자균아부(擔子菌亞部 Basidiomycotina)4)
불완전균아부(不完全菌亞部 Deuteromycotina)5)
 
1) 운동성 포자(胞子 spore)인 유주자(遊走子 zoospore)의 편모(鞭毛 flagella)형태에 따라 분류한다.

2) 세포벽(細胞壁 cell wall)은 키틴(chitin)으로 되어 있고, 운동성인 유주자(zoospore)가 없다. 같은
   모양과 크기의 배우자낭(配偶者囊 gametangium)이 합쳐져 접합포자(接合胞子 zygospore)를 형성
   하며, 균사(菌絲 hyphae)에 격막(隔膜 septum)이 없다.
 
3) 유성포자(有性胞子)는 자낭(子囊 ascus) 안에 있는 8개의 자낭포자(子囊胞子 ascospore)이며,
   균사(hyphae)에는 격막(septum)이 있고 잘 발달되어 있다.

4) 균사(hyphae)에는 매우 발달된 격막(septum)이 있고, 핵융합(核融合)과 감수분열(減數分裂) 후
   에 단세포(單細胞)의 반수체(半數體)인 2∼4개의 담자포자(擔子胞子 basidiospore)가 담자기(擔子
   器 basidium) 위에 외생(外生)한다. 이 담자기를 형성하는 담자과(擔子果 basidiocarp)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5) 균사(hyphae)에 격막(septum)이 있고, 유성세대(有性世代)가 알려져 있지 않다. 완전세대(完全世
   代)가 밝혀지면 대부분 자낭균류에 속하고 일부는 담자균류에 속한다. 분생포자(分生胞子 conidia)
   의 형태, 색깔, 격막, 자실체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다.  
 

 

    균계의 분류('77, 寺川)

균 아 계

균 문

원 핵 균 류

(Protokaryo-mycota)

1. 마이코플라스마류(Mycoplasmomycota)

2. 세균류(Bacteriomycota) 3강

- 리케차류, 진정세균류, 슈도모나스류

3. 점핵세균류(Myxobacteriomycota)

4. 스피로헤다류(Spirochaeomycota)

5. 방선균류(Actinomycota)
 

진 핵 균 류

(Eukaryo- mycota)

6. 변형균류(Myxomycota) 4강
- 수생변형균류, 곰팡이류, 뿔먼지곰팡이류, 변형균류

7. 세포점균류(Acrasiomycota)

8. 라비린츠라류(Labyrinthulomycota)

9. 난균류(Oomycota)

10. 역모균류(Hyphochytridiomycota)

11. 호상균류(Chyhochytridiomycota)

12. 접합균류(Zycomycota) 2강

- 트리코미게스류, 접합균류

13. 자낭균류(Ascomycota) 3강

- 원생자낭균류, 소방자낭균류, 진정자낭균류(지의자낭균 류 포함)
- 불완전균류 3강 포함

14. 담자균류(Basidiomycota) 3강

- 원생담자균류, 이형담자균류, 진정담자균류

 

 

특수한 분류(Specific Taxonomy)


 
자실층(子實層)에 의한 분류(Taxonomy by hymenium)
 
⒧ Hymenomycetes(모균강 帽菌綱) : 자실층이 성숙되면서 공기 중에 노출되어 포자를 비산(飛散)시키
   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식용버섯이 여기에 속한다.

⑵ Hypogaeous discomycetes(반균강 盤菌綱) : 자실층이 성숙되어도 토양속에서 밖으로 노출되지
   않고 향기를 발하여 초식동물(草食動物)을 유인하여 이들의 접촉에 의해 포자를 전반(傳般)시키는 것

⑶ Gasteromycetes(복균강 腹菌綱)

① Hymenogasterales(알버섯目) : 자실층이 폐쇄되어 있어 자실체가 성숙되어도 스스로 열개
   (裂開)되지 않음.

② Lycoperdales(말불버섯目) : 지상에서 형성된 자실체가 성숙하여 스스로 열개됨.
 

  담자기과의 형성유무에 따른 분류(Taxonomy by basidiocarp)
 

⒧ Teliomycetes (반담자균강 半擔子菌綱) : 담자기과(擔子器果)를 형성 안 함.

⑵ Hymenomycetes (균담균강 菌覃菌綱) : 잘 발달된 담자기과를 형성함.

⑶ Gasteromycetes (복균강 腹菌綱) : 담자기과를 형성하나, 포자를 사출(射出) 안 함.

 

Cordyceps
 


자낭균아부(子囊菌亞部 Ascomycotina), 핵균강 또는 각균강(核菌綱, 殼菌綱 Pyrenomycetes), 맥핵균목 또는 맥각균목(麥核菌目, 麥殼菌目 Clavicipitales), 동충하초과(冬蟲夏草科 Clavicipitaceae)에 속하는 버섯으로서, 이들 균이 곤충(昆蟲)의 체내에 침입하여 곤충을 죽게한 다음 기주(寄主 host)로부터 자좌(子座 ascostroma)를 형성하는 버섯을 말하는데, 불로장생의 묘약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균이 곤충을 침입하여 기주인 곤충을 죽게 할지라도 자좌를 형성하지 않고 기주의 표면에 무성생식기관인 분생포자(分生胞子 conidia)를 형성하는 종류도 있다. 자좌를 형성하는 대부분의 동충하초는 공통적으로 자좌가 머리(fertile; 동충하초의 자실체 중 자낭각이 분포하는 상단부분)와 대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표면에는 알맹이 모양의 자낭각(子囊殼)을 형성하고, 자낭각 내에는 주머니 모양의 자낭(子囊 ascus)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자낭 안에 실 모양의 자낭포자(子囊胞子 ascospore)를 형성한다. 이 자낭포자가 성숙되면 선단(先端)의 구멍이 열려 공중으로 포자를 비산(飛散)시킴으로서 기주곤충(寄主昆蟲)의 몸에 접착(接着)하게 된다.

긴자루를 가진 곤봉 모양의 자좌, 즉 자실체의 표면 가까이 있는 자낭각을 층(層)으로 형성하여, 공구(孔口 ostiole)가 자실체의 전체 표면에 걸쳐 촘촘하게 뽀쪽이 나와 있다. 자낭포자는 자낭 안에서 실 모양으로 자라다가 성숙되면 잘게 짤려, 이 공구를 통하여 비산되고 곤충에 착생하여 기생(寄生)한다.

또한 이 균은 맥각 및 고등식물의 과일 등에 기생하거나 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뿌리에 기생하는 토균자과(土菌子科 Elaphomyceteceae)의 지하 자낭과(子囊果)를 침입하여 공생(共生)관계를 이루는 아주 특이한 균이다.

에로부터 한방에서 약용(藥用)으로 이용되어 온 대표적인 동충하초는 박쥐나방의 유충(幼蟲)을 기주로 하여 발생된 Cordyceps sinensis라는 학명을 가진 동충하초로서, 기주곤충의 머리에서 1개의 자좌를 형성한다. 이 좌자(자실체)는 곤봉형의 머리와 그것을 받쳐주는 원기둥 모양의 자루를 형성하는데, 길이는 40㎜, 머리의 길이는 15㎜이며, 자낭각은 머리부분에 빽빽하게 형성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인공재배법이 개발된 동충하초는 눈꽃동충하초(雪花冬蟲夏草 Paecilomyces japonica)로서, 누에에 접종하여 번데기에 자좌를 형성시킨 것이며,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곤충을 침입하는 진균은 약 800여종이 있고, 이 중 버섯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균은 대부분 자낭균류에 속하는 동충하초로서, 약 300여종이 보고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76종이 야생채집되어 분리 동정(分離 同定)되어 있다.

 

Morels
 

 
자낭균아부(子囊菌亞部 Ascomycotina), 반균강(盤菌綱 Discomycetes), 찻잔버섯목(Pezizales)에 속하는 균의 일반명(一般名)으로서, 생활사(生活史)에 대해서는 연구된 것이 별로 없으나, 자낭포자가 분산(分散)되어 발아(發芽)해서 자실체를 형성한다.

자실체는 매우 두꺼운 자루와 굉장히 큰 자낭반(子囊盤 apothecium)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바로 갓이다. 이 갓은 다른 버섯류와는 달리 매우 특징적인 것이어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자낭반이 자실체의 갓 표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마치 이랑모양을 이루고 있어 스폰지(sponge)와 유사하다고 하여 Sponge Mushroom 또는 솔방울(pine-cone)을 닮았다고 하여 Morel이라고 불린다. 버섯의 크기는 매우 큰 편이며, 10∼14㎝에 달하는 것도 있고, 현재의 기술로서는 인공배양(人工培養)시 균사생장은 가능하나 자실체의 형성이 불가능한 형편이다.
Morel은 True morel과 False morel로 나눌 수 있다.
 

  True morel
 

곰보버섯과(Morchellaceae)에 속하는 곰보버섯(Morchella esculenta)이 여기에 해당되는데, 갓이 대에 직접적으로 붙어 있으며, 갓의 표면이 규칙적으로 이랑형을 이루면서 움푹 들어간 것이 특징이다.
이에 속하는 것은 봄에 약 3∼4주간에 걸쳐 자실체를 형성하고, 식용(食用)이 가능하다.
 

  False morel
 

주로 안장버섯과(Helvellaceae)에 속하는 안장버섯류와 해파리버섯류가 여기에 포함되는데, 갓이 대의 선단(先端)에 달려 있어서 치마모양(skirt-like fashion)을 하고 있기도 하고, 말의 안장처럼 갓의 최상부 가운데가 움푹 들어간 모양 등 여러가지 형태를 매우 특이적으로 나타낸다. 대체로 갓의 표면이 규칙적이고 뚜렷한 이랑을 형성하지 않는 파상적(波狀的)인 형태로서 불규칙한 파도모양을 형상하기도 한다. 봄, 여름, 가을에 걸쳐 자실체를 형성하고 True morel보다는 자실체의 육질(肉質)이 얇고 부서지기 쉬운 특성을 갖고 있다. 독성(毒性)이 있는 종류들이 많고 식용가능한 것도 다수 있다. 안장버섯, 긴대안장버섯, 주름안장버섯 등은 식용가능하며, 긴대주발버섯과 파상땅해파리버섯은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ruffles


자낭균아부(子囊菌亞部 Ascomycotina), 반균강(盤菌綱 Discomycetes), 괴균목(塊菌目 Tuberales)에 속하는 균의 일반명으로서 보통 송로(松露)라고 부른다. 지하에 자실체를 형성하며 자실층(子實層)이 폐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균 자체가 스스로 포자를 방출(放出)시키지 못하므로, 자낭포자는 자실체가 썩거나 자실체에서 풍기는 냄새 또는 향기를 맡고 유인(誘引)된 동물(動物)에 의해 분산(分散)된다. 자낭은 반균강에 속하는 기타 미생물과는 달리 원형(圓形) 또는 난형(卵形)이며, 자낭포자는 구형(求刑)으로서 돌기(突起)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속하는 대표적인 균은 괴균과(塊菌科 Tuberaceae)에 속하는 괴균버섯(Tuber indicum)이며, 괴경균과 (塊莖菌科 Terfeziaceae)에 속하는 괴경버섯(Terfezia gigantea) 등이 이에 포함된다.

괴균목에 속하는 대부분은 실내에서 배양하여 자실체를 얻는데 실패하였으며, 괴균버섯속에 속하는
Tuber melanosporum
의 경우 균사가 발달하여 자낭과 자낭포자는 형성되었으나 자실체가 형성되지 않았다는 보고도 있다. 이처럼 이들 균의 생활사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 실정에 있다.

송로(松露)에 있어 야생(野生)상태의 원산지(原産地)는 프랑스와 이태리이며, 참나무속(Quercus spp.)의 뿌리에 균근(菌根 mycorrhiza)으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참나무의 적절한 종을 이용한 재배는 어느정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송로에 대한 인공재배는 반야생(半野生)상태에서 주로 이루어 지고 있는데, 접종 후 약 7년만에 자실체가 발달하며, 자실체가 지하에 있으므로 잘 훈련된 돼지나 개, Truffle Flies 등을 이용해서 채취한다.
 

 

 

 

False Truffles
 


담자균아부(擔子菌亞部 Basidiomycotina), 진정담자균강(眞正擔子菌綱 Eu- basidiomycetes), 복균아강(腹菌亞綱 Gasteromycetidae), 알버섯目(Hymeno- gastrales)에 속하는 균으로서, 일반적으로 복균아강에 속하는 버섯은 자실층이 성숙하더라도 둘러싸여 있어서 공기 중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포자가 저절로 분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모균아강(帽菌亞綱 Hymenomycetes)과 구별된다. 또한 자실체도 잘 발달된 외피막(外皮膜 peridium)에 의해 둘러 싸여 있는 것이 분류학적으로 중요한 특징이다.

그 중에서 토양 내에서 자실체가 발달하여 자실체가 성숙하더라도 외피막이 열개(裂開)되지 않는 종이 대부분인데, 이것을 알버섯목으로 분류한다. 이 목에 속하는 균들은 지하에 자실체를 형성한다는 것으로 볼 때 송로(松露 Truffles)와 유사하나, 균학적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False Truffles라는 일반명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에 속하는 것들은 균근(菌根 mycorrhizae)을 형성하는 종이 많고, 주로 작은 들짐승들이 자실체를 먹고 포자를 전반(傳般)시킨다.

 

 

 

Puff-balls, Earth-stars

 
알버섯목에 속하는 False Truffles와 균학적으로는 유사한 것으로서, 담자균아부(擔子菌亞部
Basidiomycotina), 진정담자균강(眞正擔子菌綱 Eubasidio- mycetes), 복균아강(腹菌亞綱
Gasteromycetidae), 말불버섯目(Lycoperdales)에 속하는 균이다.
자실체가 성숙하면 외피막(外皮膜 peridium)이 열개(裂開)되고 균사는 지하부에서 발달하지만 지상부에 구형(求刑) 또는 준구형(準求刑)의 자실체가 발달하는 버섯을 말한다.
 

  Puff-balls

말불버섯목의 말불버섯科(Lycoperdaceae)에 속하는 것으로서, 말불버섯, 비늘말불버섯, 좀말불버섯, 댕구알말불버섯, 말징버섯 쌀경단버섯등이 이러한 유형의 버섯이다.

자실체는 뚜렷이 구별되는 2층의 외피에 둘러싸여 있는데, 이들 각각을 외피(外皮 exoperidium)과 내외피(內外皮 endoperidium)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외피는 표면이 거칠고 차차 퇴화(退化)하여 없어 지면서 얇은 막질(膜質)의 내외피만 남게 되는데, 이 내외피는 퇴화하거나 부스러지지 않고 원형형태 그대로 유지되며, 중앙부위에 공구(孔口 ostiole)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버섯은 자실체의 표면에 물방울 등이 떨어져 충격을 받게 되면 포자가 공구를 통하여 뿜어져 나온다. 공구를 통하여 포자가 뿜어져 나오는 형상을 묘사(描寫)하여 Puff-ball이라고 부르며, 비늘말불버섯과 쌀경단버섯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식용(食用)이 가능하다.

말징버섯속에 속하는 Calvatia gigantea는 장마가 있은 후 잔디밭과 골프장 등에 발생되는데, 지름이 70∼80㎝에 달하는 매우 크고 둥글디 하얀 자실체를 형성한다고 하여 Giant Puff-ball이라고 부른다.

실내에서 포자를 발아시킬 경우 발아율이 지극히 낮을 뿐만 아니라 발아가 되더라도 2주이상을 요구하므로 인공재배가 불가능하다. 효모(酵母)의 일종인 Rhodotorula에 의해 발아가 촉진된다는 보고가 있으나, 그것도 백만분의 일의 확률이며, 이들 균에 대한 생활사(生活史)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Earth-stars

말불버섯목의 방귀버섯科(Geastraceae)에 속하는 것으로서, 목도리방귀버섯, 테두리방귀버섯 등이 이러한 유형의 버섯에 해당되며, 외피막이 방사상(放射狀)으로 갈라져 습기(濕氣)가 있으면 별(star) 모양으로 열개(裂開)된다. 내외피는 그대로 남고, 중앙에 공구(孔口)가 있어 이 구멍으로 포자가 뿜어져 나오는데, Puff-ball과 포자비산의 기작(機作)은 거의 같다.

생활사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으며, 현재로서는 인공재배가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분류, 이용, 약제

버섯의 분류를 위해서는 육안적(肉眼的) 관찰도 일부 가능하나, 거의 대분분이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에 의존해야만 가능하다. 현미경적 관찰에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슬라이드배양법, 현적배양법, 샤레배양법 등이 있는데, 이의 조작과정이나 뚜렷한 관찰을 위해 고정액(固定液)이나 특수시약(特殊試藥)들을 활용하게 된다. 현미경관찰에 있어 조작시 파라프레아트상의 검경시료(檢鏡試料)와 커버글라스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본적인 고정액은 물이다. 그러나 물은 관찰도중 금방 말라버리기 일쑤이고 색상의 변화를 주지 못해 특별한 구조가 잘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고정액과 시약이 고안되어 있으며, 오늘날까지 실험실에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물 + 습윤제

Kodak Photo-Flow, Edwal Kwik-Wet 및 그 외의 사진용 수적방지액 몇 방울을 증류수가 든 스포이드병에 떨어뜨려 사용한다. 검경시료 주위에 생겨나는 기포(氣泡)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통상적인 현미경 검경작업에 물 대신 사용하여도 좋다.

   KOH-Phloxine 액

KOH를 중량비로 증류수(蒸溜水)에 10%를 용해시키고, Phloxine(분홍색 염료)은 중량비로 증류수에 0.025%를 요해시켜, 각각의 병에 따로 넣어 보존한다. 각 용액을 한 방울씩 슬라이드글라스에 적하하여 혼합한 뒤 검경시료를 올려 놓고, 커버글라스를 덮어 관찰한다. 검경할 균사가 밀생(密生)하여 인위적인 확산(擴散)이 어려운 담자균에서 유용하다. 선홍색으로 염색되므로 관찰이 용이해 진다.

   Lacto-fuchsin 액

젓산(특급) 100㎖에 산성 Fuchsin(분홍색 염료)을 0.1g 혼합한 액으로서, 이것으로 고정한 슬라이드 표본은 수 주일간 건조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표본을 일정기간 보존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하게 쓰인다. 게다가 무색(無色)의 매니큐어로 커버글라스의 주위를 봉해 두면 더욱 장기간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액은 매우 강한 염색작용이 있기 때문에 무성세대(無性世代)의 관찰시 균의 고정 또는 검경 중 확산되기 쉬운 균의 고정에 유리하다.
 

   Melzer's reagent

이 시약은 균학분야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색깔반응이 매우 뚜렷하여 검경시료를 자세히 볼 수 있으며, 세포의 미세구조(微細構造)를 관찰하는데 용이하므로 균류의 분류학적 특징기술(特徵記述)에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현미경사진을 촬영하고자 할 때 선명도와 색도를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담자균에 있어 균사 또는 포자에 주로 염색(染色)하여 사용하는데, 시약의 조제 내역은 다음과 같다. Distilled water(증류수) 20㎖, Chloral hydrate(마취제) 22g, Iodine(옥소, 요오드) 0.5g, Potassium iodine(옥소가리, 요오드칼륨) 1.5g 검경시료는 수초∼수분간 암모니아로 처리한 다음 물로 세척한 후 사용하고, 처리 5분후 다음과 같은 3가지 반응을 나타낸다.

① Amyloid(전분체 澱粉體)반응 : 청색계통(갈청, 자청, 흑청)으로 나타남.

② Pseudoamyloid(위전분체 僞澱粉體) 또는 Dextronoid(당질체 糖質體)반응 : 적색계통(적갈, 자갈)
   으로 나타남.

③ Inamyloid(비전분체 非澱粉體)반응 : 색깔의 변화가 없거나, 투명한 반응, 또는 황색계통(갈색, 오렌
   지색, 담황색)으로 나타남.
 

   청색잉크를 첨가한 Shear 액 2% Potassium acetate 수용액 300㎖, Glycerine 120㎖, 95% Alcohol 180㎖, Blue ink(청색잉크) 0.1∼0.2%(중량비)를 정량조제(定量調製)한 액으로서, 수 주일간 슬라이드를 건조되지 않게 하는 대단히 좋은 만능 고정액이다. 카바글라스를 매니큐어로 봉인(封印)하면 상당기간 보존이 가능해지며, 세포벽과 핵 등이 청색으로 염색된다.

   기타

그 외에 시료를 고정하거나 염색하는데 사용되는 액으로 Lacto-phenol 액과 Formalin acetate 액 등이 있다. Lacto-phenol 액은 독성(毒性)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다른 고정액보다 유용하다고 볼 수 없으며, Formalin acetate 액은 검경시료의 고정에도 사용되나, 자실체의 액침표본용 보존액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생물군에 속하는 3계의 생물적 특성('84, 寺川)
 

구 분

식 물 계

동 물 계

균 계

영 양 법

엽록소를 가진 산소발생형 광합성으로 무기물을 동화 엽록소가 없고 동적(적극적)으로 유기물을 포식소화 엽록소 없이 정적( 소극적)으로 유기물을 흡수1)

생태계의

위 치

유기물 생산자 유기물 소비자2) 유기물 환원자

 

 

 

세포구조

원핵세포 또는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를 가진 진핵세포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진핵세포 원핵세포 또는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진핵세포

진화방향

광의 이용을 유효하게 하는 방향 포식소화를 유효하게 하는 방향 흡수를 유효하게 하는 방향

발 달 한

체 제

경엽체 체제 장체공 체제 균사체 체제

발달형식

3차원의 쌓는 조직체제 3차원의 끼워 넣는 조직체제3) 1차원의 쌓는 조직체제

생활체제

정착생활하는 체제 움직여 생활하는 체제 기주에 부착되어 생활하는 체제

성의 분화

성인자에 의한 자웅 성인자에 의한 자웅 불화합인자에 의한 교배계

생식기관

자웅의 유성생식기관 자웅의 유성생식기관 자실체4)

접합요소

알과 정자 또는 정핵 난과 정자 단상체 세포

접합자의발 생

휴면배 경유의 2단식 직접발생으로 복상체 형성 직접발생으로 복상체 형성 진정포자 경유의 2단식 간접발생으로 단상체 형성

대표적

생활환

준복상환 복상환 단중상환5)

1) 형태적으로는 소극적이지만 활동상에는 복잡한 유기물의 흡수가 가능하고, 간단한 유기물로 분해하
   는 적극성이 있다.

2) 단순한 소비자는 아니고 생산자의 산물을 포식하여 잘게 부수어 분을 배출하여 환 원자에게 주는 중간
   단계를 구성한다. 환원자는 완전분해하여 무기물을 생산자에게 인도한다.

3) 신생세포가 쌓여 조직이 발달하는 것과는 달리 수정란이 분할되어 많은 세포가 구 상(球狀)으로 배열
   하고 그 일부가 안으로 들어가 체내조직의 뿌리로 된다.

4) 담자균류와 자낭균류의 자실체는 동식물류의 생식기관과는 의미가 다르며, 핵융합 과 감수분열을 계
   속적으로 행하여 다수의 진정포자를 형성한다.

5) 준복상환상(2n)체가 발달하여 형성된 단상(n)체는 간단하나, 단중상환은 복상과는 달리 중상체(n+n)
   및 단상체가 동시에 발달한다.

 

 

 

 

 

담자균 버섯의 분류(Taxonomy of Basidio-Mushrooms)


분류체계
 
 목이류 E.A. Bessey ('50)
 민주름버섯류 M.A. Donk ('71)
 주름버섯류 R. Singer ('86)
 복균류 W.C. Coker and J.N. Couch ('28)

종 류 : 379 종 (식용 155, 약용 29, 식용불명 98, 독버섯 43, 기타 54)

  담자균아부(擔子菌亞部 BASIDIOMYCOTINA)

이형담자균강(異型擔子菌綱 Heterobasidiomycetes) : 담자기에 격막이 있다.
 

흰목이目
(Tremellales)

흰목이科(Tremellaceae)
흰목이(Tremella fuciformis) ○
꽃흰목이(T. foliacea) ○

 목이目
(Auriculariales)

목이科(Auriculariaceae)
목이(Auricularia auricula) ○
털목이(A. polytricha) ○

좀목이科(Exidiaceae)
혓바늘목이(Pseudohydnum gelatinosum) ○
장미주걱목이(Phlogiotis helvelloides) △
좀목이(Exidia glandulosa) ○

 붉은목이目
(Dacrymycetales)

붉은목이科(Dacrymycetaceae)
붉은목이(Dacrymyces palmatus) △
싸리아교뿔버섯(Calocera viscosa) △
아교뿔버섯(C. cornea) △
아교뿔버섯(C. cornea) △
혀버섯(Guepinia spathularia) △ 
 

○ 식용버섯 ◎ 약용버섯  △ 식용불명버섯  ● 독버섯  × 식용가치가 없는 버섯

 

 

 

출처 : 학성산의 행복찾기
글쓴이 : 학성산 원글보기
메모 :

'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뽕나무 하늘소 사육  (0) 2006.08.27
[스크랩] 균사의 특징과 분화  (0) 2006.08.27
표고버섯 재배  (0) 2006.08.19
병아리 키우기  (0) 2006.08.18
[스크랩] 유기농의 기본 - 흙 살리기  (0) 2006.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