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뽕나무하늘소 | ||||
![]() |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잠사곤충부 | ||||
![]() |
성명 : 윤형주 | ||||
![]() |
전화 : 031-290-8541 | ||||
1. 뽕나무하늘소의 생물학적
특징 뽕나무하늘소(Apriona germari Hope)는 뽕나무와 무화과 등 과수의 나무가지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등 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뽕나무하늘소는 2~3년에 1회 발생하며, 기주식물의 줄기속에 서식하면서 가해하고, 긴 생활사로 인하여 그들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조사하기가 어렵다. 한편, 최근 들어 무한한 잠재력이 있는 곤충자원 확보의 일환으로 많은 곤충에서 기주식물을 이용한 인공사육 및 누대사육을 위해 인공사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곤충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에 따른 곤충 유전자원 탐색 및 기능 이용기술 개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곤충 다양성 보존면에서 뽕나무하늘소는 멸종 위기 내지 취약종 수준으로 분류되고 있다. | |||||
2. 사육용기 및 먹이 | |||||
가. 사육용기 사육용기는 1~3령기에는 직경 55×12㎜, 4~5령까지는 직경 60×15㎜, 6령 이후에는 직경 87×20㎜의 투명 플라스틱 페트리 디쉬에서 용화할 때까지 개체 사육하며, 습도유지를 위해 멸균수로 적신 티슈페퍼를 넣어 준다. 번데기는 화용 직후 유리페트리디쉬(130×20㎜)에 물휴지를 넣어 우화시까지 25℃, 장일 조건 하에 둔다. 우화된 성충은 우화 후 3~4일이 지나 성충형태가 경화되고 활동이 활발하면 유리페트리디쉬(185×50㎜)에 넣고 뽕가지를 갉아먹기 시작해서 2일정도 지난 다음 암수 1쌍식 유리수조(240×180㎜)에 넣는다. | |||||
나. 먹이 | |||||
(1) 기주먹이 뽕나무하늘소의 기주는 뽕나무와 무화과 나무로서 뽕나무하늘소의 경우 알부터 유충, 번데기 단계까지는 나뭇가지 속에서 서식을 하기 때문에 뽕나무 가지를 기주먹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주먹이로 사육을 할 때는 40~50㎝길이의 뽕나무 가지에 구멍을 낸 다음 부화유충을 넣고 파라필름으로 봉하고 사육을 하며 필요할 때마다 가지를 교체해 준다. | |||||
(2) 인공사료 인공사료로 실내사육을 하면 뽕나무하늘소의 발육과정 등 생활사를 쉽게 조사, 관찰할 수가 있고 사육이 간편하여 대량사육이 가능하다. 또한 2~3년에 1세대인 것을 1년에 1세대로 세대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뽕나무하늘소의 인공사료는 설(1994)이 울도하늘소의 실내계대사육을 위해 개발한 사료조성을 인용하였다. 인공사료의 조성과 조제방법은 애누에용 인공사료 분말 100g, 뽕나무 가지분말 100g, sorbic acid 1.0g, chloramphenicol 10㎎, p-hydroxymethyl benzoate 1.5g, formalin (37% 원액) 5.0㎖, propylene glycol 5.0㎖를 증류수 600㎖에 잘 섞어 100℃에서 45 분간 찐 후, 이를 4℃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사용한다. | |||||
3. 사육방법 | |||||
가. 사육조건 실내에서 계대 사육한 알 또는 야외에서 채집한 뽕나무하늘소의 알과 부화유충을 온도 25℃, 습도 60~70% RH 및 14L : 10D 광조건에서 사육한다. | |||||
나. 인공 사육방법 | |||||
(1) 알 뽕나무하늘소 성충이 산란한 알을 직경 55×12㎜의 투명 페트리 디쉬에 물휴지를 넣고 25℃에 두면 12~25일 사이에 부화를 하는데 평균 부화일수는 18일 정도이다. 알의 크기는 단경 2.3㎜, 장경 6.6㎜, 무게 17㎎로 위에 부분이 아래 부분보다 넓은 긴 타원형이므로 색깔은 초기에는 유백색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짙은 갈색으로 변하고 난각은 얇고 불투명하다. | |||||
| |||||
(2) 유충 부화 유충을 직경 55×12㎜의 투명 플라스틱 페트리 디쉬에 넣고 먹이는 인공사료를 절편모양의 적당한 크기로 잘라 3일 간격으로 교체해 주며 3령까지 이 용기에서 키운다. 습도유지를 위해 멸균수로 적신 티슈페이퍼를 넣어 준다. 하늘소 유충의 집단사육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용화할 때까지 개체 사육을 행한다. 4~5령까지는 직경 60×15㎜, 6령 이후에는 직경 87×20㎜의 투명 플라스틱 페트리디쉬로 옮겨서 사육한다. 부화유충의 크기는 체장 0.64㎝, 체중 17㎎정도이다. 각 영이 진전될수록 두폭, 체중, 체장 등이 증가하며, 1령에 비해 8령의 체중은 약 180배의 증가를 보이고 12령의 경우에는 약 355배의 증가를 나타낸다. 또한 1령에서 9령까지의 경과일수는 190일, 12령까지의 경과일수는 305일 정도이다. 뽕나무하늘소의 경우 노숙 유충시기에 저온처리를 하여 휴면을 타파시켜야한다. 따라서 각 개체별로 섭식이 중지되는 영에 5℃에서 60일간 암상태로 저온처리를 한다. 뽕나무하늘소 유충의 용화는 7령~11령 사이에 되며 대부분 8령과 9령 사이에 번데기가 된다. | |||||
(3) 번데기 번데기는 화용 직후 복부 제 5마디에 위치하고 있는 생식기로서 암 수를 구분한 다음, 유리샤레(130×20㎜)에 물휴지를 넣어 우화시까지 25℃로, 장일 조건 하에 둔다. 암 번데기의 평균 흉폭은 1.68㎝, 체장 4.41㎝, 체중 3.63g, 수 번데기의 경우는 흉폭 1.47㎝, 체장 3.91㎝, 체중 2.25g로 암 번데기가 수 번데기보다 크고 번데기 기간도 약 19일로서 1일이 더 길다. | |||||
| |||||
(4) 성충 우화된 성충은 우화후 3~4일이 지나 성충형태가 경화되고 활동이 활발하면 유리샤레(185×50㎜)에 신선한 뽕가지를 15㎝길이로 잘라 넣어 뽕가지를 갉아 먹기 시작해서 2일정도 지난 다음 암수 1쌍식 유리수조(240×180㎜)에 넣어서 교미시킨다. 성충 평균 생존일수는 암컷이 41일, 수컷은 44일이다. 암컷 1마리당 평균산란수는 48개로서 주로 오후에 산란을 하며 하루에 1~2개씩을 산란하고 성충이 우화하여 산란을 하기까지는 약 14일이 걸린다. | |||||
다. 휴면각성 뽕나무하늘소는 2~3년이 1세대이기 때문에 1년에 1세대로 연중 사육을 하기위해서는 휴면을 타파시켜야한다. 하늘소류의 휴면을 각성하고 용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저온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노숙 유충상태에서 5℃에 60일간 암상태로 저온처리를 한 후 1일정도 중간온도 (18℃)를 둔 후 25℃로 옮겨서 용화시킨다. | |||||
참 고 문 헌
島根孝典 외. 1991. 人工飼料によるキボシカミきリの大量累 代飼育法. 蠶絲昆蟲硏報 2 : 65-112. | |||||
'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EM미생물 효소 생활화 하기 (0) | 2006.08.28 |
---|---|
꽃무지류 사육 (0) | 2006.08.27 |
[스크랩] 균사의 특징과 분화 (0) | 2006.08.27 |
[스크랩] 균의 분류학 (0) | 2006.08.27 |
표고버섯 재배 (0) | 2006.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