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스크랩] 한약의 종류 - 해표약

지리산자연인 2006. 10. 27. 13:51

- 해표약 -

 

외사를 발산 시키며 표증을 제거하는 약물을 해표약이라

한다. 외사는 보통 피부로부터 침입하는데 침입

초기에는 오한, 바열, 두통 등의 표증이 나타난다,

이때에 해표약을 써야 하며 해표약에는 발산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발한, 해기의 작용을 한다.

한약재

성미

효능

적용증

금기

계지

맵고 달고 온하다

땀을 내고 경락을 온하게 하여 잘 통하게 한다

풍한에 상한표증

지절통,수음

임산부

마황

맵고 쓰고 온하다

땀을 내고 숨차는 것을 편하게 하고 소변을 순하게 한다

상한에 표가 실하고 땀이 없는 것

해수, 천식

부종

허약한 환자

방풍

맵고 달고 온하다

해표, 거풍, 제습한다

감기, 두통

풍습으로 저리고 아픈 것

 

백지

맵고 온하다

감기를 풀고 여러 가지 독을 치고 고름을 없앤다

두통, 콧병

치질, 유종

어혈, 혈붕

 

생강

맵고 온하다

기운을 순하게 해서 속을 시원하게 하고 발한도 시킨다

외감으로 인한 구역, 해수, 담, 숨차는 증

곽란, 구토

반하와 남성의 해독제

 

세신

맵고 온하다

풍한을 발산한다

상한 두통

담음, 숨찬증

풍습으로 저리고 아픈증

비연, 치통

 

소엽

맵고 온하다

감기를 치료하고 기운을 순하게 하고 태를 편하게 한다

풍한 표증

구토, 가슴이 답답한 것

태기 불안

 

총백

맵고 온하다

풍한을 발산시키며 해독작용

상한 감모

태동, 해독제

 

형개

맵고 쓰고 온하다

땀을 내고 풍을 다스린다

풍한 표증

홍역, 눈병

 

갈근

약간 달고 매우면서 평하다

땀을 내고 열을 내리고 갈증을 멈춘다

열병, 표증, 구갈

설사, 이질

 

감국

달고 평하다

풍열을 발산시키고 간을 진정시키며 눈을 밝게 한다

두통, 눈이 붉을 때

정신이 혼미할때

 

박하

향긋하고 화하고 약간쓰며 서늘하다

땀을 내고 기운을 순하게 하고 머리의 열을 식힌다

두통, 눈이 붉은 것

인후가 아픈 것, 반진

 

승마

쓰고 약간 매우며 약간 차다

땀을 내고 독을 풀고 끌어올린다

유행성 열병

인후통, 반진

 

시호

쓰고 약간 차다

표와 이를 화해한다. 간을 편하게 하고 몰린 기운을 풀어준다

추웠다 더웠다 하는 증

학질

산후 발열

위장 허한증

우방자

맵고 쓰고 평하다

약간 발산한다. 청열, 해독한다

혹역, 두드러기

인후통, 헌데

 

 

- 풍습약 -

 

풍습병의 원인은 거처가 습하거나 땀을 낸 후에 물 속에

들어가서 수습병사가 체표에 침입한 후에 다시

풍사가 침범하여 풍과 습이 상박되어 발생한다.

풍습병의 초기는 오한, 발열 등의 표증에 전신이

피곤하고 무거우며 뼈마디가 아프고 사지에 부종이 있다.

한약재

성미

효능

적응증

금기

강활

맵고 쓰며 온하다

발산한다. 풍습을 제거한다

감기로 인한 두통

풍습으로 저리고 아픈 것

 

고본

맵고 쓰고 온하다

풍습을 다스리며 독을 친다

두통, 정수리와 목과 등뼈가 아픈 것, 요통

허약증

독활

맵고 쓰고 온하다

풍습을 다스린다

풍, 한, 습으로 저리고 아픈것

 

목과

시고 온하다

습을 제거하고 힘줄을 부드럽게 하고 기운을 내린다

곽란, 구토, 설사, 이질

각기, 갈증

 

상기생

쓰면서 달고 평하다

간과 신을 보하여 근골을 건저케 하며 풍습을 제거한다

풍습으로 팔, 다리가 아픈 것

요통

 

오가피

맵고 온하다

풍습을 제거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풍한 습으로 저리고 아픈 것

다리에 힘이 없는 것

 

위령선

쓰고 온하다

풍습을 다스린다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것

 

진교

쓰고 맵고 평하다

풍습을 치료한다. 피를 좋게 하고 힘줄을 편다

풍습으로 저리고 아픈 것

조열과골증열

 

창출

쓰고 맵고 온하다

비를 튼튼하게 하고 습을 제거하고 땀을 낸다

풍한 습으로 저리고 아픈 것, 설사

명치와 배가 부르고 답답한 것

과하게 쓰면 비위를 상한다

해동피

쓰고 평하다

풍습을 다스린다

허리와 다리가 마비되며 아픈 것

이질

 

 

- 거한약 -

 

한사가 침범되는 부위에 따라서 한증을 표한증과

이한증으로 구분한다. 한사가 표를 침범하면 해표약을

써서 표사를 발산시키도록 하고 이에 들어가면

토사, 복통, 안면 창백, 맥상이 침지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속(이)를 덮히는 약을 써야 한다.

한약재

성미

효능

적응증

금기

건강

맵고 온하다

속을 덥게 하고 양을 돕는다. 맥을 통한다

토사, 복통

맥이 가늘고 손발이 찬 것

한으로 인한 담음,천식,기침

 

양강

맵고 열하다

냉을 없애고 소화를 돕는다

곽란, 복통

주독, 냉적

위열증

부자

맵고 달다.매우 열하고 독이 있다

크게 양기를 돕고 풍한 습을 제거한다

사지가 싸늘해진 것

추워하고 땀이 많이 나는 것

명치와 배가 차면서 아픈 것

설사와 이질

임산부

소회양

맵고 온하다

한을 없애고 기운을 통한다. 산증을 치료한다

산증으로 아픈 것.

구토, 복통

 

애엽

쓰고 열하다

위장과 자궁을 따뜻하게 한다. 월경을 고르게 하고 피를 멎게 한다

뱃속이 차고 아픈 것. 냉으로 인한 설사

월경 부조

지나치게 오래 먹으면 열이 난다

오수유

맵고 온하고 약간 독이있다

속을 덥게하고 한을 제거하고 아픈 것을 멎게 한다

구토, 태산

설사, 목통

산증, 각기

혈조증

익지인

맵고 온하다

비와 신을 온하게 한다

설사

유정, 유뇨

 

정향

맵고 온하다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기운이 치미는 것을 내린다

구토, 딸국질, 설사

명치와 배가 아픈것

위열증

초과

맵고 온하다

화중, 치담하고 학질을 다스린다

명치와 배가 아픈 것

학질, 학모

위열증

초두구

맵고 온하다

냉기를 없애고 속을 덥히고 기운을 내린다

명치와 배가 아픈 것

술독, 담음

우열증

 

출처 : 학성산의 행복찾기
글쓴이 : 학성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