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Lycopus ramosissimus var. japonicus
분류 꿀풀과
분포지역 아시아 동부, 북아메리카
자생지 습지
크기 높이 약 1m
지삼(地參)·택란(澤蘭)·지순(地筍)·개조박이·지과인묘(地瓜人苗)·쉽사리라고도 한다.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m 내외이고 줄기는 사각형이다. 땅속줄기가 흰색으로 굵고 옆으로 벋으면서 그 끝에 새순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옆으로 퍼지며 길이 2∼4cm, 나비 1∼2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모양은 바소꼴로서 양끝이 좁고 둔하며 밑으로 좁아져서 날개가 있는 잎자루처럼 되고 양면에는 털이 없다.
꽃은 7∼8월에 피고 흰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3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입술 모양인데, 윗입술은 2개로 갈라지고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며 포기에 따라 긴 것과 짧은 것이 있다. 연한 부분을 나물로 하고 성숙한 부분을 약용으로 한다. 아시아 동부에서 북아메리카에 걸쳐 분포한다.

동의보감에서는 산전산후에 여러가지 병과 복통 등에 그 효능이 있으며 다산한 여성이 혈기가 쇠약하고 차가우며 여윈 증상에 좋다고 하였고, 파상풍이나 타박상으로 생긴 어혈을 없앤다고 하였다. 주로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어혈을 풀어준다. 월경이 일정치 않거나 양옆구리가 아픈 것,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 수종 등을 치료한다. 어혈을 풀어주는 약중에서 정기를 손상시키지 않은 장점이 있어 부인과에 많이 응용되는 약이다. 생리통, 상처, 타박상, 부스럼, 황달, 중풍, 고혈압 등에도 응용된다.
쉽사리는 생약명으로 택란(澤蘭)이라고 한다. 다른 이명으로 지삼(地參), 지순(地筍), 개조박이, 지과인묘(地瓜人苗)라고도 한다. 전국에 분포하며 들, 야산, 습지, 연못이나 물가에서 자생을 한다. 약효는 온포기에 있고 5~8월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건조하여 쓴다. 성미는 약간 따뜻하며, 쓰고 맵다. 독성은 없다. 동속 약초로는 애기쉽사리가 있다. 연한 부분을 나물로 하고 성숙한 부분을 약용으로 한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고 다소 비후하며 희다. 줄기는 사각으로 모가 나 있고 가운데가 비어 있으며 녹색이지만 마디는 검은빛이 돈다. 잎에서는 박하향이 난다. 연한 부분은 식용하고 성숙한 것을 약용으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주로 부인과, 순환계 질환 등을 다스린다. 간장과 비장을 도우며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 당뇨병 중소(간·소화기)에 좋으며, 월경불순, 폐경 산후어혈, 복통에 좋다.

쉽사리/애기쉽사리/개쉽사리의 莖葉(경엽)은 澤蘭(택란), 根莖(근경)은 地筍(지순)이라 하며 약용한다.
澤蘭(택란)
성분 :쉽사리의 전초는 精油(정유), glucoside, tannin, 樹脂(수지)를 함유하며 또 flavonoid 배당체, phenol類(류), 아미노산, 유기산, saponin, glucose, galactose, lycopose, 蔗糖(자당), raffinose, stachyose, fructose를 함유한다. 과실은 glucose, galactose, lycopose, 蔗糖(자당), raffinose, stachyose를 함유한다.
약효 :活血(활혈), 祛瘀(거어), 利尿退腫(이뇨퇴종)의 효능이 있다. 월경폐지, (징하-腹中(복중)의 硬結(경결)), 産後瘀滯腹痛(산후어체복통), 身面浮腫(신면부종), 타박상, 金瘡(금창), 癰腫(옹종)을 치료한다.
地筍(지순)
성분 : Lycopose, 葡萄糖(포도당), galactose, 蔗糖(자당), raffinose, stachyose 등을 함유한다.
약효 : 活血(활혈), 益氣(익기), 消水(소수)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産後腹痛(산후복통),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이명 :호란(虎蘭), 사왕초(蛇王草) 지과야묘(地瓜兒苗), 호포(虎蒲)
독성 :무독(無毒)
채집시기/산지 :여름·가을 줄기와 잎이 무성할 때 베어서 햇볕에 말린다.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고산 음습지에 자생한다.
가공 :싹을 뜯은 후 그늘에 말려서 쓴다.
주의 :어혈약 중에서는 온화한 성질이나 어혈이 없는 경우에는 될수있으며 사용하지 않는다.

해산 후 몸이 부을 때는 :방기, 쉽싸리(택란)를 같은 양으로 10 ∼ 12g을 물에 끓여 먹는다.
각혈 :잎 또는 열매 6~8g 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냉병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당뇨로 생기는 소변불통(전립선, 요실금) :택란, 차전자 각 16g, 구기자, 오미자 각 8g을 달여 복용한다.
두통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부종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6일 복용한다.
산통(疝痛)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산후각기(産後脚氣), 부종(浮腫)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