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50cm정도까지 자라는데 잎의 무늬가 마치
호랑이의 귀를 닮아서 '범의귀'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호이초(虎耳草)라고 부른답니다.
= 별명 : 호이초(虎耳草)
= 약용부분 : 전초
= 채취시기 : 봄~여름. 전초를 그늘에서 말린다.
= 기 미 : 쓰고, 맵고, 차다.
돌담, 뜰의 나무 밑 등에서 자라는 상록 다년초. 5~7월에 걸쳐서
연지색이나 노랑색 반점이 생기는 흰색의 5변화가 핀다.
꽃잎중 아래쪽 2개가 길게 대자(大字)로 보인다.
옛날부터 민간약의 대표라고 할 정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약효 및 이용방법>
- 중이염(中耳炎), 귀고름이 나오는 데 : 잎의 생즙을 내어 5~6방울 귓구멍에 흘려 넣는다. 또는 면봉에 생즙을 충분히 흡수시켜 귓구멍에 꽃아둔다. 가끔 바꿔 꽃는다.
- 면정(面疔-얼굴에 나는 종기), 동상에 : 생잎 여러장을 약한 불에 구
워 비벼서 붙인다. 마르면 갈아 붙인다.
- 감기에 : 잎 10g에 묵은 생강 한쪽을 넣고 달여서 1일 3회 복용한다.
- 기침에 : 잎을 검게 구워서 그 가루 2g을 1일 2회 백탕(白湯-끓였다가 식힌물)으로 마신다.
- 고열에 : 생잎 5장과 지렁이 5~6마리를 함께달여서 1일 3회 복용한다.
- 해열제로 : 말린 잎 10g을 1일량으로 전복한다.
- 어린이의 경풍(정신경련)에 : 잎줄기의 생즙을 먹인다. 분량은 작은 숟갈로 5숟갈
- 신경질적인 어린이에게 : 생잎을 기름에 튀겨서 먹인다.
- 여드름, 화상, 옻이 올랐을 때 : 잎의 생즙을 바른다.
- 치통, 치조농루(齒槽膿漏)에 : 생잎을 비벼서 둥글게 뭉치고 이것을
아픈 치아에 얹고 가볍게 깨문다.
- 경련, 위경련, 소아병, 백일해 : 생잎을 찧어 가제로 거른
즙을 한 두 잔 정도 하루 수 차례 마신다.
이것은 독충에 물렸을 때도 바르면 효과가 있다.
- 심장병, 신장병 : 생잎 20장 정도를 4홉의 물이 2홉이 되도록
달여 하루 3 ~ 4회 나누어 온복한다.
- 입가가 헐었을 때 : 풀을 불에 구워서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에 개어 바른다.
♣ 튀김, 나물무침 ♧
잎의 한쪽 면d 옷을 입혀 튀김을 만들어 먹으면 맛있다.
때에 따라서는 나물 무침을 해서 먹어도 좋다.
♣ 샐러드 ♧
속이 녹색잎이라면 잘게 썰어 샐러드유를 조금 떨어뜨린
다음 가다랭이포를 얹어 간장으로 먹으면 맛있다.
맥주 안주나 음식에 곁들여 내놓아도 잘 어울린다.
또 당근 채친 것과 그 절반이 되는 양의 범의귀
채친 것을 섞어 매실초 드레싱과 곁들여 먹으면
맛도 있고 건강에도 좋다
.범의귀샐러드
재료 : 범의귀 잎 50g, 간장 1큰술, 소금 1/3큰술,
식물성기름3큰술, 식초2큰술, 양파즙1큰술
①싱싱한 범의귀 잎을 구입하여 깨끗이 다듬어 씻은 뒤 물기를 제거한다
②분량의 간장과 식초, 식물성기름, 양파즙을 고루 섞어 드레싱을 만든다
③범의귀 잎을 접시에 담고 준비한 드레싱을 위에 골고루 끼얹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