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치의 분포 및 재배적지 | |||||
![]() |
기관 : 전남농업기술원 | ||||
![]() |
성명 : 김명석 | ||||
![]() |
전화 : | ||||
1. 분포 및 용도
지치 생약명 자초근(紫草根,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et Zuccarini)은 지치과의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를 한약재 또는 색소용으로 이용하는데 acetylshikonin, shikonin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약리작용은 황체형성 호르몬을 억제하고 항균, 항염증 작용, 항종양 효과가 있으며 민간에서는 화상, 동상, 수포 등에 외용되며 해열, 이뇨, 피임약으로 쓴다. 국내에서는 지치뿌리를 식용색소로 이용하는데 지치를 이용하여 만드는 증류주인 진도 홍주는 수 백년 동안 전승되어 오면서 전통주로 자리잡고 있다. 지금까지 지치 자생지에서 무분별한 채취로 자원이 고갈되었고 노지재배에서 장마철 고온다습 조건 및 뿌리??음 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안정생산에 어려움이 크다.
2. 지치재배에 알맞는 토성
지치재배에 알맞는 토성을 알아보기 위해 토성이 다른 사양토, 양토, 식양토에서 지치를 재배하여 병해 및 뿌리생육량을 비교하여 본 결과 뿌리??음병은 토성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뿌리의 생육은 주근의 길이나 10a당 마른뿌리 수량인 건근중과 굵은 뿌리의 비율인 상근비는 사양토보다 양토나 식양토에서 좋았다. 즉 뿌리??음병은 토성보다는 다른 요인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생육은 양수분의 보유력(CEC)이 떨어지는 사양토보다는 양토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1).
토 성 |
공극율 (%) |
점토함량 (%) |
재생율 (%) |
병해 (%) |
주근장 (㎝) |
SPAN style="FONT-SIZE: 13px; LINE-HEIGHT: 17px; TEXT-ALIGN: center">수량(kg/10a) |
상근중비율 (%) | |
건근중 |
지수 | |||||||
사양토 |
45.6 |
11.6 |
90 |
30 |
16.0 |
103 |
100 |
64 |
양 토 |
48.8 |
14.6 |
97 |
18 |
19.7 |
130 |
126 |
72 |
식양토 |
56.3 |
53.5 |
94 |
23 |
18.1 |
112 |
109 |
68 |
주 : 1) 병해 : 뿌리??음병, 2) 작기 : 파종(7월 20일), 수확(익년 6월 20일)
3. 지치재배에 알맞는 토양산도
토양산도에 따른 지치의 생육을 보면 pH 5.0~6.0에서 봄철에 새싹이 움터나오는 재생율이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생육이 왕성하여 수량도 pH 7.0~8.0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뿌리??음병의 발생율이 pH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지치는 알카리성 토양보다는 pH 5.0~6.0의 약산성토양에서 병도 적고 생육도 왕성한 것으로 보아서 약산성이 적지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2).
토양산도 (1.5) |
재생율 (%) |
경장 (㎝) |
경태 (㎜) |
뿌리??음병 (%) |
주근장 (㎝) |
주근경 (㎜) |
수량(kg/10a) |
상근중 비율 (%) | |
건근중 |
지수 | ||||||||
5.4 |
95 |
87 |
8.13 |
22 |
17.0 |
13.79 |
109 |
100 |
68 |
6.5 |
96 |
93 |
8.42 |
19 |
18.2 |
14.46 |
115 |
106 |
71 |
7.4 |
92 |
76 |
7.08 |
32 |
15.6 |
12.53 |
90 |
85 |
64 |
8.5 |
90 |
65 |
6.81 |
38 |
14.2 |
11.32 |
78 |
74 |
60 |
주 : 1) 토양산도 : 시험전 토양산도
2) 작기 : 파종(7월 25일), 수확(익년 6월 30일)
그림 1. 지치의 뿌리 발육상태
| ||||||
|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암에 좋은 약초 삼백초(三白草)에 대해.. (0) | 2006.01.20 |
---|---|
배초향 (0) | 2006.01.16 |
초보자의 산야초효소 만들기 (0) | 2006.01.15 |
평창 산채시험장 (0) | 2006.01.15 |
국유림 이용 (0) | 2006.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