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허브등 식물의 약리적효과 64종

지리산자연인 2006. 2. 6. 17:41
 

 

야로우는 발한제 중에서는 최고라고 할 만큼 널리 이용되는 허브의 하나로서 몸에서 나는 열을 발열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식물이다. 발열에는 가히 표본적으로 이용이 되는 허브로서 낮은 혈압에 말초혈관을 팽창하도록 도와준다. 이 것은 소화와 혈관을 자극하며 방광염과 같은 감염에 비뇨기의 방부제 작용을 한다. 외적으로는 상처의 치료에 되기도 한다.

발한, 저혈압, 수렴, 이뇨, 삼출성 염증, 통경(월경 촉진), 간장, 흥분, 강장 등에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열에는 Elder flower(딱총나무 꽃), 페퍼민트, Boneset(등골나물), Cayenne(고춧가루), Ginger(생강)와 잘 어울린다.

 

 

창포의 쓴맛은 자극적 효과와 휘발성 오일의 구풍제(위장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작용)효과와 더불어 점액질(식물이 분비하는)이 진통작용을 함께 한다. 이와 같이 모든 장 기관에 적합한 최고의 강장제로 알려진 식물이 바로 창포이다.

소화불량과 위염, 위궤양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위 관련 질환과 소화불량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위장 내에 가스가 차서 생기는 복통을 제거하는데는 특효약으로 그 작용이 탁월하다.

아울러 소화기능의 증진시키고 장으로의 배출을 쉽게 도와줌으로서 식욕이 줄어드는 것을 막아주며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없도록 한다. 구풍, 진통, 경련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밤나무가 식욕이 줄어들 때 유일하게 작용하는 것은 혈액순환 계통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아울러 활력증가 특히 정맥 상태에 도움이 된다.
정맥에 생기는 염증, 정맥류와 치질 같은 정맥염으로 인한 치료에 내부적으로 도움을 주기도 한다. 아울러 외용약으로도 사용된다.

밤에는 사포닌, 탄닌, 플라본, 녹말, 지방성 오일, 글리코사이드, 에스쿨린, 프렉신 등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진정, 순환기능을 강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짚신나물이 가진 수렴성과 강장 성분들은 우리 몸에 유용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수렴작용이 필요할 때 그 것의 강장활동은 소화와 간 분비작용을 촉진한다.

어린아이들이 설사를 할 때 사용하면 아주 효과적으로 쓰이는 약제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짚신나물은 대장염의 치료에도 도움을 준다.

소화불량에 쓰여 왔으며 몸에 바르는 강장제로서도 오랜 전통을 가지고 이용돼 왔다. 요실금과 방광염에도 사용되어져 왔으며 목이 아플 때, 후두염을 진정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가글제로도 사용되어 왔다.

외상의 치유를 완화하기 위하여 연고제로도 사용된다. 수렴, 강장, 이뇨, 강장 등에 사용되면 효과가 있고, 타박상, 찰과상 등의 외상에도 유용하게 이용된다. 

 

 

개밀은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등과 같은 비뇨기 감염에 주로 사용된다. 개밀의 진통제적 특징은 염증을 가라앉힌다는 것이다. 확대된 전립선의 치료법으로서 효능이 있고, 신장결석과 요결석에 사용된다. 강직성 이뇨제와 같이 Couchgrass는 류마티즘의 치료에 다른 허브들과 함께 사용되어 왔다.

말린 덩이뿌리(줄기가 땅 속에서 자라 마치 뿌리처럼 보이는 것으로 근경이라고도 한다)를 물 1컵에 2스픈을 넣고 끓여서 약 10여분 동안 달인다. 하루에 3회 정도를 복용하는데 한 번 섭취량은 3~6mL 정도로 한다.

이뇨, 진통, 항생, 항결석, 강장 등에 효과가 있으며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등에는 부추, Bearberry(월귤: 철쭉과, 잎을 약용으로 씀), Yarrow(톱풀)와 함께 사용된다. 전립선상에 문제가 있을 때는 hydrangea(수국)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마늘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그리고 소화기관에 서식하고 있는 기생충에 작용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가장 유용한 식물 중의 하나이다. 만성기관지염, 위장, 대장, 비장 그리고
감기나 유행성 독감과 같은 호흡기 전염에 유용하며, 전염이나 소화를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아주 좋은 허브이다.

소화관 때문에 마늘은 병원체는 죽이는 반면 자생 세균 식물군의 성장은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혈압을 낮추고 외부적으로는 백선, 요충의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다.

방부제, 항생제, 발한제, 담즙 배출 촉진제, 저혈압, 진경, 구충, 항 카타르성, 구충, 거담, 발적, 흥분, 강장, 외상약으로 널리 사용된다. 미생물에 의한 감염 질환에는 에키나시아와 혼합하면 잘 섞이며 효능을 더 할 수 있다. 

 

 

알로에는 매우 좋은 하제로 사용이 된다. 적은 양을 복용해도 여성들의 생리를 증가 시켜준다. 뿐만 아니라 벌레 물린데 화상, 여름철 뜨거운 태양 아래서 데인 피부, 지친 피부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한편 알로에는 자궁수축을 자극하므로 임신 중에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산모의 모유에 섞여 이물질이 함께 분비되므로 수유 시에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수유 시에 복용을 하면 아기가 설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선한 잎에서 나오는 점액을 생체, 또는 건조하여 사용한다. 하제, 외상치료, 월경촉진, 구충, 간장, 진통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내복할 때에는 0.1~0.3g의 즙을 복용하고, 외용으로
사용할 때는 신선한 액을 외상에 얇게 펴 바르며 마사지한다.

여성들의 경우 만약에 생리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복통을 줄이기 위하여 구풍제와 함께 복용하면 된다. 
 

주로 진통제로 이용되는 허브이다. 또한 소화촉진에도 효과가 있어 소화제로 이용하면 좋다. 이 것은 피부에 닿으면 뜨거워지는 성질이 있으며 잎은 폐와 신장관련 질환에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아울러 기관지, 호흡기, 심한 기침, 요도염이나 요도 결석에 걸렸을 때는 잎을 말려 차로 우려 마시며 뿌리는 정맥류를 자극하여 준다.

뿌리는 주로 진통, 이뇨, 수렴, 상처약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잎은 진통, 거담, 이뇨, 수렴, 설사, 폐병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잎을 이용할 때에는 끓인 물에 1-2 티스픈의 마른
잎을 넣고 5~10분간 우려낸 후 하루에 세 번 마신다.

뿌리는 잘 건조한 것을 보관하였다가 잘게 썰어서 한 티스픈을 한 컵의 물에 넣고 약 10분 정도를 끓인 후 마시는데 하루에 세 번 마시면 된다. 특히 궤양이 심할 때는 Comfrey(지칫과의 식물로서 채소로 이용된다. 나래지치라고도 한다)를 함께 사용하고, 기관지에는 상사화와 박하를 함께 사용한다.

 

안젤리카는 특히 열, 감기, 독감을 동반한 기침, 기관지염 그리고 늑막염의 거담제로 효과적이다. 잎은 가슴의 염증에 습포로 사용될 수 있고, 구풍을 다스리는 오일이 함유되어 있어서 장내 통증과 위장 내에 가스가 찼을 때 그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angelica acid는 소화작용을 돕는 물질로서 식욕을 증진시킴으로서 밥맛이 없어 식욕이 감소될 때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류마티스성 염증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방
광염의 경우에는 비뇨기 방부제로 작용한다.

주로 구풍, 항경련, 거담, 이뇨, 발한, 방향, 호흡기 질환, 흥분, 강장 등에 널리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특히 기관지 계통에 문제가 생기면 coltsfoot(머위), whitehorehound(흰꽃 광대나물)와 절 조화되므로 혼합하여 이용하고, 소화기 계통의 질환과 식욕부진에는 chamomile과 혼합하여 이용한다. 

 

 

셀러리 씨는 주로 류마티즘, 관절염 그리고 통풍의 치료에 사용된다. 셀러리는 특히 우울증과 관련된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유용하다. 셀러리가 가지고 있는 이뇨작용은 류마티스 상태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으며 또한 광범위한 휘발성 오일인 apiol로 인하여 비뇨기성 방부제로 사용된다.

항 류마티스, 이뇨, 구풍, 진정, 방향제로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숙성한 씨를 가을에 수
확하여 차로 우려 마시거나 곱게 빻아서 류마티스성 질환 등의 부위에 습포를 해도 좋다. 특히 류마티스성 질환 등에 이용할 때에는 bogbean(조름나물)이나 dandelion(서양 민들레)과 섞어 사용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우엉은 피부가 건조하고 각질이 생길 때 아주 훌륭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장기간 계속 사용하게 되면 건선피부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이와 유사한 피부질환들에 효과적인데 어떠한 종류의 습진도 치료될 수 있다.

우엉은 특히 건선과 관련이 있는 류마티스의 경우, 광범위한 류마티스성 질환의 치료에 보조적으로 이용이 될 수 있다. 우엉은 소화를 촉진시키면서 입맛이 없을 때 식욕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신장 기능을 보조하고 방광염을 치유함으로서 예로부터 식욕부진에 사용되어온 허브이기도하다. 일반적인 경우의 우엉은 피부에 생기는 질환, 비듬 등처럼 구조적인 불균형을 나
타내는 인자들을 아예 제거함으로서 신체 리듬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특히 피부질환에 사용할 때에는 yellow duck(소리쟁이), red clover(붉은 토끼풀), cleavers(갈퀴덩굴) 등과 잘 조화를 이루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서양 고추냉이는 가정 치료제로 아주 유용하게 쓰이는 허브로서 주로 감기나 열병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신체의 뻐근함 등과 같은 아픔을 완화하고 소화과정을 자극하여 속을 편안하게 한다.

외부 질환에 사용할 때는 겨자씨와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류마티즘, 기관지염 등에 찜질약으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신선한 뿌리는 채소로 이용된다. 서양 고추냉이를 저장하였다가 이
용할 때는 끓는 물 한 컵에 분말이나 잘게 썬 뿌리와 잎을 한 스픈 정도 넣고 약 5분 정도 우려낸 후에 복용한다. 흥분, 구풍, 발적, 완하(하제), 이뇨, 간장 등에 효과적인 작용을 한다.   

 

 

쑥은 소화촉진을 위해 필요한 곳이라면 어떤 경우에 사용해도 상관이 없다. 일반적으로 쑥 품종들은 쓴맛을 가지고 있는데 이 쓴맛의 자극이 소화를 돕는 한편 구풍작용을 하는데도 유용하다.

아울러 현대 중년기의 여성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우울증에 도움을 주는 신경안정제로도 작용하며 긴장을 풀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쓴쑥, 개사철쑥과 마찬가지로 여성들의 월경을
정상적으로 유도하는데 도움을 주는 통경제로 사용하면 좋다.

강장, 자극, 신경안정, 통경, 담즙분비억제 등에 이용하면 좋다. 끓인 물 한 컵에 말린 쑥을 1 티스푼 정도 넣고 10분 정도 우려낸 후 마시는데 하루 세 번 정도 마시는 것이 좋다. 아울러 식욕을 촉진하기 위하여 이용하고자 할 때는 아페리티프(식욕이 없어 음식에 입맛이 없을 경우에 식욕촉진을 위해 식전에 마시는 술)를 만들어 한 잔씩 마시면 식미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귀리는 스트레스 상태에 있을 때, 신경계통의 치료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것을 이용했을 때 신경쇠약과 스트레스에 의한 피로감에 대한 약리적 기능은 매우 탁월하다.

우리 신체의 모든 신경계를 강화시키는 신경안정제(신경이완, 촉진)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벼, 밀, 귀리 등 화본과에 속하는 식용식물들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규산(silicic acid)은외상에 대한 외용제로서 피부 치료제로도 매우 효과적이다.

신경강장, 항 스트레스, 영양제, 진통, 상처치료 등에 작용을 한다. 신경통과 피부염증 등의 완화를 위하여 사용할 때에는 욕조에 따뜻한 물을 받아 놓고 나서 미리 준비한 진하게 우려낸 물(조각낸 밀짚 450g을 2L의 물에 넣고 약 30분 정도를 끓이면 진액을 만들 수 있다)을 첨가하여 몸을 담그고 목욕한다. 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경우는 골무꽃(Skullcap)과 조합하여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보리지는 부신피질에 작용하여 기능을 활성화 시켜주는 기능이 있다. 현대인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생활에서 내외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에 내분비선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성장기의 어린이들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허브이다.

특히 늑막염과 같은 질환에 항 염증성이 탁월하여 효과적이다. 보리지의 잎과 종자는 모유의 흐름을 자극하여 산모의 젖을 잘라오게 해준다. 발한, 거담, 강장, 항염증, 모유촉진, 이뇨,
비부 완화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여름에 꽃이 피기 시작할 무렵에 잎과 꽃을 수확하여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건조하여 이용한다.

차로 우려 마실 때에는 끓인 물에 1~2 티스푼의 말린 허브를 넣고 우려서 하루에 세 번 마신다. 

 

메리골드는 피부염증 부위와 간염부위, 물리적으로 입은 상체에 이용되는 허브이다. 신체 외부에의 이용은 외부창상, 상처, 타박상 등에 이용되고, 내부적으로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을 치료한다. 메리골드는 항균 활성작용이 있어 내외용으로 작용하여 간염증과 싸워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생리기간 중에 생기는 고통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항염증, 수렴, 상처, 항미생물, 통경, 강장 등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건조한 꽃잎을 끓인 물 한 컵에 1~2 티스푼을 넣고 우려서 하루에 세 번 마신다. 외상 치료를 위해서 사용할 때에는 생 꽃잎을 으깨어 붙이면 염증이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만약 소화불량 등의 증세가 심할 때에는 Marshmallow(양아욱) 뿌리와 함께 우려서 음용하면 좋고, 방부를 위하여 로션을 만들 때는 Golden seal(미나리아재비과 식물로서 부자, 황련과 유사하다)이나 Myrrh(몰약)와 함께 섞어서 제조하면 아주 효과적인 치료가 된다. 

 

 

고추는 전신을 자극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식물이다. 피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심장을 강하게 한다. 아울러 동맥과 모세혈관, 신경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강장제와 소화기, 순환기에 특효가 있고, 가스가 찬 소화불량과 복통을 완화해 준다.만약에 말초신경계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손과 발이 차가워지거나, 동상에 걸린 부위에 고추를 이용하면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적으로 요통, 류마티즘의 고통과 같이 피부에 발적하는 경우에 연고를 만들어 사용하면 안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복용할 때는 한 컵의 물에 1/2~ 1 티스푼의 고춧가루를 넣고 10분 정도를 끓인 다음 식혀가며 복용하는데 하루에 세 번 복용하면 좋다. 외상 등에 사용할 때는 연고를 조제하여 발라준다.
또한 후두염 등과 같은 질환에는 양치질할 때 사용하는데 몰약(Myrrh)과 함께 섞어 사용하면 방부, 소독 역할을 한다. 


 

 

 

케러웨이는 헛배가 부를 때, 격렬한 복통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어린이들에게도 온화하게 작용하는 식물이다. 밥맛이 없을 때 사용하면 식욕을 돋울 수 있고, 케러웨이가 가지고 있는 수렴성은 설사의 치료뿐만 아니라 후두의 양치질에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아울러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에도 사용할 수 있다.

케러웨이의 진경작용은 몸의 지나친 경련을 진정시켜 준다. 모유를 먹이는 산모가 복용하면 젖 분비를 촉진시켜 준다. 주로 구풍, 진경, 거담, 통경, 수렴, 방향, 항생, 흥분제 등으로 널리 이용되는 허브이다. 한 컵의 물에 종자와 말린 잎을 1 티스푼 정도를 넣고 약 10분간 우려낸 후 복용하는데 하루에 세 번 정도 마시면 좋다. 만약 복통이나 배에 가스가 찰 때는 케모마일과 창포를 함께 이용한다. 

 

 

Cinnamon은 주로 다른 허브를 첨가하여 사용하는데 구풍제로 널리 이용된다. 구토, 구역질을 덜어주는데 효과적으로 이용하며 심하게 설사를 할 경우에 이를 막는 작용도 한다.

여린 가지의 수피를 열대지방에서 수집하여 말려서 사용한다. 구풍, 수렴, 방향, 자극제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엉겅퀴는 쓴 성분 때문에 위의 흐름과 담즙 분비를 촉진시킨다. 식욕부진과 소화불량에 효능이 있고, 가스와 복통을 수반하는 소화계의 병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허브이다.

엉겅퀴가 가진 수렴작용은 설사와 출혈을 막는데 좋다. 한편 외부적으로 사용할 때는 외상과 방부제로 이용이 된다. 강장, 수렴, 발한, 항균, 거담, 월경촉진, 최유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우려내서 마실 때는 끓인 물 1컵에 말린 허브를 1 티스푼을 넣고 약 5분 정도를 우려낸 후 마시는데 하루에 세 번 마신다. 

 

 

약초로 쓰이는 야생마는 복통을 완화시키고 월경불순과 난소와 자궁의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허브이다. 한편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특히 염증이 심한 곳에 사용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수집할 때는 가을에 뿌리째로 뽑아서 말린다.

항경련, 항염증, 항류마티스, 담즙억제, 간장 등의 약재로 사용한다. 특히 복통에는 창포, 케모마일, 생강 등과 조합하여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야생마를 음용할 때는 달여서 먹는데 한 컵의 물에 1~2 스푼을 넣고 약 10여분 정도를 끓여서 하루에 세 번 정도를 복용한다. 

 

 

위장의 가스 제거, 설사, 통증 완화, 류마티즘, 골절상 ,창백한 피부, 지성 피부에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생강은 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정력과 활력에 도움을 주고, 의지를 강하게 하고 결단력을 촉진시킨다. 뼈의 이상이 있을 때 강화를 위하여 마사지하는데 진저나 로즈마리 (캐리어오일에 희석된 것) Oil을 피부에 발라주면 뼈의 이상이 점차 회복된다.

시트러스계의 오일들인 오렌지인 레몬, 오렌지, 주니퍼베리와, 로즈마리, 라벤더을 함께 브랜딩 하면 잘 어울린다


 

 

 

혈액 순환 촉진, 체형 관리 및 피부 활력을 위해 사용한다. 방부, 지방질 분해(비만 관리), 지성 피부, 기름진 모발, 지방질 분해, 피부 불순물 제거에 효과적이다.

그레이프후르트는 흡입, 마사지, 목욕에 이용하였을 때, 행복감, 삶의 즐거움을 촉진, 자신감 향상, 비만 관리를 할 때, 정신적으로 식욕 부진 및 비만에 대한 스트레스 해소 등에 도움을 주고 지방질 분해(비만 관리)할 때 케리어 오일에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바디의 윤곽과 곡선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주로 지성 피부 관리에 좋다. 제라늄, 바닐라, 베르가못, 레몬, 오렌지, 로즈마리 등과 잘 어울린다.

 

 

딜은 범어와 성경에 허브 식물로 언급된 아주 오래 전부터 이용해 온 허브로서, 유럽에서는 고고학적으로도 딜에 대해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딜의 종자를 시라실이라 하여 오래 전부터 한약재로 이용해 왔다.

건위, 거담, 구취, 방부, 경련 해소, 가스 제거, 소화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에 좋다. 뿐만 아니라 정체된 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어린이들에게는 심신을 안정되고 편안하게 유지해 준다.

정화와 휴식, 고독감 해소에도 도움을 준다. 몸과 얼굴 마사지에 케리어 오일과 브랜딩 하여 사용한다. 휴식과 안정을 위하여 저녁 시간 목욕에 사용하면 좋다. 케모마일, 오렌지, 레몬, 베르가못 등과 잘 어울린다.

 

 

혈압이 높은 사람들이 사용하면 안정시킬 수 있고, 스트레스, 불면 등에 도움을 준다. 아울러 피부 조직의 재생, 살균, 소독, 손, 발 까칠까칠 할 때, 염증, 탈골, 홍진, 화상, 햇볕에 탄데, 방부, 나방과 진드기 퇴치에 효과적이다.

라벤더는 청결감, 신선감, 정열감을 만끽하는데 좋고, 육체적 피로 해소와 정신적 긴장 해소. 피로하거나 휴식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하면 좋다. 특히 사춘기 청소년들의 얼굴에 많이 나는 여드름에 높은 항염 효과가 있다. 로즈마리, 파초울리, 클라리 세이지, 주니퍼 베리, 레몬, 오렌지, 베르가못 등의 오일과 잘 어울린다.  

 

 

라임 오일은 심신의 활력, 방부, 상쾌한 컨디션 유지, 위장내의 가스 제거에 효과적이다. 피로해진 지성 피부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라임 오일은 피부 불순물 제거에 좋으며, 피부의 탄력 강화, 피부의 결합조직을 강화할 때 사용한다. 특히 탄력이 저하된 피부에 사용하면 좋다.

심신의 피로감을 완화시켜 주며, 외향적이고 활동적인 컨디션을 만들어 준다. 아울러 라임 향은 행복감을 느끼게 해 준다. 아로마 램프를 이용하면 아이들에게 특히 좋으며, 진정 작용이 있고, 취침 시에 아이들을 편안하게 잠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바닐라, 일랑일랑, 베르가못, 티트리, 라벤더, 그래이프후르트 등과 잘 어울린다. 

 

 

진정, 방부, 몸의 정화와 해독, 목이 아플 때, 귓병 등에 좋고, 곤충에게 물렸을 때 진정 효과가 있다. 발진, 뾰루지, 부스럼, 종기, 헌데, 습진에 사용. 피부 청결과 지성 피부의 지방질 제거에 사용, 손상된 모세혈관에 사용한다.

정신을 맑고 신선하게 해주며, 근심이 없애 주고 평온하게 유지하는데 효과가 좋다. 또한 매사에 의욕적이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기미를 엷게 하기 위해 훼이셜 오일에 브랜딩 하여 사용하며, 손상된 모세혈관, 체 지방 분해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주로 지성 피부에 사용한다. 또한 아로마 램프를 이용하여 여름철에 곤충을 쫓는데 사용하며, 개미를 쫓는데도 사용한다. 신선감과 식욕촉진을 위해 아로마 램프에 레몬 오일을 몇 방울 떨어뜨려 확산시키면 좋다. 라벤더, 네롤리, 시더우드, 펜넬 등과 잘 어울린다. 

 

 

피를 맑게 해주고, 신경계 피로 회복에 효과적이며, 늘어진 피부를 탄력 있게 해 준다. 코감기에 걸렸을 때 램프확산, 목욕, 흡입법을 이용하면 효과적이다. 살균효과도 좋다. 늘어진 피부를 탄력 있게 해주고 지성 피부, 피부 불순물 제거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오일이지만 민감성 피부에는 피부자극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사용한다.

기분 향상, 정서적인 자각과 인식을 위하여 램프 확산을 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지방질이 많은 피부와 피지 제거를 위한 얼굴용 화장용품에 사용한다.

여름철 실내에서 램프 확산법으로 오일의 향을 사용하면 신선한 분위기를 유지하는데 좋다. 만약, 향이 불쾌하거나 풋풋한 향이 나면, 만다린 또는 오렌지 오일과 혼합하면 좋다. 옷장에 한, 두 방울의 레몬그라스 오일을 떨어 뜨려 놓으면 은은한 향이 청량감을 준다.

제라늄, 자스민, 라벤더, 라임 등과 잘 어울린다. 


블로그 가을바다에서 퍼옴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수오  (0) 2006.02.08
백출(삽주)  (0) 2006.02.07
고수  (0) 2006.02.06
기린초  (0) 2006.02.04
섬백리향  (0) 2006.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