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ttp://blog.naver.com/jg0319/9197110 | |||
결명자(決明子)
결명자는 콩과(leguminosae)의 1년생 초본으로 1m쯤 자라며 6-8월에 황색꽃이 피며 열매 는 8-9월에 수확한다. 결명자는 한쪽이 뾰족하며 황갈, 녹갈색의 광택이 있으며 길이는 4-7mm, 폭은 2-3mm정도의 육방형으로 생겼다. 결명자는 약용외에도 보리차처럼 볶아서 일반 음료수 대용으로 마시기도 한다.
*
활처럼 굽은 꼬투리에 노란꽃이 피는 눈보호제
결명자 * 한해살이 풀인 결명초의 씨인 결명자는 이름 그대로 밝음을 결정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 개똥같은 콩이라 하여 "구시두"라고도 한다. 눈동자를 회춘시킨다는뜻의 "환동자" 또는 천리를 볼수 있다는 뜻의 "천리광" 이라는 다른 이름도 갖고 있다 결명자에는 단백질 11g, 탄수화물 50.4g , 회분 9.5g ,칼슘 5.9mg, 인 523mg, 철 425mg, 비타민 A 18.2 I.U ,지질 10.8g 이 함유되어 있다.
가을에 씨가 여문 다음 줄기째로 베어 말려 씨를 털어 모은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간의 열을 내리고 맑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이뇨제
작용이 있으며 변을 묽게 하여 대변이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을 한다. 간열(肝熱) 또는 풍열(風熱)로 인해 눈이 빨갛고 부으면서 아프거나 햇빛을 꺼리고 눈물이 많이 나올 때 사용하며, 하고초(夏枯草)·치자(梔子)·뽕나무잎[桑葉] 등을 배합한다. 또한 열로 인한 변비나 장이 건조하여 생긴 변비에 끓여 먹거나 가루로 만들어 먹어도 좋으며 혈압을 낮추거나 핏속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성분·효능>
결명자는 옛날부터 간장과 눈을 좋게하며 완하, 강장 이뇨, 고혈압, 위가 약한데 좋다는 사실이 입증되어 많이 이용하고 있는 생약제 중의 하나이다. 결명자의 주성분은 비타민 C, 에모딘(Emodin),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인 카로틴(Carotin),캠페롤(Kaempherol) 등이며 각종 필수 지방산과 완하작용을 나타내는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가 들어 있다. C. tora에서 분리한 Chrysophanic acid -9-anthrone성분은 일부 피부사상균에 대해서 발육을 억제하며 항진균작용도 나타낸다.
결명자는 맛이 달고 쓰며 약간 차고 무독하다.
결명자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변비를 치료한다. 결명자에는 완하작용을 하는 안트라퀴논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어서 변비에 효과가 있으며 대황과 함께 끓여 마시거나 꿀을 넣어 마시면 변비치료에 더 효과적이다 (2) 위가 약하거나 위장병에 좋다. 위가 약해서 소화를 잘 못시키거나 위궤양 등에 좋다. (3) 눈의 피로나 충혈을 낫게하고 간에 좋다. 한방에서는 간의 화(火)가 위로 치솟아 풍열이 상초에 머물면 눈이 충혈되고 붓는 증상이 나타나고 밝은 빛을 싫어하고 빛을 쬐면 눈물이 나오는 등의 증상이 생긴다고 한다. 이때 결명자가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 밖에도 야맹증이나 결막염, 백내장, 녹내장 등의 안과질환에 응용된다. (4) 신장병에 결명자차를 마시면 수분이 대변과 함께 많이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의 부담을 가볍게 하여 피로한 신장이 회복되도록 도와준다. (5) 구강염이 생겼을 때 결명자를 진하게 끓인 것을 2-3분간 3-4회 머금고 있으면 매우 효 과가 좋다. (6) 과음한 후에 진하게 끓인 결명자차를 마시고 자면 숙취가 풀린다. (7) 혈압을 낮추고 혈액 중 콜레스테롤을 강하시켜주는 작용을 한다.100례의 고콜레스테롤 환자에 대해서 결명자로 치료한 결과 약 85%가 2주이내에 콜레스테롤치가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4주이내에 96%가 정상치로 되었다.
결명자는 여러가지 질병에 대한 치료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고혈압과 고콜레스테롤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좋으며 간기능을 보호하는 작용도 하므로 평소에 음료수나 죽으로 하여 먹으면 좋다. 결명자 죽은 결명자를 약간 향기가 나도록 볶아서 달여 즙을 낸다. 이 약즙에 맵쌀을 넣 고 죽을 쑤다가 죽이 끓을 무렵 얼음설탕을 넣어준다. 결명자는 성질이 약간 차므로 창백하고 추워하는 모양이 많으면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이럴 땐 음료보다는 죽으로 먹는 것이 좋고 더워하거나 안색이 좋고 특히 변비가 있을 때 좋다.
<활용 방법>
** 동맥경화증에는 결명자를 10 ∼ 15g을 물에 끓여서 하루 2 ∼ 3번 먹는다. ** 위궤양에는 오징어뼈(오적골), 결명자, 감초를 5 : 3 : 1 비율로 섞어 가루내어 한 번에 8 ∼ 12g씩 식후에 먹는다. ** 간염에는 결명자 씨 5 ∼ 6g을 1회분 기준으로 끓여 1일 2 ∼ 3회씩 6일 정도 먹는다. ** 위하수증에는 결명자 잎 또는 열매 5 ~ 6g을 1회분으로 달여서 하루 2 ~ 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위산 과다증에는 결명자 씨 6g을 1회분으로 달여 하루 3 ~ 4회씩 4 ~ 5일 먹는다. ** 맹장염에는 결명자를 검은 색이 날 때까지 진하게 달여서 마시면 좋다. 자꾸 마시면 중증이던 것이 수술도 하지 않고 며칠만에 가라앉는 경우도 있다 ** 결명자차 :::: 결명자 50g을 삼베 주머니에 넣고 꼭 동여맨 다음 물 1ℓ 넣고 끌인다. 다시 물 1ℓ에 설탕을 넣고 끓인다음 마시면 눈이 어두룰 때 밝게하고, 눈이 충혈되면서 아프고 눈물이 나는데 좋다. 노인의 변비, 숙취, 두통, 고혈압, 내장 장기 기능이 쇠약해졌을 때 좋다. ** 녹내장에는 결명자 씨 6g을 1회분으로 달여 하루 3 ~ 4회씩 4 ~ 5일 먹으며, 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 벌레 쏘였을 때 잎의 생즙을 바르면 잘 낫는다. ** 약한 변비에는 결명자를 달여 2~3회 마시면 효과가 있는 데 꿀을 타서 마시면 효과가좋다. ** 결명자를 베갯속에 넣어 베고 자면 머리를 맑게 해 주는 효능이 있으므로 불면증이 있는 사람이나 머리를 많이 쓰는 수험생들에게 효과적이다.
이런 점은 유의 * 결명자는 속에 열이 많아 얼굴이 화끈 거리는 사람에게는 좋지만 반면에 속이 냉한 체질은 소화장애와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복용시 주의해야 한다.
*차 만드는 법* 싱싱한 결병자를 물로 개끗이 씻어 물기를 말린 다음 프라이팬에 약한 불로 노릇노릇하게 볶은 후 방습제를 넣어 통에 보관합니다. *차 끓이는 법* 1. 결명자 20g 가량을 차관에 넣고 물을 물600ml 부어 끓인 후 불을 줄여 은근히 오랫동안 달입니다. 2. 건더기는 체로 걸러 내고 국물만 찻잔에 따라 내서 기호에 맞워 꿀 등을 타서 마십니다
결명자 주(酒)
재료
준비는 결명자 , 소주 (4-5배정도), 담그는 시기 : 수시 (한방에서는 초결명이라고 하며 간의 열을 내리고 맑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이뇨제 작용이 있다고 합니다.) 담그기 (1) 결명자를 잘 씻어 말린다. (2) 결명자를 용기에 담고 소주(4-5배 정도)를 붓고 밀봉하여 보관한다. (3) 3개월쯤(오래 될수록 좋다)지나면 마실 수 있다. (재료를 그대로 나둬 좀 더 숙성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가끔 한번씩 흔들어 재료가 잘 섞이게 해주세요) 이렇게 마셔도 좋아요 그냥 마셔도 좋고 기호에 따라 감미제를 첨가하여도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