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아바란?
구아바는 도금량과에 속하는 식물로 옛 잉카인들이 고산지대에서 재배하기 시작한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식물이다. 향기로운 꽃이 피고 맛과 영양이 풍부한 과일이 열린다. 화분식물은 물론 잎, 나무껍질, 과일 등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식물이다.
비타민C가 오렌지보다 5배 이상 많다 성장한 나무에서 수확되는 구아바 열매는 다른과일과 비교할 때 비타민 A,C가 월등히 많고 또한
공해물질과 오염물질등 독소파괴 능력을 가진 탄닌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참고 : USDA Handbook No.8 "식품조항"
영양학적인성분

구아바에는 타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타닌은 떫은 맛의 성분으로 최근에 그 복잡한 화학구조식이 해명되어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오래전부터 알려진 작용으로서는 정장작용에 의한 설사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 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변비를 예방한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은 타닌이 지니고 있는 노화방지와 제암효과이다. 쥐 실험에 의하면 세포 내의 지방은 타닌에 의해 산화가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노화의 원인이라고 하는 과산화 지질의 생성이 억제되고 따라서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미국의 국립암연구소에서도 에락산이라는 타닌의 분해 산물은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강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한 분석에 의하면 섬유질 함유량이 40%라고 발표하고 있다. 식물성 섬유는 유해물질과 콜레스테롤을 흡수하여 배설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대장암, 당뇨병, 고혈압 예방뿐만 아니라 비만해소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당뇨병에는 구아바차가 효과가 있다는 것은 민간요법에서 알려진 사실이며 이는 대만, 중국등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구아바에는 혈당치의 강하작용뿐만 아니라 췌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물질이 있다는 사실이 쥐실험에서 밝혀졌다. 또한 당뇨병의 합병증인 백내장은 고혈당이 되면 침투압이 높아져 세포 내에서 세포 밖으로 물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눈의 수정체에 물이 다량으로 들어가 눈을 흐리게 하여 일어나는 것이다. 구아바가 이러한 백내장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실험 결과 밝혀졌다. www.guava.co.kr
구아바의 이용
1) 과일은 비타민, 철분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여 껍질째 생식하거나 쥬스로 이용하며 과일주 를 담아도 일품임.
2) 잎, 나무껍질, 뿌리 등은 생으로나 말려서 차로 이용함.
3) 수형이 아름답고 꽃의 향기가 좋아 실내 화분식물로 적격임.
4) 구아바 과일과 잎 모두가 성분이 높고 맛과 향이 좋은것은 아닙니다. 좋은 구아바 산물은
첫째 유기농법으로 재배하고
둘째 채광,환기 등이 좋아야 합니다.
특히 수확시기별로 품질이 크게 다를 뿐만 아니라 구아바 나무의 나이가 많은것이 성분이 더 우수한 점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입니다
구아바 나무
* 노란 것은 단맛이, 빨간 것은 신맛이 난다. 생과일 수입은 금지돼 있고 한국구아바농장(031-671-2526)이 재배, 생산하고 있다. 비타민C가 오렌지의 3배 이상이고 전립샘암 예방효과가 있는 리코펜이 토마토의 2배다. 꼭지 반대쪽이 매끈매끈하고 색깔이 선명하면 잘 익은 것. 껍질째 그냥 먹거나 갈아서 주스로, 잎과 과육을 말려 차로 만들어 먹는다. 생선이나 고기를 요리할 때 넣으면 비린내와 누린내를 없애 준다. 상온에서 5∼7일간 보관할 수 있고, 야채실에 보관하면 10일 넘게 간다
'나무들 > 유실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피나무, 산초나무 (0) | 2006.02.27 |
---|---|
매실 (0) | 2006.02.26 |
모과 (0) | 2006.02.26 |
산사나무 (0) | 2006.02.26 |
[스크랩] 뽕나무를 알면 질병이 없다. <최진규> (0) | 2006.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