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봉

[스크랩] 밀원 조성 참고 자료

지리산자연인 2006. 4. 11. 16:19
식목의 계절이 왔습니다.
벼농사는 논이 있어야 지을 수 있듯이 양봉은 밀원이 있어야만 합니다.

꽃이 핀다고 모두 밀원이 아니며,
벌이 붙는다고 모두 밀원식물로 가꿀 것이 아니라
밀원식물 가꾸기는 [주요밀원식물]을 이어달리기하듯
꽃이 계속 피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당장 꽃이 피지 않더라도
큰키나무 밀원식물을 많이 심고 가꾸어야 하며
큰키나무 밀원식물이 자랄 때까지
나무 사이에는 풀 밀원식물을 심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지난 날 메밀이 많이 있을 때
좋은 땅이어도 메밀밭 150평에 벌통 1통을 기준하여 배치했습니다.
아카시아나무는 30년생이면 꿀 1말이 나온다고 합니다.
키작은 풀이 평면이라면 큰키나무는 입체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발표한 글을 다시 정리하여 올려봅니다.
밀원 조성에 참고가 되시면 고맙겠습니다.


* 주요 밀원 식물

< 나무 밀원>

3월 - 동백 산수유 매실
4월 - 벚꽃 복숭아 진달래
5월 - 아카시아 때죽나무 쥐똥나무 족제비싸리 다래 산머루
6월 - 밤나무 백합나무 피나무 헛개나무
7월 - 모감주나무 수유나무 엄나무 광대싸리 능소화
8월 - 좀목형(바이텍스)두릅나무 붉나무
9월 - 참느릅나무

<풀 밀원>

봄 - 유채 자운영
여름 - 파세리아 참깨 옥수수 해바라기 노랑스위트클로바 금밀초 호박
가을 - 메밀 연백국화


** 약 과일 등 먹거리로 이용하는 밀원식물

3월 - 매실 산수유
4월 - 버찌 복숭아 앵두 자두 살구 배 사과 유채
5월 - 다래 산머루 복분자 감나무
6월 - 밤나무 오미자 헛개나무
7월 - 옥수수 엄나무
8월 - 참깨 오가피나무 더덕 익모초
9월 - 들깨 메밀


*** 기능성 벌꿀 생산의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는 밀원식물

골담초 복분자 구기자
밤나무 헛개나무 엄나무 오가피
익모초

출처 : 꿀벌사랑동호회
글쓴이 : 한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