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유실수

블루베리

지리산자연인 2006. 4. 30. 21:10

와일드 블루베리IQ(Wild BlueberryIQ)


보라색 과일의 일종인 블루베리는 강력한 항산화 작용과 노화방지 기능을 가진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계 색소인 블루베리는 최근 강력한 소염작용과 심장병예방, 노화방지 효능이 밝혀지면서 건강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블루베리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항산화 능력은 비타민C 보다 2.5배 강력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함께 시력보호 기능과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도 블루베리 안토시아닌의 대표적 기능으로 떠오르고 있다.


2차대전 중 영국공군 조종사들이 블루베리를 먹은 후 출격하면 야간비행에도 공격목표가 선명하게 보인다고 보고함에 따라 실시된 연구조사에서 안토시아닌이 백내장과 안검염 결막염 망막증 등 각종 안질환에 유효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 미국 농무부 아네스 M.리만도 박사팀이 화학학회(ACS) 학술회의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블루베리 성분 중 곰팡이를 차단하는 프테로스틸벤(pterostillbene) 성분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밖에 장수 유전자 활성화, 알츠하이머형 치매억제 기능 등이 속속 알려지면서 `브레인 베리(brain berry)'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후 시금치, 연어와 함께 3대 슈퍼푸드(Super Food of Super Food)에 선정됐고 타임지가 선정한 몸에 좋은 열가지 음식 ▶토마토▶적포도주▶견과류▶시금치▶브로콜리▶귀리▶연어▶마늘▶녹차▶블루베리 에도 선정됐다.

건강관련 텔레비젼 프로그램에 속속 소개되면서 국내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아 가고 있다.


미국의 영양전문가이며 안과 의사인 스티븐 프랫 박사가 쓴 '난 슈퍼 푸드를 먹는다' 란 책엔 14가지의 '수퍼 푸드'가 등장한다.

프랫 박사는 '수퍼 중의 수퍼'로 시금치. 블루베리. 연어 세 식품을 꼽았다.


인제대 식품생명과학부 김 정인 교수는 "블루베리가 공복 시 혈당을 낮추고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킨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며 "혈당 조절은 물론 망막염, 백내장 등 당뇨병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조언한다.


미국에서 당뇨병 환자에게 권장하는 마이트리움 차의 주재료도 블루베리다. 이 차를 하루 네 번 이상 규칙적으로 마시면 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고 한다.

췌장에서 생산되는 인슐린(혈당을 낮추는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Wild Blueberry IQ의 1캅셀(1일1회, 1캅셀섭취)에는 블루베리가 90~120개 가량이 들어가 있는데 이는 섭취량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블루베리쥬스 1/4병에 해당하는 양으로 특허공법으로 제조되어 영양성분을 그대로 섭취할 수가 있어 쥬스나 생블루베리보다 경제적으로 섭취 할 수 있다.(농축액 8.3%가량이 쥬스에는 함유되어 있음.)


1. 블루베리의 분포 및 특성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20여 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도 정금나무, 산앵두나무 등이

있으며 모두 열매를 먹을 수 있다.

원예학 적인 면에서 블루베리는 높이가 5m내외로 자라는 하이부시베리(high bush berry : V. corymbosum)와 높이가 30㎝ 내외로 자라는 로부시베리(low bush berry : V. angustifolium var. laevifolium)로 한정 된다.

후자는 특히 미국 북동부에서 많이 재배하고 매3년마다 불로 태우면서 가꾼다.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며, 염기성과 중성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번식은 뿌리나누기, 휘묻이, 종자로 하며 중요한 과수의 하나이다.

열매는 거의 둥글고 1개가 1~1.5g이며 짙은 하늘색, 붉은빛을 띤 갈색, 검은색이고 겉에

흰가루가 묻어 있다.



2. 주요성분

펙틴, 식물섬유, 미넨랄, 칼슘, 철분, 망간, 다섯 개의 안토시아니딘(델피니딘, 시아니딘,

멀비딘, 페투니딘, 페오니딘)에 세 개의 당(글루코스,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스)이 각각 한

개씩 결합한 형태로 청자색 색소성분인 안토시아닌 색소는 과피에 많으며 15종류의 안토

시아닌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효능 및 효과

1) 괴혈병, 비뇨기병, 당뇨병의 치료 : 열매와 잎의 엑기스

2) 눈의 영양소

   - 눈 망막의 로돕신 재합성의 활성화를 촉진, 암 순응 촉진효과, 백내장, 야맹증, 망막염에 효험이 있다.

3) 모세혈과 보호 작용

   - 인체모세혈관의 무름과 침투성을 감소시키고 혈액의 혈소판 응고를 억제

4) 비타민P와 같은 작용

   - 항 궤양 활성 및 항염증 작용, 블루베리의 성분은 콜라겐을 기본으로 한 결합조직으로 연골부, 힘줄 등을 강화하며 염증, 콜라겐을 파괴하는 색소를 저해하여 콜라겐의 합성

     을 자극한다. 또한 항산화제로서 작용하여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한다.

     차의 탄닌에 가까운 활성이 있다.

5) 정장작용

   - 장(腸)의 기능을 바로 잡아 줌(식물섬유)


※ 비타민P : 플라보노이드 (flavonoid)란 식품에 널리 분포하는 황색 계통의 색소로 비타민 P(투과성 비타민) 또는 비타민 C2(비타민 C의 상승제)라고도 한다. 항균·항암·항바이러스·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을 지니며, 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모든 질병의 원인이 되는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한다.


4. 블루베리의 기타 기능성

1) 콜레스테롤 과의 관계

   - 블루베리에 포함된 프테로스틸벤(pterostilbene) 성분이 콜레스테롤 저해제와 동등한 효과를 보이면서도 부작용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 알츠하이머와의 예방


3) 혈당을 안정시켜 줌 : 당뇨병을 예방

   - 연구결과 안토시아닌을 투여한 마우스들의 췌장 베타세포는 대조그룹에 비해 인슐린  생성량이 50% 정도까지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이르 박사는 "구체적으로 어떤 기전을 거쳐 안토시아닌이 인슐린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현재 그의 연구팀은 비만하고 당뇨병 증상을 보이는 마우스들을 대상으로 안토시아닌의 인슐린 생성량 증가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후속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4) 노화방지 및 암의 예방


5) 심장질환의 예방



5. 블루베리의 시험성적 자료

Independent Laboratory

CERTIFICATE OF ANALYSIS

 

COMPANY:   Flavonoid Sciences

DATE:   April 10, 2005

 

Product Name:

SKU Number:

Mfg Date:

Flavonoid Sciences

Wild BlueBerryIQ

(45 softgels)

5657400000

02/05

 

 

Analyte

Result

Unit

Phytonutrient Summary

     Organic Acids

110.6

mg / cap

     Amino Acids

16.98

mg / cap

     Fatty Acids

1.705

mg / cap

     Carotenoids / related

2.966

mg / cap

     Phytosterols

1.642

mg / cap

     Anthocyanins

42.61

mg / cap

     Flavones / Isoflavones

11.27

mg / cap

     Saccharides

1.064

mg / cap

     Terpenes

0.322

mg / cap

     Condensed Tannins

20.94

mg / cap

     Vitamins

          folacin

5.073 

mcg / cap 

          niacin

0.124

mg / cap

          pantothenic-acid

0.306

mg / cap

          riboflavin

0.443

mg / cap

          thiamin

0.918

mg / cap

     Biopolymers

56.48

mg / cap

Nuritional Summary 

     Total Carbohydrate

70.29

'나무들 > 유실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팥배나무  (0) 2006.04.30
오미자 재배  (0) 2006.04.30
생열귀  (0) 2006.04.30
정금나무  (0) 2006.04.30
생열귀  (0) 2006.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