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나무

나무신장님께의 질문과 답변

지리산자연인 2006. 5. 8. 19:54

산청은 이번달 20일경 내려갑니다
가면.... 글쎄요
제가 먹고 살길을 찾기는 어려울듯...
나무들 베어내고 새로 심는다고 했는데....
글쎄요 잘될지...

그거 팔고 의성 제 땅옆에 새로 또 땅을 살까도 생각중입니다
어제는 국제원예종묘에 전화해서 여러가지 물어봤습니다
점토(황토)인데 나무 키우려면 어떡하냐고 했더니
배수로를 잘 파주어야 한다고 하네요
에고.... 이제 고생길이 열렸습니다
뭐 경운기로 배수로 내면 쉽겠는데...
삼만평이니 임도도 내야겠고...
나무심을때 물과 나무같은걸 나르려고 당나귀나 소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랬더니 경운기가 편할거라고 하네요
누구는 봄에는 겨울에 녹은 눈이 있으니 물 안 줘도 된다고 하고...
고로쇠나 자작나무, 거제수나무, 박달나무, 벌나무 같은건
두평에 하나 심으라고 하네요
제 생각엔 산에 보니 한평에 한그루 이상씩도 잘만 자라던데요
그리고 두릅이나, 음나무, 가죽나무 같은건 한평에 세그루 심으라고 하고...
님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제 계획은
이렇습니다
나무수액용으론 *고로쇠, *자작나무, 박달나무, *물박달나무, 피나무, 서나무, *거제수나무, 헛개나무,
*다래나무, 머루, 개머루나무, *캐나다산 설탕단풍나무를 심고...
순 채취용으론 참옻나무, *가죽나무, *음나무, *두릅나무, 기타 나무순을 쓸수 있는
다래나무 같은걸 심고...
유실수로는 다래나무, *초피나무, *산초나무, 앵두, 살구, 머루, *정금, *블루베리, 복분자나무를
심고...
약용나무로 벌나무나 느릅나무, 노각나무, 두충나무, *가시오가피나무 같은걸 심으려 합니다
또 기타 조경수들도 심고
무농약으로 단풍나무잎이 좋다하니 조금 심고요..
그리고 나무들 사이엔 각종 산나물과 몸에 좋다는 식물들 심으려구요

*표한 나무들은 특히 제가 관심이 있는 나무들입니다
앞으로 의성에 땅을 더 산다면...
산 하나는 전부 캐나다산 설탕단풍나무와 산초, 초피나무를 심을 생각입니다
이만오천평 정도되는 땅이 매물로 나온게 주변에 또 있거든요

님의 생각은 어떠하신지요?
질문은
1.   큰 나무들을 나무장사꾼 말대로 꼭 두평에 하나씩 심어야 하는지....
2.   점토질인데 문제 없을지...
3.   큰 나무들 사이에 다른 나무 심지 말라는데 저는가시오갈피 같은 걸 심고 싶은데
그래도 되는지...
4.   *표 한 나무들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5.   소나 당나귀를 사용해서 물건 나르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6.   기타 제게 조언해 주실 사항들 있으시면 말씀해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꾸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답글을 달 자격이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어쨌든 약속을 어기게 되어 죄송합니다.
1. 산은 대부분 넓으므로 크게 클 나무를 심을 때는 빾빽하게 심을 경우,     다른 잡목이 안자라는 좋은 점이 있긴 하지만 심은 나무가 어느 정도   성장한 이후엔 반드시 간벌을 해줘야 남은 나무가 실하게 자란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비용에 관계가 없고 수고를 할 생각이라면 배게 심어도 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장사꾼 말대로 심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한 평에 한 그루도 자란다지만 키만 커서 나무가 약하게   클 염려가 있기도 합니다.

2. 점토질(황토)도 나름이겠지요. 아주 미세한 점토질이라면 아무래도 물빠짐이나 공극에 문제가 있기에 나무가 성장하기에 좋지 않겠지만 굵은 입자가 많은 황토의 경우에는   물만 차는 땅이 아니라면 크게 문제되지 않으리란 생각이 드네요.

3. 큰 나무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양수를 심으면 나무가 쇠약해져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것 같더군요. 그래서 음수는 몰라도 가급적 안심으시는 것이 나을 듯 합니다. 차라리 반그늘에서 잘 자라는 산채종류를 심으시는 것이 어떨런지요 ?

4. 님께서 별표를 하신 나무들은 나름대로 각 용도별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이기에 대량으로 재배하셔서 상품화를 한다면 모두 가능성 있는 종류라고 보여집니다만 저도 어떤 확신을 드릴 수 있는 지식이나 견해를 가지고 있진 못합니다. 넓고 험한 산에다 재배를 하는 경우 항상 그 채취에 많은 노동력과 정성이 따라야 하므로 가급적 작업하기에 좋은 조건을 확보하여야 하지 않을지 모르겠습니다. 항상 상품화할 때 그 비용을 염두해두지 않으면
안되겠지요.

5. 산에 임도가 잘 나 있지 않을 경우 경운기를 이용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을 수반합니다. 따라서 그런 악조건이라면 차라리 님이 생각하신 그런 짐승을 이용한 운반도 괜찮겠지요. 그런데 보통 산에 심는 나무는 큰 걸 심는 것이 아니라 뿌리에 흙이 붙어 있지 않는 어린 묘목을 심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식재에 동원되는 사람들이 가지고 올라가서 심는 것 같더군요.

6. 산에 개인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그렇다고 바로 소득이 생기는 것도 아니기에 어려움에 처할 수 있기도 합니다.
   가급적 관련기관의 지원을 받아 추진하는 방법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농림부나 농진청 같은데 들어가 보시면 매년 시행하는 '농림사업지침'이라는 것이 있으니 그 사업내용중에서 해당부분을 검토하여 1년 전에 미리(통상 매년 1월중에 사업신청을 받음) 해당지역 관련부서(산림부서)와 상의하여 농림사업 대상이 되어 여러 보조(공짜로 받는 자금)나 지원(장기 저리 융자)을 받을 수 있도록 추진해 보시기 바랍니다.

   산림 복합경영에 관한 사업은 관공서 산림부서에서 대상자를 정해 상부기관에 올리고,   그 지역 산림조합에서 위탁받아 시행하기도 하는 것 같더군요.
   그리고 대상 수종중에 주엽나무도 약용수종으로 심어볼 만한 나무입니다.
  
   제가 특별한 능력이 없어 답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열심히 하시어 꿈을 이루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나무들 >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가피  (0) 2006.05.14
오가피 순  (0) 2006.05.12
[스크랩] 야생 ..약초 열매와 함께.......  (0) 2006.05.03
놀라운 복숭아 다수확 비결  (0) 2006.05.02
찔레나무  (0) 2006.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