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구경 : 난의 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형태가 구근식물의 구경과 비슷하다고 해서 이렇게 불린다. 원예용어로는 벌브(bulb), 혹은 지하경이라고 하며, 뿌리와 잎에 필요한 물질의 유통을 주된 기능으로 하고, 그 내부에 많은 전분당이있어 영양저장고의 기능도 한다. * 감복륜 : 무늬의 일종으로, 잎끝에서 잎밑부분까지 잎의 양 가장자리로 진한 녹색의 테를 두르고 있는 것이다. ***감중투 : 무늬의 일종으로, 잎 끝부분, 혹은 잎가장자리 둘레에 녹색을 남기고 잎 가운데 부분이 백색 또는 황색으로 보이는 것을 중투라고 하는데, 감중투는 잎 가운데 부분이 진한 녹색으로 나타난 것을 말한다. *** 감 호 : 무늬의 일종으로, 잎 밑부분에서부터 잎끝을 향하여 세로로 선이 나타나는 것을 호라고 하는데, 이 호가 진한 녹색으로 나타나는 것을 감호라고 부른다. *** 기 부 : 「잎의 기부」「꽃잎의 기부」등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그 사전적 의미는 「기초가 되는부분」 이다. *** 기 화 : 꽃받침이나 혀가 정형이 아니고, 꽃받침이 혀로 되거나 꽃모양이 모란이나 국화처럼 겹으로 피는등 기형화 된 꽃을 말한다. * 복 륜 : 잎에 나타나는 무늬가 잎끝에서 잎밑을 향하여 잎 가장자리에 백, 백황, 황색의 선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복륜은 생김새에 따라서 좁고 가늘게 나타나는 것을 대복륜 또는 심조복륜이라 부른다. 새촉이 나올때부터 무늬를 가지고 나오는 것(선천성)은 백, 백황색으로 나타나며, 이들은 꽃에도 무늬가 나타난다. 새촉은 파랗게 나와서 자라면서 황, 황백색으로 나타나는 것(후천성)은 꽃에 무늬가 나타나지 않는다. *** 복륜호 : 복륜계와 호계의 중간 형태로 잎에 복륜이 나타나면서 호가 함께 나타나는 것이다. *** 봉 심 : 난꽃의 외삼판(외삼판:주판.부판)안쪽에서 전면을 향하여 나와있는 두 개의 꽃잎을 향한다. 내이판 또는 심판이라고도 한다. 봉심은 색상이 말고 윤기가 있으며, 부드러운 느낌을 주면서 반합배의 형태로 선단부에 살덩이가 붙은 것을 귀품으로 여긴다. 잠아봉심, 관음봉심, 경봉심, 착이봉심, 묘이봉심등으로 분류된다. *** 부 판 : 한국춘란(동양란)의 꽃은 일반적으로 외삼판, 내이판, 혀, 비두등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외삼판은 바깥쪽 3장의 꽃잎을 말한다. 화분괴(꽃가루 덩어리)가 붙어 있어 바람이나 곤충에 의해 암술에 닿아 수정이 이루어진다. *** 사피 : 황색이나 황백색의 호반(호랑이 무늬)안에 초록색의 작은 점들을 밤하늘의 별처럼 불규칙하게 뿌려 놓은 형태이다. 무늬의 형태에 따라서 잎의 전체적인 면에 넓게 나타나는 것을 전면사피, 여기저기에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것을 산반사피라고 부르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타나는 무늬를 단절사피라고 한다. 사피는 선천성으로 새촉이 자랄 때부터 나타나지만 대부분 자라면서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 산반 : 가늘고 섬세한 무늬들이 뭉쳐진 선들의 집합체로 섬세하고 아름답다. *** 산반호 : 산반과 호의 중간적인 무늬 형태이다. 잎 끝이 아름답게 보이며 호처럼 무늬가 선명하지 못하지만 길고 깊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 생강근 : 난꽃에서 수정이 이루어진 후 씨방이 자라 종자를 형성하면 씨방이 터지고 바람에 종자를 날려 보낸다. 이 종자가 주위의 난균의 도움으로 발아하여 형성되는 일종의 구근이 생강근인데 벌브의 모체가 된다. *** 서 : 잎에 나타나는 무늬의 일종으로 무늬의 빛깔이 부드러우나 아름답고 선명하지는 않다. 새촉은 백색이나 황색으로 나오지만 점점 녹색이 진해지면서 잎끝에 조금 남는 경우가 많다. *** 소 심 : 혀의 바탕색이 한 가지 색깔로 통일되어 청아한 기품이 있는 꽃이다. 혀에서 볼속 깊숙이 까지 반점이 전혀 없는 것을 순소심, 담황색인 것은 황태소, 담록색인 것은 녹태소라고 한다. 겉에서 볼 때에는 소심같지만 안쪽 깊숙이 반점이 있는 것을 준소심이라 부른다. 혀의 안쪽에 분홍색을 띠고 있는 것은 도시소, 혀 전면에 바늘로 찔러 놓은 것 같은 느낌이 있는 것은 자모소, 혀 전면이 홍색인 것은 주사소라 한다. *** 원평호 : 잎의 가운데를 경계로 하여 한쪽은 녹색이고 다른 한쪽은 모두 무늬의 색으로 나타나는형태이다. 복륜의 세력이 좋아지면 원평호로 되는 경향이 있다. *** 유령 : 잎에 녹색 부분이 전혀 나타나지 않고 전체적으로 백색이나 황색이 된 것을 말한다. *** 중압호 : 중투호에 포함된 일종으로 일끝 녹색의 모자가 잎 중앙을 향해 누르는 듯이 깊게 씌워져 있는 형태의 무늬, 호에서 최상급으로 여기는 무늬이다. *** 중투 : 잎의 끝부분에 녹색의 조 또는 복륜을 남기고 나머지 잎 부분에 무늬를 나타내는 상태로 복륜반과 반대로 된 것을 말한다. 이때 잎 중앙의 잎가운데가 반드시 백색이나 백황색의 무늬로 되어 있어야 한다. *** 중투호 : 잎밑에서 잎끝을 향하여 녹색의 호가 올라가는 것과 잎끝에서 녹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내려오는 경우이다. 중투호의 조건도 중투와 마찬가지로 잎 끝부분에 조나 복륜형태의 녹색바탕을 남길 것, 엽심이 백색 또는 백황색으로 비쳐 보여야 할 것이 중요한 점이다. 중투호는 고정성과 안정성이 훌륭하여 뛰어난 명품이 많으며, 무늬의 아름다움과 화려함으로 인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