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스크랩] 상황버섯 이렇게 좋데요 ^.^

지리산자연인 2006. 8. 23. 21:32


가리온 출판사에서 2006년 6월에 '암 잡는 상황버섯'이란 책을 출간하였습니다.
저자는 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 김하원 교수와 이동희 교수입니다.
여기에서는 요약된 책의 일부내용을 적어놓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상황버섯의 베타-글루칸 면역 강화작용

* 항암작용이 우수하다.
상황버섯의 항암작용은 매우 우수한데 그것은 바로 베타-글루칸에 의한 작용이다.

* 항암제의 작용을 증강시켜준다.
암 치료시 화학요법으로 항암제를 주사 맞는 경우에 항암제의 작용을 강화시켜준다.

* 면역기능을 높여준다.
상황버섯의 베타-글루칸은 면역기능을 종합적으로 강화시켜 암 예방, 암 억제, 암전이 억제,
재발 억제 등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암환자는 면역능력이 매우 저하되어 있다.
베타-글루칸은 부작용 없이 간에 부담도 주지 않으면서 면역능력을 높여준다.

* 방사선 부작용을 낮춰준다.
암 치료시 방사선을 쪼이면 면역세포가 제일 먼저 죽는다.
베타-글루칸은 면역세포수를 늘려준다.

* 암전이를 막아준다.
베타-글루칸이 면역능력을 강화시켜 주므로 혈액중의 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혈액을 통해 다른 장기로 암이 전파되는 것을 막아준다.

* 암세포를 자살시킨다.
암세포가 스스로 죽도록 유도하는 작용이 있다.
상황버섯은 다른 버섯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도 암세포를 자살시킨다.

* 혈관생성을 억제한다.
정상인에게는 추가로 혈관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암환자에게는 암세포를 먹여 살리기 위하여 혈관이 추가로 생기는 혈관신생이 발생한다.
상황버섯의 베타-글루칸은 혈관신생을 억제하여 암의 성장을 억제시킨다.

* B 세포를 늘려준다.
상황버섯의 베타-글루칸은 항체를 생산하는 B 세포 개수를 늘려줌으로써 면역력을 높여준다.

* 일산화질소(NO)를 생성시켜준다.
대식세포가 만든 NO는 기체이지만 혈액을 통하여 암세포를 죽이기도 한다.

* 암 괴사인자 분비를 늘려준다.
대식세포는 암 괴사인자를 분비한다.
상황버섯의 베타-글루칸은 암 괴사인자 분비를 촉진하여 암세포가 자살하는 것을 도와준다.

* 수지상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수지상세포막에는 베타-글루칸 수용체인 덱틴-1이 있으므로 베타-글루칸은 면역을 강화시킬 수 있다.

* 전립선암도 억제시킨다.
상황버섯의 우수한 항암작용은 전립선암도 억제시킨다. 실제로 일본에서 사람에게
상황버섯의 베타-글루칸을 복용시킨 결과 전립선암을 퇴치시킨 임상결과가 보고 되기도 하였다.

* 임파구를 활성화시킨다.
베타-글루칸은 T 임파구와 B 임파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집중적으로 공격한다.

* 먹어도 작은 창자에서 흡수가 잘 된다.
베타-글루칸은 위장에서 분해되지도 않으며,
작은창자의 M 세포를 통하여 쉽게 흡수되어 면역세포와 만난다.

* 덱틴-1을 통하여 면역력을 높인다.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 막에는 덱틴-1이라는 수용체가 있으므로 이곳을 통하여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킨다.

- 차 례 -
책머리에 - 상황버섯의 우수한 항암작용 과학적으로 입증돼
제1장 암의 정체와 암이 생기는 이유
암은 철부지 세포 / ..........
제2장 한국인의 단골 암
한국인이 잘 걸리는 암 /.........
제3장 암 치료법
초기 암과 말기 암은 목표가 달라 / ..........
제4장 상황버섯의 우수한 항암 작용
버섯은 곰팡이 계 / ..........
제5장 면역세포 마침내 암세포를 죽이다
면역세포는 어디서 태어나는가? / ..........
제6장 베타-글루칸과 수지상세포
숨어 있는 암을 잘 찾아내는 수지상세포 / ..........
제7장 상황버섯 복용법
하루 5g 이면 적당하다 / ..........
참고문헌
상황버섯과 덱틴-1에 대한 주옥같은 연구논문


출처 : 곧은터 사람들
글쓴이 : 와우리아줌 원글보기
메모 :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뇌를 맑게 하고 정신을 편안케 하는 버섯 - 복령(식약용)  (0) 2006.08.27
[스크랩] 메꽃  (0) 2006.08.24
지황재배  (0) 2006.08.22
작약 재배  (0) 2006.08.22
결명자 재배  (0) 2006.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