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결명자 재배

지리산자연인 2006. 8. 22. 20:18
제  목      결명자 재배 기술
작성자    김동관 작성일    2001-12-26 00:00:00 조회    340
첨부파일    B060101.html
 
결명자 재배 기술

기관 : 경기도원
주소 : 수원시 권선구 탑동 88-2
성명 : 최 병 렬
전화(집) : 031-232-1595 (031-296-2287)

1. 용도와 주성분

가. 용도

결명자(Cassia tora L.)는 콩과에 속하는 1년생초본으로 종자를 약용외에도 보리차처럼 볶아서 차를 다리면 아름다운 색택가 은은한 향기가 있어서 누구나 애용하고 있다. 약용으로는 청간, 명목, 이수, 완하에 효능이 있어서 간염, 간경화성복수, 결막염, 청맹, 고혈압, 습관성변비 등 치료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하리, 저혈압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나. 주성분

잎에는 캠페린(Kaemferin),종자에는 루부로후사린(rubrofusarin), 베타 - 시토스테롤 (β - sitosterol), 오레익(oleic), 리노레익산(l- inoleic acid), 에모딘(emodin), 카로틴(carotin)등이 함유되어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수출실적 및 가격동향

가. 수출실적

농가에서 생산된것을 국내시장에 공급하고 그 잔량을 수출하고 있는데 표1에서 보는바와 같이 수출량은 그리 많치않으나 매년 계획 수출이 이루어진다면 앞으로 외화획득이 기대되는 작목이라고 생각된다.

표1. 년도별 수출실적

년도별 '84 '85 '86 '87 '88 '89
수츨량(kg) 1,450 8,806 8,850 - - 8,950

나. 가격동향

약초재배에서 가장 문제점의 하나는 과잉생산에 가격하락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결명자는 '83년이후 년차간에 변동은 있으나 재배농가의 수취가격이 대체로 증가되고 있어서 계속 소득이 증가될것으로 생각된다.

표2. 농가 수취가격 변동

년도별 '83 '84 '85 '86 '87 '88 '89
가격(원/600g) 589 928 1,050 595 670 1,230 950

3. 결명자의 특성

결명자는 북미원산인 1년생 초본으로 간장은 1m내외이며 잎은 마주 붙고 짝수인 깃모양 복옆으로 2 ∼ 4쌍의 작은 잎이 달리며 작은잎은 거꾸로된 계란모양이다. 꽃은 6 ∼ 8월 옆맥에 황색 나비모양으로 피며, 열매는 8∼9월에 활같이 구부러진 15cm내외의 긴 꼬투리를 맺으며, 종자는 마름모양으로 말굽같이 생겼으며 한쪽은 뾰족하고 황갈이나 녹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길이는 4∼7mm, 폭은 2∼3mm이다.


4. 재배상의 유의점

가. 서북향의 음습한곳은 피하고 중남부의 따뜻하고 햇빛이 잘쪼이 는 곳에 재배하는것이 좋다.

나. 지나치게 비옥하거나 질소질이 많은 땅은 피하고 비옥토가 중정도이고 배수가 잘되는 식질양토, 양토, 사양토에 재배하는것이 결실에 좋다.

다. 한여름 일사량이 많고 너무 건조하면 생육이 억제되고 흡사 콩의 괴사병과 같이 줄기나 가지의 끝에서부터 까맣게 말라죽기 시작하므로 수시로 관수해주어 건조를 막아야 한다.

라. 연작하면 콩의 괴사병증과 같은 병해가 발생하므로 2 ∼ 3년간 다른작물을 윤작한후에 재배하여야 하고 만일 콩괴사병증이 발생되면 즉시 뽑아 태워야 한다.

마. 딱딱한 종자이므로 그대로 파종하면 출아시일이 오래 걸리고 균일하지 않으므로 하루정도 물에 침종하였다가 10a 당 1.5ℓ정도의 종자를 전포장에 균일하게 파종하여야 한다.


5. 재배기술

가. 품종선택

어떤 농사를 막론하고 안전다수확을 하려면 좋은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여야 하지만 결명자의 품종은 단일종 이다. 다만 종자용으로는 병이 발생되지 않은곳에서 채종한 충실한것이 좋다. 참고로 유사한 명칭으로 석결명, 초결명, 망결명은 이종은 비숫하나 전혀다른 식물이다.

나. 파종기

결명자의 파종기는 4월상순∼6월로 규정하고 있으며, 농가에서도 4월상순∼6월하순까지 파종하는 실정이어서 파종적기가 일정하지 않 고 파종기폭이 너무 넓어서 파종적기를 알수없을 뿐만아니라 품질 및 수량차이가 클것으로 보여서 경기도 농촌진흥원에서는 화성포장에서 재래종을 공시하여 4월 5일부터 15일 간격으로 6월20일까지 60×25cm로 점파하여 10월중순에 수확한 결과 4월 5일 (332kg/10a)에 비하여 5월5일 10%, 4월 20일 6%증수 되었으며 6월중 파종은 감수되었고 특히 6월 20일 파종은 현저히 감수되어 실용적 재배가치가 없는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결명자의 안전다수를 위한 파종적기는 4월하∼5월상순으로 생각된다(표3).

표3. 파종기별 수량('88∼'89 경기)

파 종 기 4.5 4.20 5.5 5.20 6.5 6.20
종실수량(kg/10a) 332 351 364 331 276 132
종 실 지 수 100 106 110 100 83 40

다. 재식밀도

결명자는 가지치기를 많이하고 간장이 1m내외인 약용작물로 재식밀도를 휴폭은 45∼75cm, 주간은 15∼21cm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재배농가의 재식밀도도 다양하다. 따라서 화성에서 재래종 결명자를 공시하여 재식밀도를 구명코자 휴폭을 50cm와 60cm의 2가지로 ㎡당 재식 주수를 5주, 8주, 11주 등 3재식밀도로 4월20일 점파한 결과 휴폭간에서나 재식밀도간에 수량차이는 없었으나 파종노력 절감면에서 ㎡당 5주에서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5주인 50×40cm나 60×33cm로 재식함이 합리적인 재식밀도로 보였다 (표4).

표4. 재식밀도별 수량('88∼'89 경기)

휴 폭 ㎡당 재 식 주 수
5 주 8 주 11 주 평 균
50 cm 316 317 308 314(100)
60 cm 317 313 318 316(101)
평 균 317(100) 315(99) 313(99) 315

※ ( ) 내는 종실중 지수임.


라. 3요소 시비량

결명자의 시비량은 자료에 따라서 차이가 심하며 10a당 퇴비 1,200kg, 계분 200kg, 복합비료 30kg, 염화가리 10kg을 시용하거나 또는 두엄 400kg, 유안 15kg, 과석 30kg, 염화가리 7kg과 인분뇨 600kg을 시용하는 것이 알맞다고 하는 등 다양할 뿐만 아니라 재배농가의 시비량도 각각 다름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재래종을 화성 사양토 포장에 공시하여 3요소 시비적량을 구명코자 무비, 관행 유기질비료구등을 포함 15개 처리로 5월10일 휴폭 60cm 주간 25cm로 점파하여 10월 중순에 수확한 결과는 표5와 같다.

표5. 3요소 시비량

시 비 량 무 비 관 행 3 요 소
종 실 수 량 233 265 269
지 수 88 100 102

※ 3요소구 : 질소 8kg, 인산 10kg, 가리 10kg/10a

10a당 시비량은 농가관행 (퇴비 1,200kg, 계분 200kg, 복비 30kg, 염가 10kg/10a)보다 크게 증수 되지는 않았지만 N - P₂O5 - K2O = 8 - 10 - 10kg에서 가장 증수되는 경향을 보여서 퇴비와 화학 비료의 혼용가능성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관행 시비량으로도 크게 무리는 없을것으로 보였다. 그러므로 결명자 재배에 알맞는 10a당 시비량으로는 질소 8kg, 인산 10kg, 가리 10kg을 시용함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마. 잡초방제

약초재배에서는 어느것이나 막론하고 잡초방제에 많은 노동력이 투하되고 있어서 생력재배의 요점은 초기의 잡초방제에 있다. 결명자 재배에서도 초기의 생력 잡초방제가 절실하며, 적용약제 및 약량은 표6과 같다. 즉 파종후 3일 이내에 10a당 마세트입제 3kg이나 랏쏘입제 2kg을 살포하는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표6. 제초제 사용효과 ('78∼'79 작시)

제초제별 손 제 초 랏쏘입제 마세트입제
시용약량(kg/10a) - 2 3
종실수량(kg/10a) 149 176 122
지 수 100 118 129

6. 맺는말

결명자 재배법을 요약하면 무병지에서 채종한 충실한 종자를 파종 적기인 4월하∼5월상순에 ㎡당 5주인 50×40cm나 60×33cm로 점파한 후 10a당 마세트입제 3kg을 살포하여 초기의 잡초를 방지하고 자람에 따라서 조기에 솎아주거나 보식하여야 한다.

그리고 10a당 시비량은 질소 8kg, 인산 10kg, 가리 10kg이며 이중 질소 4kg과 가리 3kg은 추비로 기타는 전량기비로 주는것이 알맞다.

<참고문헌>

1. 채규창외 3인, 1989. 주요약초 재배법 구명 시험, 경기연보 : 194∼196.

2. 정보섭, 1989. 원색천연약물 대사전, 남산당 : 371. 489.

3. 이원호. 1983. 약초재배법과 야생약초 이용법, 장학출판사 : 91∼93.

4. 이승택외 2인, 1979. 약용작물 재배법 시험, 작시(특작) : 264∼265.

5. 육창수외5인, 1982. 한약의 약리, 성분, 임상응용, 계축문화사 : 385∼386.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황재배  (0) 2006.08.22
작약 재배  (0) 2006.08.22
우슬 재배  (0) 2006.08.22
배초향 재배  (0) 2006.08.22
지치 재배  (0) 2006.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