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배초향 재배

지리산자연인 2006. 8. 22. 19:56
 
 
일반특성 재배기술            생산 및 유통    연구관련정보
주요연구결과 주요통계 관련자료  
☞자료제공

 자세한 정보는 주요연구결과, 관련자료에서 검색하여 활용하세요.

목록

sub1_icon.gif

일반특성

top.gif

1. 식물명

식물명 : 배초향(排草香)
학   명 : Agastache rugosa(FISCH et Meer)O. Kuntze.
생약명 : 곽향(藿香)
이   명 : 合香, ?羅香, 排香草, 土藿香, 大薄荷, 野薄荷, 薄荷, 방애잎, 방앳잎, 방아잎, 방한잎,               중개풀, 참쇄기, 大藿香, 川藿香, 鐵馬鞭, 家猫香, 描把, 描把蒿, 仁丹草, 拘尾巴香,
             拉拉香

2. 분포 및 형태

형태 : 다년생 초본으로 50~150cm정도 곧게 자라는데 줄기는 4각형이며 잎은 對生하고 卵狀心藏形으로서 톱니가 있어 끝이 뾰족하게 밑 뒷면에 약간의 털이 있어 7~9월에 자주색의 輪傘花序로 꽃이 피며 9~10월경에 열매가 성숙됨.
분포 : 우리나라 전역의 산야지 계곡, 약간 습기있는 곳에 자생한다.
많이 재배되는 곳 : 경북 경산, 전남 해남, 순천, 구례, 여수, 경남 하동

3. 성분, 이용 및 품질기준

성분 : methylchavicol(estragole) eugenol limonene caryophyllene, rosemary acid linolenolic acid, palmitic acid, glutamic acid, histidine, serine, proline 등
용도 : 頭痛, 腹痛, 嘔吐, 泄瀉, 痢疾, 寒熱, 감기, 下痢, 口臭, 中風, 消化不良, 胃炎, 腸炎, 惡心, 腫氣, 腫毒, 風濕, 高血壓, 糖尿
효능 : 制吐, 止瀉, 抗眞菌, 健胃, 解熱, 解署, 發表 등
품질기준(약전, 생약규격집)
순도시험

이물 : 이 약은 뿌리와 그밖의 이물이 2.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된다.
회 분 : 8.0% 이하 산불용성, 회분 2.5% 이하
정유함량 : 0.3㎖ 이상(50.0g)
등 급 : 양품→ 이 약은 황녹색이고 약간의 쓴맛을 지녀 부드러우며 특이한 향기가 강하고 길이 2~3cm, 0.9~1.1cm로 잘게 썰어야 한다.

sub1_icon.gif

재배기술

top.gif

1. 재배환경 및 적지선택

가. 기 후
비교적 추위에 잘 견디는 중북부지역에서도 잘자라지만 이른 봄에 새싹이 나오므로 서리
    피해를 받지 않는 남부지역에서 재배가 유리함.
일사량이 많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품질도 좋음.

나. 토 양
토심이 깊고 어느정도 습기가 유지되는 물빠짐이 좋은 곳인 양토나 사양토임.
지나치게 건조하면 발아율이 저하되고 장마철 배수가 불량하면 뿌리가 썩어 말라죽음.

2. 품종

가. 품종명 : 연구기관에서 육성 보급된 품종은 없으며 자생 및 농가에서 재배해온 지방수집종이
     주종을 이룸.

나. 주요특성
     장경, 다분지성, 엽장폭이 크고 경엽 다수성임. 정유성분 함량이 높고 주요 성분함량이
     높음

다. 재배상 유의점
채종방법 : 척박한 토질에서는 건조하며 위조현상이 발생하고 장마철 배수불양 토양에서는
                    뿌리가 썩어 고사됨.
생육초기에 질소성분이 많아 생육이 너무 좋으면 개화가 빨라지므로 후기에 추비중점
    시비로 재배할 것

3. 종묘번식 및 채종

가. 번 식 : 종자 및 포기나누기(分枝)

나. 채종방법
직파재배, 온상육묘이식재배 : 1~2년생에서 채종
타화수정작물이므로 격리채종 할 것

4. 경종기술

가. 재배양식
직파재배
    - 노지재배 : 춘파 1년생(3월 상,중순, 3월 하순~4월 상순 파종, 수확-1차: 8월 중순, 2차:
       10월 중,하순), 2~3년생(수확-1차: 7월 상순, 2차: 10월 상순), 추파 : 발아율이 저조하고
       동상해 피해율이 높아 재배가 어려움
    - 하우스재배 : 추파 1년생(10월 상,중순 파종, 수확-1차: 7월 중순, 2차: 9월 중,하순), 2~
       3년생(수확-1차: 6월 중순, 2차: 9월 상,중순), 춘파 1년생(3월 상,중순 파종, 수확-1차:
       8월 상순, 2차: 10월 상,중순), 2~3년생(수확-1차: 6월 하순, 2차: 9월 중,하순, 10월상,
       중순)
온상육묘 이식재배 : 10월 상순, 3월 중,하순(남부), 1년 육묘, 4월 중,하순(남부) ~ 5월 상
    ,중순(중부) 이식, 10~11월 수확
채종재배 : 수확시 망실재배로 채종포 설치, 1~2년생 종자생산

나. 파종 및 육묘(묘기르기)
1) 묘판적지
햇빛이 잘들고 통풍이 좋은 동남향의 밭을 선택
비옥도가 중정도인 참흙, 흑모래참흙 물빠짐이 좋고 보수력이 좋은곳
2) 묘판면적 (10a당) : 산 파 15~19㎡(4.5~5.7평) 조 파 20~30㎡(6~10평)
3) 파종시기
직파재배-하우스(추파: 10월 상,중순, 춘파: 3월 상,중순), 노지(남부지방: 3월 상,중순,
    중북부지방: 3월 하순~4월 상순)
육묘이식재배(추파: 10월 상,중순, 춘파: 3월 상,중순)
4) 파종량(10a당) : 육묘이식재배: 30~60g, 직파재배: 점파 25~30g, 조파 50~60g
※ 산파시 2g/㎡ 기준(0.26g/1,000립)
5) 침종(발아억제 물질제거) 및 소독
흐르는 물에 1~2일간 침종
종자소독 : 벤레이트티 1,000배액에 1~2시간 소독한후 맑은 물로 씻거나 분의 처리한
    다음 파종
30~35℃에서 2~3일간 처리후 발아되기 전에 파종
6) 파종방법 : - 산파 120cm 이랑에 산파
   - 조파 120cm 이랑에 30cm 간격 조파
   - 종자가 않보일 정도(1cm) 흙덮음
7) 묘판관리
   - 시 비 : 10㎡당 완숙퇴비 10kg, 복합비료(17-21-17) 300~350g 전층시비
   - 수 분 : 파종후 짚, 왕겨로 피복하고 충분히 관수할 것
   - 병충해방제 : 입고병, 진딧물, 응애 등
   - 묘가 5~8cm 자라면 밀생한 곳은 솎아주고 풀을 뽑아준다.

다. 아주심기(定植)
1) 묘가리기 : 묘 크기는 5~10cm 정도로 굵고 건실한 묘 선별
2) 정식시기 : 4월 중순~하순, 5월 상순~중순
정식후 활착이 잘되도록 차광망 설치하거나 볏짚등을 피복함
3) 재식거리 : 직파재배- 밀식(조간 30cm, 주간 20cm), 소식(조간 60cm, 주간 30cm)
육묘이식재배 : 조간 25~30cm, 주간 15~20cm
4) 정식방법
묘가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고 흐린날을 택하거나 비가 와서 습기가 충분할 때 정식
15~20cm 깊이로 골을 파고 45°각도로 세우고 심는다
5) 피복재배
흑색비닐 피복재배로 잡초발생 억제되고 노동력 절감, 지상부 생장량 양호

<개체>
<군집>
<개화>

라. 거름주기
유기질 비료는 퇴비 3,000kg를 시용하거나 계분 50kg+유박 50kg 복합시용시 수량증대
    및 품질향상
화학비료 시용 :
    1년생(기비-퇴비2,000kg, 요소16kg, 용과린50kg, 염화가리11kg, 추비-7월상순~중순,
     8월하순~ 9월상순에 요소5kg, 염화가리 3kg씩 2회 분시함)
     2~3년생(1차 추비 : 4월상,중순 퇴비2,000kg, 요소10kg, 용성인비50kg, 염화가리7kg,
     2,3차 추비-6월상,중순, 8월상,중순에 요소8kg, 염화가리5kg씩 2회분시함)

마. 제초
파종후 1~2주일 내외가 되면 출현하고 1~2회 김매기와 함께 주간거리를 20~30cm 정도
    로 솎아내고 결주된 곳에 옮겨 심는다. 옮겨 심은 후 초기생육이 저조하므로 초기에 잡초 방
    제를 하지 못하면 방제하기가 어렵다.
배초향밭 잡초에 적용되는 고시된 제초제는 없으나 잡초 2~3매 정도일 때 중기제초제인
    나브, 원싸이드 유제 100~150㎖/10a를 사용한다.

바. 주요관리
장마철에 배수가 안되면 뿌리가 부패하기 쉬우므로 배수로 관리에 철저를 기한다.

5. 병해충 및 재해방지

가. 병해충 방제 : 식물 자체의 향이 진하여 병충해가 별로 없으므로 농약 사용은 지양할 것
1) 병해 : 갈색점무늬병, 줄기(뿌리)썩음병, 흰가루병
2) 충해 : 거세미, 굼벵이, 응애, 뿌리혹선충

나. 재해방지
1) 연작장애 : 연작을 싫어하므로 돌려짓기
2) 습 해 : 장마기에 배수불량시 습해가 심함

6. 수확 및 건조

가. 수확시기
1년 파종으로 수확후 2~3년 동안은 재파종하지 않아도 수확이 가능함.
    - 하우스재배: 추파 1년생: 1차(7월중순), 2차(9월중,하순), 2~3년생: 1차(6월중순), 2차
       (9월상,중순), 춘파 1년생: 1차(8월상순), 2차(10월상,중순), 2~3년생: 1차(6월하순), 2차
       (9월중,하순)
     - 노지재배: 1년생: 1차(8월중순), 2차(10월중,하순), 2~3년생: 1차(7월상순), 2차(10월상순)

나. 건조방법 :
6~9일 정도 천일건조하거나 건조기를 이용한 송풍건조(60℃, 풍속4m/초, 12시간) 또는동
    결건조(40℃, 42㎜ Torr/㎛2, 8시간)하면 색깔과 향기 성분의 함량이 높았음.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에 생엽을 채취한 후 고르게 차곡차곡 펴서 밀봉포장하여
    저온저장고(0℃)에 보관으로 장기저장이 가능함.

<줄기>

7. 특수재배
쌈용 잎채소 재배 : 겨울동안 온상에서 재배

sub1_icon.gif

생산 및 유통

top.gif

1. 생산수급
 
 가. 국내생산 현황
구  분
’91
’92
’93
’94
’95
’96
’97
’98
’99
재배면적(ha)

 

0.3
0.5
0.7
3
5
10
5
20
생산량(M/T)

 

48
85
130
615
1,060
2,340
3,600
5,100
단수(kg/10a)

 

160
170
185
205
212
234
240
255

 2. 생산자 현황  
  

 가. 생산 및 수요자 단체
단  체  명
대 표 자
소 재 지
규 모(ha)
전   화
생약협회 경산공판장
배 성 한
경북 경산시 중앙동
6.7
053-815-0077
박 남 재
박 남 재
전남 해남군 해남읍 남동리
1
061-536-4620
별천지가든
연 만 근
전남 순천시 용당동 743-8
0.4
061-752-1630

 나. 가공 및 수출입 단체
단  체  명
대표자
소 재 지
가공내용
전   화
생약협회경산시공판장
배 성 한
경북 경산시 중앙동
가공, 판매
063-815-0077

sub1_icon.gif

연구관련 정보

top.gif

1. 관련 연구기관 및 전문가

기    관
전 문 가
주   소
전    화
농업기술원
김 명 석
전남 나주시 산포면 산제리 206-7
061-330-2664
농촌진흥청
김 정 봉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농업과학기술원
031-290-0359
농촌진흥청
이 성 우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작물시험장
031-290-6723

2. 관련기관  

가. 국내      
     전남농업기술원 : http://www.jares.go.kr
     농촌진흥청 : http://www.rda.go.kr      
     농수산물유통공사 : http://www.afmc.co.kr
     농림부 : http://www.maf.go.kr
     농협중앙회 : http://www.nacf.co.kr      
     농림수산정보센타 : http;//www.affis.or.kr   
     작물과학원 : http://www.nces.go.kr  
     농업과학기술원 : http://www.niast.go.kr

    

3. 연구정보      

가. 관련서적
서    적
발행기관
발행년도
비    고
약용작물재배
향문사
1996
약용작물재배
약초재배
농촌진흥청
1994
표준영농교본
새농민
농민신문사
1997
8월호 차세대 항산화제 대량추출

 나. 연구논문(학위논문 등 주요논문)
핵 심 정 보
기   관

 

 

배초향 재배법 확립연구 전남농업기술원 시험연구 사업보고서   1999
김명석외 5인
자원식물의 항산화물질 이용연구 농촌진흥청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 사업보고서   1996
김정봉외 2인
곽향(배초향) 재배법 확립시험 전북농업기술원 시험연구 사업보고서   1991
박현철외 3인
한국산 방아잎에서 항산화 물질 로즈마린산의 분리, 동정 및 이용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김정봉
배초향의 수확시기별 생육특성 및 로즈마린산과 정유함량의 변화 한국약용작물학회지 7(2)   1999
이성우외 3인
배향초의 생육시기에 따른 정유성분 분석 및  Estragol 함량의 변이 한국약용작물학회지 7(2)   1999
옥현충외 2인
한약자원식물인 곽향의 파종기 및 재식밀도에 따른 생장 및 수량변이 동양자원식물학회지 8(1)   1995
최경주
야생약초인 배초향의 발아 생장 생육 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동양자원식물학회지 6(2)   1993
최성규외3인
배초향의 정유성분 조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2)   1994
이종철외 3인
방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8(6)

 

  1996
지옥화외 1인
방아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연구,방아의 향기성분 한국식품과학회지 23(3)         〃        23(5)   1991
안빈외 1인
배초향 비가림 재배의 파종기와 재식밀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발표요지8(1);120~121
2000
김명석외7인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명자 재배  (0) 2006.08.22
우슬 재배  (0) 2006.08.22
지치 재배  (0) 2006.08.22
[스크랩] 큰앵초 - 우리 산야초 배우기  (0) 2006.08.22
[스크랩] 구룡초(개구리자리, 놋동우)  (0) 2006.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