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배환경 및 적지선택
가. 기 후 *
비교적 추위에 잘 견디는 중북부지역에서도 잘자라지만 이른 봄에 새싹이 나오므로 서리 피해를 받지
않는 남부지역에서 재배가 유리함. * 일사량이 많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품질도 좋음.
나. 토 양 * 토심이 깊고 어느정도 습기가 유지되는 물빠짐이
좋은 곳인 양토나 사양토임. * 지나치게 건조하면 발아율이 저하되고 장마철 배수가 불량하면
뿌리가 썩어 말라죽음.
2. 품종
가. 품종명 : 연구기관에서 육성 보급된 품종은 없으며 자생 및 농가에서 재배해온
지방수집종이 주종을 이룸.
나.
주요특성 장경, 다분지성, 엽장폭이 크고 경엽 다수성임. 정유성분 함량이 높고 주요
성분함량이 높음
다. 재배상 유의점 * 채종방법 : 척박한 토질에서는 건조하며 위조현상이 발생하고 장마철 배수불양 토양에서는
뿌리가 썩어 고사됨. * 생육초기에 질소성분이 많아 생육이 너무 좋으면 개화가 빨라지므로
후기에 추비중점 시비로 재배할 것
3. 종묘번식 및 채종
가. 번 식 : 종자 및 포기나누기(分枝)
나.
채종방법 * 직파재배, 온상육묘이식재배 : 1~2년생에서 채종 * 타화수정작물이므로 격리채종 할 것
4. 경종기술
가. 재배양식 * 직파재배
- 노지재배 : 춘파 1년생(3월 상,중순, 3월 하순~4월 상순 파종, 수확-1차: 8월
중순, 2차: 10월 중,하순), 2~3년생(수확-1차: 7월 상순,
2차: 10월 상순), 추파 : 발아율이 저조하고 동상해 피해율이 높아
재배가 어려움 - 하우스재배 : 추파 1년생(10월 상,중순 파종, 수확-1차: 7월 중순,
2차: 9월 중,하순), 2~ 3년생(수확-1차: 6월 중순, 2차:
9월 상,중순), 춘파 1년생(3월 상,중순 파종, 수확-1차: 8월
상순, 2차: 10월 상,중순), 2~3년생(수확-1차: 6월 하순, 2차: 9월 중,하순,
10월상, 중순) * 온상육묘 이식재배 : 10월 상순, 3월 중,하순(남부), 1년 육묘, 4월 중,하순(남부) ~ 5월
상 ,중순(중부) 이식, 10~11월 수확 *
채종재배 : 수확시 망실재배로 채종포 설치, 1~2년생 종자생산
나. 파종 및 육묘(묘기르기) 1) 묘판적지 * 햇빛이 잘들고 통풍이 좋은
동남향의 밭을 선택 * 비옥도가 중정도인 참흙, 흑모래참흙 물빠짐이 좋고 보수력이
좋은곳 2) 묘판면적 (10a당) : 산 파 15~19㎡(4.5~5.7평) 조 파 20~30㎡(6~10평) 3) 파종시기
* 직파재배-하우스(추파: 10월 상,중순, 춘파: 3월 상,중순), 노지(남부지방:
3월 상,중순, 중북부지방: 3월 하순~4월 상순) * 육묘이식재배(추파: 10월 상,중순, 춘파: 3월 상,중순) 4) 파종량(10a당) :
육묘이식재배: 30~60g, 직파재배: 점파 25~30g, 조파 50~60g ※ 산파시 2g/㎡ 기준(0.26g/1,000립) 5)
침종(발아억제 물질제거) 및 소독 * 흐르는 물에 1~2일간 침종 * 종자소독 : 벤레이트티 1,000배액에 1~2시간 소독한후 맑은 물로 씻거나 분의 처리한
다음 파종 * 30~35℃에서 2~3일간 처리후
발아되기 전에 파종 6) 파종방법 : - 산파 120cm 이랑에 산파 - 조파 120cm 이랑에
30cm 간격 조파 - 종자가 않보일 정도(1cm) 흙덮음 7)
묘판관리 - 시 비 : 10㎡당 완숙퇴비 10kg, 복합비료(17-21-17) 300~350g
전층시비 - 수 분 : 파종후 짚, 왕겨로 피복하고 충분히 관수할
것 - 병충해방제 : 입고병, 진딧물, 응애 등 - 묘가 5~8cm
자라면 밀생한 곳은 솎아주고 풀을 뽑아준다.
다. 아주심기(定植) 1) 묘가리기 : 묘 크기는 5~10cm 정도로 굵고 건실한 묘 선별 2) 정식시기 : 4월 중순~하순,
5월 상순~중순 * 정식후 활착이 잘되도록 차광망 설치하거나 볏짚등을 피복함 3)
재식거리 : 직파재배- 밀식(조간 30cm, 주간 20cm), 소식(조간 60cm, 주간 30cm) * 육묘이식재배 : 조간 25~30cm, 주간 15~20cm 4) 정식방법 * 묘가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고 흐린날을 택하거나 비가 와서 습기가 충분할 때 정식 * 15~20cm 깊이로 골을 파고 45°각도로 세우고 심는다 5) 피복재배 * 흑색비닐 피복재배로 잡초발생 억제되고 노동력 절감, 지상부 생장량 양호
 |
|
|
<개체> |
<군집> |
<개화> |
라. 거름주기 * 유기질 비료는 퇴비 3,000kg를 시용하거나 계분 50kg+유박
50kg 복합시용시 수량증대 및 품질향상 *
화학비료 시용 : 1년생(기비-퇴비2,000kg, 요소16kg, 용과린50kg,
염화가리11kg, 추비-7월상순~중순, 8월하순~ 9월상순에 요소5kg, 염화가리 3kg씩
2회 분시함) 2~3년생(1차 추비 : 4월상,중순 퇴비2,000kg, 요소10kg,
용성인비50kg, 염화가리7kg, 2,3차 추비-6월상,중순, 8월상,중순에 요소8kg,
염화가리5kg씩 2회분시함)
마. 제초 * 파종후 1~2주일 내외가 되면
출현하고 1~2회 김매기와 함께 주간거리를 20~30cm 정도 로 솎아내고 결주된 곳에 옮겨 심는다.
옮겨 심은 후 초기생육이 저조하므로 초기에 잡초 방 제를 하지 못하면 방제하기가 어렵다. * 배초향밭 잡초에 적용되는 고시된 제초제는 없으나 잡초 2~3매 정도일 때 중기제초제인
나브, 원싸이드 유제 100~150㎖/10a를 사용한다.
바. 주요관리 * 장마철에 배수가 안되면 뿌리가 부패하기 쉬우므로 배수로 관리에
철저를 기한다.
5. 병해충 및 재해방지
가. 병해충 방제 : 식물 자체의 향이 진하여 병충해가 별로 없으므로
농약 사용은 지양할 것 1) 병해 : 갈색점무늬병, 줄기(뿌리)썩음병, 흰가루병 2) 충해 : 거세미, 굼벵이, 응애,
뿌리혹선충
나. 재해방지 1) 연작장애 : 연작을 싫어하므로 돌려짓기 2) 습 해 : 장마기에 배수불량시 습해가 심함
6. 수확 및 건조
가. 수확시기 * 1년
파종으로 수확후 2~3년 동안은 재파종하지 않아도 수확이 가능함. - 하우스재배: 추파 1년생:
1차(7월중순), 2차(9월중,하순), 2~3년생: 1차(6월중순),
2차 (9월상,중순), 춘파 1년생: 1차(8월상순),
2차(10월상,중순), 2~3년생: 1차(6월하순), 2차
(9월중,하순) - 노지재배: 1년생: 1차(8월중순), 2차(10월중,하순),
2~3년생: 1차(7월상순), 2차(10월상순)
나. 건조방법 : *
6~9일 정도 천일건조하거나 건조기를 이용한 송풍건조(60℃, 풍속4m/초, 12시간) 또는동
결건조(40℃, 42㎜ Torr/㎛2, 8시간)하면 색깔과 향기 성분의 함량이 높았음. *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에 생엽을 채취한 후 고르게 차곡차곡 펴서 밀봉포장하여
저온저장고(0℃)에 보관으로 장기저장이 가능함.
7. 특수재배 * 쌈용 잎채소 재배 : 겨울동안 온상에서
재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