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우슬 재배

지리산자연인 2006. 8. 22. 19:57
Home > 전남농업기술원안내 > 작목별기술정보 > 특용작물 > 우슬   
 
 
일반특성 재배기술            생산 및 유통    연구관련정보
주요연구결과 주요통계 관련자료  
☞자료제공

 자세한 정보는 주요연구결과, 관련자료에서 검색하여 활용하세요.

목록

sub1_icon.gif

일반특성

top.gif

1. 식물명

식물명
: 쇠무릎
학 명 : Achyranthes japonica NAKAI.
생약명 : 우슬(牛膝)
이 명 : 牛莖, 牛夕, 百倍, 接骨草, 苦杖根, 鷄膠骨

1. 분포 및 형태

가. 분포 및 재배내력
우슬(牛膝)은 비름과(Amaranthaceae)의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여 한국과 일본, 중국에 분포하면 회우슬(懷牛膝)(Achyranthes bidentata BL)은 우리나라의 쇠무릎과 같은 기원의 식물로서 중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고 중국에서는 천우슬(川牛膝)(Cyathula officinales kuau)과 산우슬(山牛膝)(Achyranthes longifolia MAKINO)의 뿌리도 우슬로 이용되고 있음.
나. 주산지 : 전국산야에서 자라기도 하지만 중남부지역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전남 장흥, 강진, 고흥, 경북 안동, 경남 함양 등지에서 일부 재배되고 있음.
다. 형태 : 다년생 초본으로 60~5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줄기는 모난 사각형으로 녹자색에 백색 잔털이 나있고 마디에는 對生하고 타원형 또는 도란형(倒卵形)으로 엽액(葉腋)에서 가지가 발생하며 마디부위는 굵어 소의 무릎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8~9월에 녹색꽃이 엽액과 수상화서(穗狀花序)로 되며 종자는 광택이 있는 다갈색의 포과(胞果)로 타원형으로 9~10월에 여물고 뿌리에는 외피는 황갈색이고 속살은 황백색임.

2. 성분, 이용 및 품질기준

(1) 주요성분 : oleanolic계(系) saponin, steroid계(系) inokosterone, ecdysone β-sitosterol, succinic acid, betain 등
(2) 용도 및 효능 : 小便不利, 淋疾, 尿血, 經閉, 胎盤不下, 産後痢血腹痛, 四肢拘攣, 腰痛, 骨膝痛, 跌打損傷, 擁腫, 利尿, 鎭痛, 驅瘀血, 消腫, 子宮收縮, 鎭痙, 關節痛, 血壓降下 등
(3) 품질기준(약전, 생약규격집)
순도시험
줄기 및 목질근 : 이 약은 줄기 및 목질근이 5.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됨.
이물 : 이 약은 줄기 및 목질근 이외의 이물이 1.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됨.
회분 : 6.0% 이하
산불용성회분 1.5% 이하
등급 : 양품→ 이 약은 바깥면은 황갈색이고 속은 황백색이며 약간 구부러진 원주형(두께3㎜ 이하, 길이 40㎜ 이하로 절편 맛은 약간 달고 점액성, 질은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움.

sub1_icon.gif

재배기술

top.gif

1. 재배환경 및 적지선택

가. 기 후
고랭지나 준고냉지에서는 겨울에 얼어 죽지만 중부이남지역에서는 월동하며 온난습윤한
    중남부의 따뜻한 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함.
나. 토 양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은 곳이나 수분유지가 잘 되는 곳이며 양토, 사양토에 잘 자라고
    모래땅, 자갈밭 잔뿌리 많아지며 질흙에서는 뿌리비대가 잘 안되고 수확이 어려움

2. 식물분류 및 품종

가. 식물분류
(1) 원식물 :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은 한국, 일본에서 재배되고 중국의 회우슬
     (Achyranthes bidentata BL)과 같은 기원식물로 중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음.
(2) 동속식물
① 천우슬(川牛膝, Cyathula officinales KUAN) : 가지 끝에 꽃이 복취산화로 서로 여러개
    모여 콩모양을 이룸.
② 산우슬(山牛膝, Achyrantes longifolia MAKIND) : 잎이 피침형이고 잎뒷면이 자홍색을
     띄는 특징이 있음.
나. 품종
(1) 품종명 : 시험연구기관에서 육성 보급한 품종이 없고 각지역에서 자생 채취한 지방 재래종임.
(2) 주요특성
     장경, 다분지성, 다수성이며 엑스함량 및 주요 성분함량이 높음.
(3) 재배상 유의점
     파종 후 여러개가 모여 난곳은 5cm의 포기사이에 1구멍당 2본만 남기고 솎음질하여 7월 중
     하순에 주경 꼭대기에서 30cm 정도만 남기어 1차로 다시 8월 중하순에 40cm 기준으로
     2차에 걸쳐 잘라주면 도복피해 및 뿌리발육을 촉진시킴.

3. 재배법

가. 번식 및 채종
(1) 번 식 : 종자파종으로 번식하며 직파하여 재배함
(2) 채종방법
     10월 하순에 경엽이 누렇게 시들 때 생육이 양호한 포기를 낫으로 예취하여 말린후 종자을
     정선함

나. 재배양식
직파재배 : 4?5월 파종, 10~11월 수확

다. 파종
(1) 파종시기
     15~20일간 싹을 틔워 서리 피해를 받지 않는 시기에 파종하고 남부지역은 4월 상순, 중부
     지역은 5월 상순이 파종적기이며 흑색비닐 피복재배시 잡초발생억제와 뿌리비대 효과로
     수량 20% 증수됨.
(2) 파종량(10a당) : 1~2kg
※ 산파시 30g/㎡ 기준(2.30g/1,000립)
(3) 침종(발아억제 물질제거) 및 소독
종자를 망사에 담아 흐르는 물에 1~2일간 침종한 다음 4℃에서 15일간 저온 냉장처리함
종자소독 : 벤레이트티 1,000배액에 3~6시간 소독한후 맑은 물로 씻음
20~25℃에서 5~7일간 처리후 발아되기 전에 파종
(4) 파종방법 : 산파 90~120cm 이랑에 산파하거나 조파 90~120cm 이랑에 20~25cm, 주간
     5cm 간격 조파하며 점파, 인력점파기 90~120cm 이랑에 조간 20~25cm, 주간 5cm로 하
     고 종자가 않보일 정도 흙을 덮으며 파종후 짚, 왕겨 피복하여 수분유지함
    ※ 인력점파기 및 줄뿌림 파종법은 파종노력 절감, 수량증대
(5) 재식거리
     조간 20~25cm, 주간 5cm(1구멍당 2본 재배)
(6) 피복재배
     흑색비닐 피복재배로 잡초발생 억제되고 노동력 절감(20% 증수)되며 지하부 생장량이 양
     호하여 상근중 비율이 높아 수량증대됨.

라. 거름주기(10a)
유기질 비료는 혼합유박 퇴비 또는 마이티소일(안티폴)퇴비 600kg 시용할 때 지력이 증진되
   고 뿌리가 비대(肥大)되어 수량증대 및 품질향상됨(26% 증수)
화학비료 시용 : 기비-퇴비 2,000kg, 요소 24kg, 용과린 105kg, 염화가리 18kg, 추비-6월
    중순과 8월 중,하순에 요소 8kg, 염화가리 6kg씩 2회 분시함

마. 제초
발아하여 출현하면 아주 밀식된 곳은 김매기와 함께 주간거리를 5cm 정도로 1구멍당 2본만
    남기고 솎음질을 하면서 결주된 곳에 옮겨 심은 후 초기생육이 저조하므로 초기에 잡초 방
    제를 하지 못하면 방제하기가 어려움.
파종 후 토양처리제로 고시된 제초제는 없으며 잡초 2~3매 정도일 때 중기 제초제인 나브,
    원싸이드 유제 100~150㎖/10a 살포함.

바. 주요관리
      7~8월이 되면 경엽이 무성하고 꽃대가 올라와 개화 결실하게 되는데 채종할 것이 아니면
      7월 중순에 원줄기 꼭대기에서 30cm 정도만 남기어 1차로 잘라주고 8월 중, 하순 40cm만
      남기고 2차에 걸쳐 잘라주어 종자생산으로 인한 영양손실을 억제하여 도복피해를 방지하
      고 뿌리 발육이 잘 되도록 해줌.

4. 병해충 및 재해방지

가. 병해충 방제
1) 병해 : 갈색점무늬병, 탄저병, 흰가루병
2) 충해 : 거세미, 진딧물, 응애, 파밤나방
나. 재해방지
     습 해 : 장마철에 배수불량시 습해가 심함

5. 수확 및 건조

가. 수확시기 : 10월 하순~11월상순 잎이 누렇게 변하면 수확적기이고 수확된 뿌리는 흙을 완
     전히 제거한 다음 물로 깨끗이 세척함.
나. 수확방법 : 수확하기 전에 줄기를 20cm 정도만 남기고 자른 후 쇠스랑이나 삽으로 수확하
     거나 트랙터 부착용 다목적 수확기를 이용하여 굴취(堀取)함.
다. 건조방법
     수확후 6~9일정도 천일건조(자연건조)하거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60℃에서 열풍건조하며
     건조후 뿌리가 부러지지 않을 정도로 거의 다 말린 상태가 되면 뿌리를 간추려 묶어서 완전
     히 건조시켜 다발로 만들어 저장하거나 판매함

<개체>
<개화>
<군집>
<뿌리>

sub1_icon.gif

생산 및 유통

top.gif

1. 생산수급
 
 가. 국내생산 현황
구  분
’91
’92
’93
’94
’95
’96
’97
’98
’99
재배면적(ha)

 

0.3
0.5
0.7
3
5
10
5
20
생산량(M/T)

 

48
85
130
615
1,060
2,340
3,600
5,100
단수(kg/10a)

 

160
170
185
205
212
234
240
255

 2. 생산자 현황  
  

 가. 생산 및 수요자 단체
단  체  명
대 표 자
소 재 지
규 모(ha)
전   화
생약협회 경산공판장
배 성 한
경북 경산시 중앙동
6.7
053-815-0077
박 남 재
박 남 재
전남 해남군 해남읍 남동리
1
061-536-4620
별천지가든
연 만 근
전남 순천시 용당동 743-8
0.4
061-752-1630

 나. 가공 및 수출입 단체
단  체  명
대표자
소 재 지
가공내용
전   화
생약협회경산시공판장
배 성 한
경북 경산시 중앙동
가공, 판매
063-815-0077

sub1_icon.gif

연구관련 정보

top.gif

1. 관련 연구기관 및 전문가

기    관
전 문 가
주   소
전    화
농업기술원
김 명 석
전남 나주시 산포면 산제리 206-7
061-330-2664
경남농업기술원 함양약초시험장
장 계 현
경남 함양군 안의면 월림리 13-1
054-963-8783

2. 관련기관  

가. 국내      
     전남농업기술원 : http://www.jares.go.kr
     경남농업기술원 : http://www.knrda.go.kr      
     농촌진흥청 : http://www.rda.go.kr      
     농수산물유통공사 : http://www.afmc.co.kr
     농림부 : http://www.maf.go.kr
     농협중앙회 : http://www.nacf.co.kr      
     농림수산정보센타 : http;//www.affis.or.kr   
     작물과학원 : http://www.nces.go.kr  
     농업과학기술원 : http://www.niast.go.kr

    

3. 연구정보      

가. 관련서적
서    적
발행기관
발행년도
비    고
약용작물재배
향문사
1996
약용작물재배
약초재배
농촌진흥청
1994
표준영농교본

나. 연구논문(학위논문 등 주요논문)
핵 심 정 보
기   관

 

 

쇠무릎 재배법 확립연구
전남농업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1994~1999
김명석외5인
파종기별 흑색비닐피복이 쇠무릎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5(2) ; 91~94
    1997
김명석외6인
지상부 절단이 쇠무릎의 생육 및 뿌리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0(1) ; 45~49
    1997
장계현외1인
쇠무릎의 재식밀도가 생육특성 및 근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6(2) ; 137~141
    1998
김명석외6인
유기질 비종이 쇠무릎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6(2) ; 131~136
    1998
김명석외6인
쇠무릎의 파종방법에 따른 생육특성 및 근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발표요지7(1);46~47
    1999
김명석외7인
기내배양을 통한 쇠무릎의 대량증식과 achyranthes saponin의 생산
전남대학교
학사학위논문
    1999
김광수
황금,우슬 채종시기및 생력 채종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약용작물학회지
발표요지8(1);118~119
    2000
김명석외7인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약 재배  (0) 2006.08.22
결명자 재배  (0) 2006.08.22
배초향 재배  (0) 2006.08.22
지치 재배  (0) 2006.08.22
[스크랩] 큰앵초 - 우리 산야초 배우기  (0) 2006.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