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품종과 생리생태
1. 원산지와 내력
작약(학명 : paeonia
lactflora pall 영명: chinese paeony)은 미나리아 재배과의 내한성이 강한
숙근초로서 대륜의 결핍으로 향기가 강한 품종이 많으며 , 초장은 60~100cm정도이고 자연개화기는 5~6월이다. 겨울철의 저온다습에는 강하나
여름철의 고온, 건조에는 매우 약하다. 원산지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북부, 시베리아 남동부 등 한냉지이다. 작약속은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약
30종정도 분포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초본성으로 작약이라 하며 몇종이 목본성으로 모란(목단)이라 하며 뿌리는 약용으로 쓰고 있다. paeony는
그리스신화에서 이 식물을 최초로 약용으로서 이용한 paeon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2. 주요품종 특성
가. 형태적 분류
(1) 홑꽃
완전한 암수술이 있고, 꽃잎은 1렬이며, 꽃잎수와 모양은 품종에 따라 다르다.
(2) 금사(金絲)형
꽃잎은 홑꽃과 같고, 화사가 크다. 약(꽃밥)은 화분이 없지만
황금색으로 아름답고 암술은 퇴화되어 없다.
(3) 옹(翁)형
수술이 더욱 많이 꽃잎으로 변하여 바깥쪽 꽃잎과 비슷한 형으로 되며
꽃은 구형이 된다. 암술은 대부분 퇴화되어 있다.
(4) 관(갓) 형
수술이 많이 꽃잎으로 변하고 중앙의 꽃잎이 크다. 암술의 퇴하하여
없다.
(5) 공형
수술이 더욱 많이 꽃잎으로 변하여 바깥쪽 꽃잎과 비슷한 형으로 되며 꽃은
구형이 된다. 암술은 대부분 퇴화되어 있다.
(6) 반장미형
2개의 꽃이 겹쳐지고, 상단의 수술이 꽃잎으로 변하는 계통도 있다.
암술이 퇴화되어 없는 것이 많다.
(7) 장미형
반장미형의 수술이 꽃잎으로 되고, 암술도 대부분 퇴화한 화형, 3중화도 있다.
(8) 반겹꽃
꽃잎수가 많아진 것으로 완전한 암수술이 있다.
(9) 편편한 장미형
반겹꽃의 수술이 완전히 퇴화한 화형 암술은 퇴화하지 않은 것도 있다.
꽃은 편평형이다.
나. 일반적 분류
(1) 동양종
키는 40~60cm이며 줄기의 상부에서 분지하여 2~5개의 꽃을 피우고 꽃잎은
8장 이상이다. 꽃이 크고 홑꽃이 많으며 황금색의 수술이 발달되어 있으나, 신품종들은 겹꽃이 많고 향기가 짙으며 만생종이나 대체로 종자를 맺지
못한다. 서양종에 비해서 초세가 약하고 꽃이 적은 편이며 향기도 적다. ○ 안 돈 : 연분홍, 홍색화,
극조생 ○ 화향전 : 백색 품종 ○ 사쓰기 : 안쪽 꽃잎은 보라빛이 깃든 진분홍이고 바깥쪽
꽃잎은 연분홍, 조생종
(2) 서양종
줄기가 굵고, 꽃이 크고 선명하며, 방향성의 겹꽃으로 주로 절화용으로
이용한다. ○ 에듀리스 수퍼어 버어 : 대륜, 분홍색, 조생종 ○ 사라베르나르 :
대륜, 분홍색, 만생조생(萬生早生) ○ 라 탕드레스 : 순백, 중생 ○ 마샬 파일랜드 :
농적색, 대륜, 중생
(3) 화란종
조성 왜성종으로 키가 40~60cm로 약간 그늘진 곳을 좋아한다. 꽃색은 선명하나
토양조건이 나쁘면 개화율이 낮고 재배가 까다롭다. ○ 루브라프레나 : 진분홍색, 겹피기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음
○ 알보프레나 : 순백색, 겹피기 ○ 로제아 : 진분홍색, 겹피기
다. 재배특성과 품종
난지노지재배의 대표적인 품종은 5월, 농장, 라탕드레스, 마샬
파일랜드, 패스티바 맥시마, 사라베르나르 등이며, 앞으로는 시설에 의한 촉성~반촉성재배도 이루어질 전망이다. 고랭지 재배품종으로는 페스티바
맥시마, 마샬파일랜드, 라탕드레스, 5월, 사라베르나르, 칼로잔필드, 미스에크하르트, 농장 등이 있다. 품종을 선택할 때는 개화기의 조만성에
따라 선택하고, 백색 40%, 분홍색 40%, 적색 20%로 하는 것이 좋다. 촉성재배에 이용하는 품종은 잎이 작고, 꽃목이 짧아 잘 구부러지지
않고, 블라스팅이 적은 중생품종이 좋다. 옹형과 같이 꽃잎수가 적은 품종은 블라스팅 발생율이 낮지만, 관형, 반장미형과 같이 꽃잎이 약간 많은
품종은 관리에 주의하면 블라스팅을 방지할 수 있어 촉성재배에 이용할 수 있다. 품종으로는 사스키, 부사, 홍하, 홍신농, 라탕드레스,
사라베르나르 등이 좋다.
3. 생리생태
가. 형태적 특성
잎은 대형으로 호생하고, 보통 2회 3출 복엽으로서 작은 잎은 분열하여
전부 붙어있거나 갈라져 있다. 잎자루의 기부는 칼집모양으로 넓어져 있다. 꽃은 크고 홑꽃, 반겹꽃, 겹꽃이 있으며, 꽃받침은 5개이며, 꽃잎은
5또는 10개이다. 수술은 여러개이며 암술은 1~*개로서 꽃잎에 둘러싸여 있다.
나. 생육과 형태형성
겨울철의 저온다습에는 강하나 여름철의 고온, 건조에는 매우 약하다.
맹아는 비교적 빨라서, 품종에 따라서는 서리가 오는 시기에 맹아하며, 맹아시는 내한성이 매우 강하다. 맹아후 급속히 줄기가 신장하고 야간
10℃, 주간 25℃에서 환기하면 맹아 10일 후 절화장의 ½정도까지 자라며, 잎이 전개되고 출뢰하며, 봉오리는 개화직전까지 비대를 계속한다.
신아(新芽)는 개화 후 줄기기부에 형성되며 9월 상순경에 화아분화가 시작되고 12월 하순에 완료된다. 눈은
여러장의 인편엽에 싸여 월동하며 내한성이 강하여 -10℃이상에서도 월동한다. 지하부에는 굵은 뿌리가 몇 개 있으며, 가을에 신근이 발생하여
다음해 봄부터 여름까지 양분을 저장한다. 잎은 8월 하순경에 누렇게 변하지만 양분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줄기의 아래 부분에 여러개의 눈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신근이 발생하여 포기가 매년 커진다. 일반적으로 눈이 많은 품종은 줄기가 가늘다.
다. 휴면과 휴면타파
9월 상순부터 잎이 서서히 마르기 시작하여 휴면에 들어가고,
그후 저온을 받으면 휴면이 타파되어 봄에 기온이 상승하면 맹아한다. 휴면타파에 필요한 저온량은 0℃에서 조생종은 50일, 만생종은 60일
정도이며 저온량이 적으면 줄기자람이 나쁘고 블라인드나 블라스팅발생이 많아진다. 조기에 휴면을 타파하기 위해포기를 캐어 냉장할 ??의 냉장개시기는
10월 중순이후가 좋다.
라. 온도와 일장
중생종 라탕드레스 품종을 휴면타파 후 2월 중순부터 가온하면 야간온도가
높을수록 개화가 빨라진다. 자연일장에서 야간10~20℃로 가온하면 70일 후 개화하며, 5℃ 높아질수록 약 10일정도 개화가 빨라지나, 야온이
20℃가 되면 정상개화율이 낮아지고 고온장해가 발생하며 절화장도 짧아진다. 일장은 개화소요일수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단일에서는 정상개화율이 매우
낮아지고, 꽃잎이 충분히 전개하지 않으므로 전조를 해준다.
II. 재배방법
1. 육묘와 번식
가. 분주번식
분주 번식은 주로 정식 6~7년 후 눈이 많아져 포기가 커지거나
밀식으로 인해 화경이 약하게 되어 절화품질이 나빠지면 분주한다. 분주시기는 신근이 많아지기 전인 9월 중하순이 좋다. 모주는 품종이 확실하고
병해충에 감염되지 않은 충실한 것을 골라 잎이 마른 후 되도록 뿌리를 상하지 않도록 캔 다음 눈이 2~3개 달리도록 나누어 심는다. 정식 깊이는
눈이 지표면에서 3~5㎝깊이에 있도록 하고, 서리가 오기 전에 짚등으로 3㎝정도 피복한다. 2~3년 후에 본포에 정식한다.
나. 삽목
삽목시기는 개화 20일전이며, 삽수는 꽃봉오리를 따고 아래쪽
1~2마디에 잎을 붙여 퍼라이트에 삽목한 후 미스트하면 30일 후 발근된다. 삽목시나 삽목 30일전에 iba 100ppm을 살포하면 발근이
촉진된다. 가을에는 10℃정도 가온하면 눈형성율이 높아진다. 16개월 후면 뿌리무게 90g, 눈이 2.7개정도 된다.
다. 실생번식
종자번식은 꽃색이 매우 달라지므로 육종시에만 하며, 지온이
낮을 때 파종하면 다음해 발아가 되지 않으므로 8월경 종자가 성숙되었을 때 채종해 적어도 10월 중순까지에는 파종한다.
2. 재배방법
가. 포장준비
배수가 좋은 양토(다소의 사질, 점토질도 좋음)가 좋으며 한번 심으면 5~6년
재배하므로 거친 유기물을 3~4톤/10a넣고 심경한다. 토양선층, 날개무늬병의 피해를 받기 쉬우므로 반드시 토양소독을 하며 토양산도는 ph
6~7로 조정한다.
나. 시비
기비는 n-p2o5-k2o 삼요소를 각각 15㎏/10a씩
주고, 추비는 2년 차는 1년 차와 동일하게 주고, 3년째부터는 기비의 130%정도 준다. 시비는 싹이 나오기 전에 30%, 절화 10일 후에
50%, 9월 중하순 20%로 하며, 유기물은 피복을 겸하여 매년 2,000㎏/10a씩 준다.
다. 정식
정식적기는 9월중하순이며, 두둑넓이를 100~120㎝로 하고, 1줄
심기일 때는 포기사이를 50~70㎝로 하여 1,500~2,000주/10a를 심어 3년 후 포기가 겹칠 정도 되는 것이 좋다. 심는 깊이는 싹이
지표면으로부터 3~5㎝깊이에 있도록 하고, 뿌리사이에 흙을 채우고 충분히 간수한 다음 흙이 가라앉으면 복토한다. 정식전에 벤레이트 500배액에
10시간동안 담가 소독한다.
라. 멀칭 및 제거
토양이 건조하면 뿌리의 생육을 억제하고, 새로운 눈의 생육이 나빠져
화아분화도 나빠진다. 정식 1년 차는 뿌리가 얕게 있어 건조피해를 받기 쉬우므로 봄에 싹이 나오기 전에 흑색비닐을 피복한 다음 싹이 나오면
구멍을 뚫어준다. 냉해방지와 잡초방제를 위해 ?龐ㅐ犬?왕겨를 피복해도 좋다. 시설재배에서는 절화 종료 후 서서히 외기에 순화시키고, 서리의 해가
없어지는 5월 상·중순에 비닐을 제거한다.
마. 중경, 제초
유기질을 넣기 위해 중경할 경우, 그 시기는 절화 직후가 좋고, 뿌리가 잘리는
것(단근)을 막기 위해 얕게 한다. 제초는 수시로 하고, 초기방제를 철저히 한다.
바. 적뢰(꽃봉오리 따기)
정식 1년째에는 포기를 키우기 위해 적뢰하고, 2년차에는 주당 2~3본을
절화용으로 남기고 적뢰한다. 3년차부터는 상품성이 낮은 약하고 작은 줄기를 중심으로 1포기의 줄기 중 약25%정도 적뢰하여 초세를 유지해 준다.
절화용 줄기는 큰 봉오리를 남기고 측뢰를 제거한다.
3. 재배작형
가. 노지보통재배
서늘하며 봄부터 가을까지 지나치게 건조하지 않는 곳이 좋으며, 점질
토양에서는 생육은 보통이나 번식력이 약하고, 사질토양은 생육과 번식이 잘 된다. 정식은 9월중하순부터 10월 상순 무렵에 분주와 동시에 하는
것이 좋다. 첫 해째는 정식할 때 넣은 기비만으로도 개화가 되나, 개화후인 6월 상순에는 신근이나 싹이 충실하도록 복합비료를 70~80㎏/10a
시용한다. 병해가 발생되기 쉬우므로 가을에는 그해 자란 경엽을 모두 잘라내서 소각한다. 2년째부터는 봄 일찍 두둑의 한쪽을 파고 기비를 주는
것이 좋으며, 늦게 시비하면 꽃봉오리가 발육 도중에 검게 변하고 꽃이 피지 못하는 수가 있다.
나. 촉성재배
(1) 촉성무가온재배
1월 하순 이후 보온을 하여 동해를 막아준다. 엄동기에는 2~3중으로 피복하여
야간온도가 0℃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고, 주간에 고온이 되면 내한성이 약해지므로 25℃이상 되지 않도록 환기한다. 개화소요일수는 조생종 80일,
중생종은 90일 정도이다.
(2) 촉성가온재배
가온개시기는 조생종은 1월 상순, 중생종은 1월 하순으로 휴면이 거의 타파된
시기이다. 가온개시기에 갑자기 온도를 높이면 화아발달이 급격히 진행되어 블라인드가 되거나, 옹형, 관형품종은 수술이 꽃잎으로 변하지 않아
꽃잎수가 적어진다. 따라서 가온을 시작할 때는 야간 1℃, 주간 16℃로 하고 매일 1℃씩 올려 10일 후에 야간 10℃, 주간 25℃로 하면
조생종은 70일, 중생종은 80일 후 개화한다. 이때 일조가 부족하면 약해지고 도장하며, 줄기가 가늘어지므로 주의한다.
(3) 냉장촉성재배
분주 후 3~5년이 지난 포기를 가을~겨울에 캐어 0~2℃에 40일간 냉장한 후
정식하여 야간 최저 10~15℃, 주간 25℃로 가온하면 1월 하순부터 3월 중순까지 절화할 수 있다. 냉장개시기는 10월 중순~11월
하순이며, 주간온도가 높으면 회색곰팡이병이 많이 발생하므로 환기해 준다. 단일기에는 절화품질과 절화율이 나쁘게 되므로 8~9㎡에 100w백열등
1개씩 달아 심야 4시간 전등조명을 해준다.
(4) 억제재배
뿌리가 절단되지 않도록 캐고,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습기가 있는 톱밥이나 왕겨와
함께 비닐로 싸고 상자에 넣어 -2℃에 냉장한다. 순화 후 정식하면 여름에는 30~40일, 가을에는 40~50일 후 개화한다. 정식거리는
보통재배보다 짧게 하고, 여름에는 정식 후 왕겨를 덮고 한냉사를 피복한다.
4. 수확 및 출하
작약의 수확시기는 촉성재배 등 기온이 낮을 때에는 봉오리의 꽃잎이 보이기 시작할
때이며, 너무 일찍 자르면 꽃이 활짝 피지 못하게 된다. 수확적기를 보면 노지재배는 기온이 높을 때에는 봉오리가 착색되었을 때 절화한다.
겹꽃품종은 꽃잎이 피기 시작할 때, 다른 품종은 봉오리에서 꽃잎색이 보이기 시작할 때이다. 절화하면 즉시 물올림을 하고, 하엽을 제거한 후
초장, 봉오리의 크기, 착색정도 등 등급별로 선별하여, 10본을 1다발로 하여 출하한다. 선도유지를 위해 5~7℃에서 예냉하며, 2개월의
장기저장도 가능하다. 꽃을 뿌리 바로 위에서 자르면 새싹이 나오지 않거나, 다음해 생육이 매우 나빠지므로 장간성 품종(훼스티바마키시마 :
동양계)은 하엽이 남아 있도록 절화하고 안동 등과 같은 단간성 품종은 뿌리 부근에서 잘라내야 하나 다음해 포기를 위해 봉오리가 달린 것 모두를
절화하지 말고 튼튼한 것만 절화하여 출하하고 약한 가지는 남기도록 한다.
III. 생리장해와 병충해
1. 생리장해
가. 생리장해와 대책
(1) 생육기의 저온
맹아후 저온을 받으면 정상개화율이 낮아지고 줄기가 짧고 가늘어지고, 봉오리 발육이
정지되는 것이 많다. 0℃에 9시간, -2℃에 3시간 있으면 피해를 받으며, 봉오리가 나온 10일 후에 가장 많이 피해를 받는다. 저온피해를
받았을 경우에는 일출~저녁까지 한냉사를 피복하여 직사광선을 막아 주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비대가 나쁘고 정상적으로 개화하지 않으며, 수량이 적어지고 품질이 매우 나빠진다.
따라서 70%이상 정상개화 하려면 0℃ 960시간(40일), 0℃이하의 적산온도 870℃ 정도가 필요하고, 0℃에서 40일 냉장하면 자연상태보다
2주정도 개화가 촉진된다.
나. 생육기의 고온
맹아기에서 출뢰기까지 고온을
받으면 봉오리의 생육이 억제되어 정상 개화율이 낮아지고 줄기와 꽃목의 신장이 억제되므로 생육초기는 30℃이상 되지 않도록 하고, 특히 맹아기에는
25℃이하로 관리한다.
다. 순화, 흡수
이른봄에 포기를 캐어 냉장한 다음 정식하여 여름부터 가을에 출하하는 억제재배에서는 순화가
불충분하면 지하부의 발달이 늦어져 지상부의 생육이 억제되고 블라스팅이 많이 발생하므로 출고 후부터 약 10일정도 자연온도에 가깝게 두고 정식
전에 충분히 흡수시켜 지하부 발달을 좋게 한 후 정식한다.
라. 측뢰(곁봉오리)의 발달과 품질
시설재배에서는 측뢰(상부마디에 발생하는 봉오리)가 거의 발달하지 않거나
정지되는 경우가 있다. 그 원인은 측뢰의 화아분화, 발달이 중심화보다 늦어지고, 모주양성이 나쁘거나, 저온 요구량이 부족할 때, 급속한 가온
등이다. 측뢰의 발달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지만, 측뢰가 많이 발생하면 좋은 꽃이 핀다. 화란종은 정부에서만 화아분화 한다.
2. 병충해
작약의 병해는 오래 전부터 13종류 이상이 알려져 있지만 충해는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병으로는 보트리티스병과 선충에 의한 피해이다.
가. 보트리티스병(입고병, 잿빛곰팡이병)
봄에 새싹이 나와 갈색으로 되어 시들어 죽고 꽃봉오리가 보이기 시작할 때 꽃이 흑변하여
고사된다. 꽃잎에서 잎끝으로 갈색의 동심원상의 병반이 생기는데 주맥, 소엽병으로 병반이 퍼져 나간다. 특히 꽃잎의 피해가 가장 심한데, 병든
포기는 빨리 제거하고 새싹이 나오기 시작할 때부터 개화직전까지 트리아진, 만네브다이센, 오소사이드 등을 500~600배로 살포해 방제한다. 병든
꽃잎은 전염원이 되므로 절화하지 않은 꽃은 소각한다. 병원균은 흙 속에서 월동해서 다음해 발아하므로 발아전에 석회유황화제 200~300배액을
섞어 살포하도록 한다.
나. 엽반병(반점병, 그을음병)
개화기때 발생하여 8~9월 잎이 고사하기 전 가장 많이 발생하며, 잎에 원형의
흑갈색 윤문상 병반이 생기고 그 위에 검은 곰팡이가 발생한 후 말라죽는다. 병든 잎은 제거하고 발병기에 만네브 다이센 500~600배액을
살포하여 방제한다.
다. 아고병(芽姑病)
촉성재배와 같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기 쉽고 새싹이 자라기 시작할
때 병균이 침입해 갈색병반이 생겨 썩는다. 발아 초기부터 동수은제, 다이센 등을 살포해 방제하고 고온다습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라. 흰가루병
잎에 흰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생기며 심하면 잎이 퇴색한다. 가을에 많이 발생하며
주야간 온도차가 심하고 다습하면 발생하기 쉽다. 시설은 환기를 잘해주며, 샤프롤, 훼나리, 포리옥신, 지오판 등을 살포해 준다.
마. 선충
잎을 말라죽게 하는
엽고(葉枯)선충과 뿌리에 기생하는 뿌리혹선충이 있으며 뿌리혹선충의 피해가 크다. 뿌리혹선충이 많이 발생하면 정상개화율이 낮아지고 봉오리는 출뢰
직후의 크기대로 발육을 정지하며 대부분 수확할 수 없게 된다. 병이 발생한 밭은 정식 1개월 전에 d-d제 등으로 토양 소독한 후 정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