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재배기술 | ||||
![]() |
기관 : 강원도농업기술원 | ||||
![]() |
성명 : 서정식 | ||||
![]() |
전화 : 033-258-7901 | ||||
1. 재배적지 | |||||
깊은 산중의 음습하고 서늘한 반그늘에서 잘 자라므로 중북부지방의 산간지역에 가꾸는 것이 좋다. | |||||
2. 토질 | |||||
부식질이 많고 표토가 깊으며 습기가 적당한 사질양토가 알맞다. | |||||
3. 품종 | |||||
자생종에서 채종순화된 단일품종이다. | |||||
4. 번식 | |||||
종자와 묘두로 번식하나 묘두이식법은 종묘가 썩기 쉽고 대규모 재배가 어려워 주로 종자 번식한다. | |||||
5. 채종 | |||||
병충해 피해를 받지 않은 1~2년생 뿌리를 별도로 심어서 채종한다. 채종포는 서북향의 서늘한 산간지대로 통풍이 잘되고 반음지의 적습한 모래참흙이 좋다. 싹이 자라면 1.5~2m 되는 지주를 세워주어 개화, 결실이 잘되게 한다. | |||||
6. 육묘이식 재배 | |||||
가. 모기르기 | |||||
(1) 모판설치 | |||||
모판면적은 10a당 50~66㎡(15~20평) 정도로 하여 밑거름을 넣고 갈은
다음 서북향으로서 강풍이 불지 않는 적습한 모래찰흙을 선정한다. 파 종 기 : 봄 파종으로는 4월 상~중순에 하고 가을파종으로는 10월 하순~11월상순에 하는 것이 좋다. | |||||
(2) 종자처리 | |||||
종자를 40~50℃ 의 온수에 침종후 물이 식은 다음 붕대 주머니에 넣고 깨끗한 물로 씻은 다음 모래위에 놓고 3~4시간마다 한 번씩 15℃의 따뜻한 물을 준다. 약 4~5일 반복하면 종자가 싹이 튼다. | |||||
(3) 파종법 | |||||
흩어뿌림하거나 10~12㎝ 간격으로 골 을 차고 줄뿌림하고 부러운 흙으로 0.5~1㎝ 정도 복토한다. | |||||
(4) 파종량 | |||||
1ℓ/50㎡로 한다. | |||||
(5) 시비량 | |||||
밑거름으로 잘 썩은 퇴비 100㎏/50㎡, 용과린 10㎏/50㎡, 초목회 11㎏/50㎡ 정도를 고루 뿌리고 정지한다. | |||||
(6) 묘판관리 | |||||
봄파종하여 싹이 나온후 8월말까지 해가림을 해주는 것이 발육이 좋다. 건조하면 수시 관수해 주며 밀식된 곳은 솎아주고 수시로 제초한다. | |||||
나. 아주심기 | |||||
○ 정식기 : 가을에는 10월 하순~11월 상순, 봄에는 4월 중순~하순
사이에 묘를 캐어 대소로 선별한 후 정식 ..... 한다. ○ 시비량 : 10a당 퇴비 1,500㎏, 깻묵 112㎏, 용과린 37㎏, 염화가리 7㎏을 시용하고 웃거름으로 계분 120㎏을 ......준다. ○ 재식방법 : 1~1.2m의 두둑을 만들고 40×20㎝로 심은 다음 짚으로 덮어준다. | |||||
다. 주요관리 | |||||
○ 지주세우기 : 덩굴이 자라 엉키기 전에 1.5~2m의 지주를 설치하여
준다. ○ 배수 : 만삼은 습해에 약하여 뿌리가 썩기 쉬우므로 장마기에는 배수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 제초작업 : 품목고시된 제초제가 없으므로 생육초기 김매기를 한다. | |||||
참 고 문 헌 | |||||
강원도 농촌진흥원. 1995. 시험연구보고서.
|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하수오 재배기술 (0) | 2006.08.27 |
---|---|
홍화 재배기술 (0) | 2006.08.27 |
삼지구엽초 재배기술 (0) | 2006.08.27 |
[스크랩] 말굽버섯 (약용) (0) | 2006.08.27 |
[스크랩] ◈ 뇌를 맑게 하고 정신을 편안케 하는 버섯 - 복령(식약용) (0) | 2006.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