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만삼 재배기술

지리산자연인 2006. 8. 27. 22:38
 
  재배기술
 
기관 : 강원도농업기술원
 
성명 : 서정식
 
전화 : 033-258-7901
           
  1. 재배적지
    깊은 산중의 음습하고 서늘한 반그늘에서 잘 자라므로 중북부지방의 산간지역에 가꾸는 것이 좋다.
           
  2. 토질
    부식질이 많고 표토가 깊으며 습기가 적당한 사질양토가 알맞다.
           
  3. 품종
    자생종에서 채종순화된 단일품종이다.
           
  4. 번식
    종자와 묘두로 번식하나 묘두이식법은 종묘가 썩기 쉽고 대규모 재배가 어려워 주로 종자 번식한다.
           
  5. 채종
    병충해 피해를 받지 않은 1~2년생 뿌리를 별도로 심어서 채종한다. 채종포는 서북향의 서늘한 산간지대로 통풍이 잘되고 반음지의 적습한 모래참흙이 좋다. 싹이 자라면 1.5~2m 되는 지주를 세워주어 개화, 결실이 잘되게 한다.
           
  6. 육묘이식 재배
    가. 모기르기
      (1) 모판설치
        모판면적은 10a당 50~66㎡(15~20평) 정도로 하여 밑거름을 넣고 갈은 다음 서북향으로서 강풍이 불지 않는 적습한 모래찰흙을 선정한다.
파 종 기 : 봄 파종으로는 4월 상~중순에 하고 가을파종으로는 10월 하순~11월상순에 하는 것이 좋다.
           
      (2) 종자처리
        종자를 40~50℃ 의 온수에 침종후 물이 식은 다음 붕대 주머니에 넣고 깨끗한 물로 씻은 다음 모래위에 놓고 3~4시간마다 한 번씩 15℃의 따뜻한 물을 준다. 약 4~5일 반복하면 종자가 싹이 튼다.
           
      (3) 파종법
        흩어뿌림하거나 10~12㎝ 간격으로 골 을 차고 줄뿌림하고 부러운 흙으로 0.5~1㎝ 정도 복토한다.
           
      (4) 파종량
        1ℓ/50㎡로 한다.
           
      (5) 시비량
        밑거름으로 잘 썩은 퇴비 100㎏/50㎡, 용과린 10㎏/50㎡, 초목회 11㎏/50㎡ 정도를 고루 뿌리고 정지한다.
           
      (6) 묘판관리
        봄파종하여 싹이 나온후 8월말까지 해가림을 해주는 것이 발육이 좋다. 건조하면 수시 관수해 주며 밀식된 곳은 솎아주고 수시로 제초한다.
           
    나. 아주심기
      ○ 정식기 : 가을에는 10월 하순~11월 상순, 봄에는 4월 중순~하순 사이에 묘를 캐어 대소로 선별한 후 정식
..... 한다.
  ○ 시비량 : 10a당 퇴비 1,500㎏, 깻묵 112㎏, 용과린 37㎏, 염화가리 7㎏을 시용하고 웃거름으로 계분 120㎏을
......준다.
  ○ 재식방법 : 1~1.2m의 두둑을 만들고 40×20㎝로 심은 다음 짚으로 덮어준다.
           
    다. 주요관리
      ○ 지주세우기 : 덩굴이 자라 엉키기 전에 1.5~2m의 지주를 설치하여 준다.
  ○ 배수 : 만삼은 습해에 약하여 뿌리가 썩기 쉬우므로 장마기에는 배수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 제초작업 : 품목고시된 제초제가 없으므로 생육초기 김매기를 한다.
           
  참 고 문 헌
   
 

강원도 농촌진흥원. 1995. 시험연구보고서.
농촌진흥청. 1994. 약초재배(표준영농교본7).
이창복. 1982. 대한식물도감.
정보섭 외 2인. 1984. 원색 천연약물대사전.
정홍도. 1990. 주요 약용작물 재배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