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홍화 재배기술

지리산자연인 2006. 8. 27. 22:41
  재배기술
 
기관 : 경기도농업기술원
 
성명 : 최병렬
 
전화 : 031-229-5784
           
  1. 무피복재배
    가. 파종적기
      잇꽃은 옛날부터 우리 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봄과 가을파종이 가능하나 가을의 경우는 겨울을 나야 하기 때문에 일부 따뜻한 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방에서는 봄파종만 가능하다. 파종기에 대해서는 일본에서는 동북이북지방에서는 해빙직후인 4월하순, 우리 나라에서는 3월말부터 4월 하순까지로 알려져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봄파종시 파종적기를 알아보고자 해빙직후로 파종작업이 가능하였던 3월 20일부터 10일간격으로 4시기를 검토한 결과 일찍 파종할수록 싹이 트는데 걸리는 시간은 길었으나 생육기간이 길어져 생육이 왕성하였다.
  또한 개화도 2~6일 빨라 등숙기간이 많이 확보될뿐만 아니라 장마로 인한 수정 및 등숙장해 피해를 받지 않아 주당화두수, 화두당립수가 많고 백립중이 무겁고 등숙비율이 높아 10a당 수량이 4월 20일 파종 61.9kg에 비하여 3월 20일 파종시 39% 증수되어 잇꽃 파종은 해빙후 되도록 빠른 3월 20일경으로 나타났다.
           
    표 1. 파종기에 따른 생육 (경기 : 1990~1991)
   
파종기
(월.일)
출아일수
(일)
출아기
(월.일)
개화기
(월.일)
경 장
(cm)
분지장
(cm)
분지수
(개/주)
3.20
3.30
4.10
4.20
18
15
12
8
4. 7
4. 4
4.22
4.28
7.1
7.3
7.5
7.7
133
100
126
112
34.4
33.4
28.8
27.2
7.2
7.1
5.6
5.7
           
    표 2.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경기 : 1990~1991)
   
파종기
(월.일)
수확주수
(주/㎡)
주당화두수
(개/주)
화두당립수
(개/화두)
백립중
(g)
등숙비율
(%)
종실수량
(kg/10a)
지수
3.20
3.30
4.10
4.20
19.7
15.8
19.5
19.7
12.4
11.8
10.3
9. 5
21.0
19.0
18.2
16.7
3.46
70.0
86.0
139
3.41
68.0
72.8
118
3.38
65.1
68.4
111
3.32
61.9
61.9
100
           
    나. 재식밀도
      재식밀도는 조간거리를 30cm로 하고 주간거리를 10, 15, 20cm로 하여 주당 4~5립을 3월 20일에 파종한 후 4~5엽기에 주당 2본을 남겨 시험했다. 출아, 개화 및 성숙기는 주간거리간에 차이가 없었고 경직경은 주간거리가 넓을수록 굵어지는 경향으로 10a당 수량은 주간거리 20cm 170.3kg에 비하여 주간거리 15cm 5%, 주간거리 10cm 8%가 증수되어 적정재식거리는 배수로를 30m로 하고 70cm 파종상에 조간거리 30cm 주간거리 10cm로 파종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였다.
           
    표 3. 주간거리에 따른 생육 (경기 : 1993)
   
주간거리
(cm)
출아기
(월.일)
개화기
(월.일)
성숙기
(월.일)
경 장
(cm)
경직경
(mm)
10
15
20
4.13
4.13
4.13
6.23
6.23
6.23
7.22
7.22
7.22
76.4
71.7
73.8
7.0
7.1
7.6
           
    표 4. 주간거리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경기 : 1993)
   
주간거리
(cm)
수확주수
(주/㎡)
주당화두수
(개/주)
화두당립수
(개)
백립중
(g)
등숙비율
(%)
종실수량
(kg/10a)
지수
10
15
20
19.6
13.2
10.0
12.1
13.2
15.5
31.2
38.7
38.3
3.42
3.52
3.66
93.1
94.0
95.0
184.5
179.0
170.3
108
105
100
           
    다. 질소시비량
      질소를 무시용, 5, 10, 15, 20kg/10a, 인산-가리-퇴비는 10a당 7-7-1,000kg을 전량기비로 시용하여 시험한 결과 10a당 종실수량이 무시용 171.2kg에 비하여 질소 10kg 시비구에서 주당화두수, 등숙화두율, 화두당립수가 많아 10% 증수되었다.
           
    표 5. 질소시비량에 따른 생육 및 수량 (경기 : 1994~1995)
   
질소
시비량
(kg/10a)
개화기
(월.일)
성숙기
(월.일)
경장
(cm)
수확
주수
(주/㎡)
화두수
(개/주)
등숙
화두율
(%)
입수
(개/화두)
수량
(kg/10a)
지수
0
5
10
15
20
6.23
6.23
6.24
6.25
6.26
7.14
7.14
7.15
7.15
7.15
82
82
80
79
79
16.0
16.7
16.0
15.6
15.3
12.8
12.8
13.6
12.8
13.4
72
74
76
74
73
31.2
34.5
33.6
34.6
34.9
171.2
176.7
188.3
182.2
175.0
100
103
110
106
101
           
    라. 기계파종 기술
      파종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인력점파기, 경운기부착 세조파기, 트랙터부착세조파기로 10a당 종자 800g을 기계파종하여 관행 손파종과 비교한 결과 10a당 파종노력은 관행 780분에 비하여 인력점파기 92%, 경운기 94%, 트랙터 95%의 노력절감효과가 있었다. 또 입모본수와 출아기, 개화기, 경장 등의 생육도 큰 차이가 없었고 10a당 수량도 대차 없어 손파종보다 기계파종이 일손이 덜 드는 방법이다.
           
    표 6. 기계파종에 따른 노력절감과 수량 (경기 : 1995)
   
구분 입모본수
(개/㎡)
㎡당화두수 종실수량
(kg/10a)
지수 파종시간
(분/10a)
노력절감률
(%)
관행(손파종)
인력점파기파종
경운기파종
트랙터파종
38
41
38
39
231
228
216
217
187.7
189.0
187.0
188.7
100
101
100
101
780
59
43
39
-
92
94
95
           
    마. 홍화와 홍화자실 수확적기
      홍화는 명도가 그리 낮지 않고 황색보다는 등홍색이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개화후 일수가 지남에 따라 명도는 낮아져 탁해지며 노란색은 감소하고 빨간색이 증가하다가 채취하지 않으면 검붉은색으로 변하여 마르다가 썩어 없어져 적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다. 홍화 수확시기를 개화성기후 2일, 4일, 6일로 하여 홍화(마른 것)의 수량 및 품질을 조사했다.
  건홍화 수량 및 명도, 황색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적색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으로 10a당 건홍화 수량이 개화후 2일(28.1kg/10a)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고 품질도 개화 6일에 비하여 차이가 작았던 개화후 4~5일경으로 판단되었다. 또 홍화채취는 종실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7. 수확기에 따른 홍화(꽃잎)수량과 종실수량 (경기 : 1992)
   
수확시기
(개화성기후 일수)
건홍화수량
(kg/10a)
품 질 종실수량
명도
(L)
적색도
(a)
황색도
(b)
색차
(△E ab)
kg/10a 지수
무 수 확
2
4

6

-
28.1
26.0

24.9

-
21.48
20.01

19.49

-
6.05
8.09

8.48

-
9.62
7.71

6.87

-
-
3.07
(2일-4일)
4.17
(2일-6일)
304

307
307
304

100

101
101
100

           
      또한 종실수확시기에 따른 10a당 수량은 개화후 10일(285kg)에 비하여 100립중의 증가로 개화후 20일경이 15% 증가되어 적정 수확시기였다.
           
    표 8. 수확시기에 따른 종실수량 (경기 : 1992)
   
수확시기
(개화후일수)
화두당립수
(개)
등숙비율
(%)
백립중
(g)
종실수량 지수
10
15
20
25
38.8
39.4
39.0
40.0
90
91
92
91
3.9
4.1
4.3
4.2
285
301
328
306
100
106
115
107
           
  2. 비닐피복 재배
    가. 피복재배 효과
      잇꽃재배에서 비닐피복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무피복과 투명비닐피복 재배로 나누어 비교시험을 했다. 싹이 트는 시기 및 초기 생육기간인 3월 25일부터 4월 15일까지의 지온은 비닐피복이 1.7~3.9℃ 높은 경향이었고, 토양수분은 무피복은 강우에 의해 크게 달라져 변화폭이 13.5~20.3%로 건조, 과습조건으로 변화가 있었으나 비닐피복시는 15.9~17.8%로 변화폭이 적어 보습효과가 나타났다.
           
    표 9. 피복재료에 따른 지온 및 토양수분함량의 변화 (경기 : 1993)
   
구 분 피복재료 조 사 일(월.일)
3.25 4.7 4.15 4.27
지온(℃) 무 피 복
비닐피복
5.1  
8.9  
5.7
9.6
.7.5
11.3
12.1
13.8
토양수분
(%)
무 피 복
비닐피복
17.7   
16.4   
5.9
17.1  
13.5
15.9
20.3
17.8
           
      또한 비닐피복재배시 무피복에 비하여 싹은 3일 일찍 나오고 꽃은 2일 일찍 피었다. 생육은 비닐피복에 의한 초기 보습 및 지온상승으로 줄기길이는 6.4cm 분지장은 4.5cm 분지수는 1.1개 증가하여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10a당 수량도 주당 화두수가 1.5개, 화두당립수 4.0개, 백립중이 0.15g, 등숙비율이 1% 증가하여 무피복 177.9kg 비하여 20% 증수되어 비닐피복재배가 유리하였다.
           
    표 10. 비닐피복재배에 의한 생육 (경기 : 1993)
   
피복재료 출아기
(월.일)
개화기
(월.일)
줄기길이
(cm)
분지장
(cm)
분지수
(개/주)
무 피 복
비닐피복
4.13
4.10
6.23
6.21
74.0
83.6
26.6
30.1
6.9
8.0
           
    표 11. 비닐피복과 무피복 재배에 따른 수량 (경기 : 1993)
   
피복재료 수확주수
(주/㎡)
주당화두수(개) 화두당립수(개) 백립중
(g)
등숙비율
(%)
종실수량
(kg/10a)
지수
무 피 복
비닐피복
14.3
13.5
13.6
15.1
36.1
40.1
3.53
3.68
94.0
95.0
177.9
212.8
100
120
           
    나. 재식밀도
      비닐피복 재배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피복에 비하여 생육이 촉진되어 적정 재식밀도가 다르다. 따라서 적정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배수로를 30cm, 70cm 파종상을 작성한 후 조간을 30cm로 고정하고 주간거리를 10, 15, 20cm로 하여 시험한 결과 재식거리(주간거리)간에 출아기와 개화기는 차이가 없었으며, 주간거리가 짧을수록 경장은 길고 분지장 및 분지수, 화두수, 입수, 백립중는 감소하였으나 수확주수는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10a당 종실수량은 주간거리 15cm에서 220.7kg으로 가장 증수되어 비닐피복재배시는 참깨 비닐피복재배와 유사하게 1m 이랑에 (배수로 30+파종상 70cm)에 줄간을 30cm 2열로 주간거리를 15cm(13,300주/10a)로 파종하는 것이 유리하다.
           
    표 12. 비닐피복재배시 주간거리에 따른 생육 (경기 : 1993)
   
주간거리
(cm)
출아기
(월.일)
개화기
(월.일)
줄기길이
(cm)
분지장
(cm)
분지수
(개/주)
경직경
(mm)
10
15
20
4.10
4.10
4.10
6.21
6.21
6.21
86.1
82.3
82.4
28.7
31.3
30.3
6.6
8.1
9.2
7.5
8.5
8.7
           
    표 13. 비닐피복재배시 주간거리에 따른 수량성 (경기 : 1993)
   
주간거리
(cm)
수확주수
(주/㎡)
주당화두수(개) 화두당립수(개) 백립중
(g)
등숙비율
(%)
종실수량
(kg/10a)
지수
10
15
20
18.0
13.1
9.9
11.6
13.1
16.3
37.5
40.8
42.7
3.54
3.70
3.79
94.1
95.0
96.0
212.8
220.7
204.9
104
108
100
           
    다. 질소시비량
      10a당 질소를 0, 5, 10, 15, 20kg을 시용하고 1m이랑에(배수로30+파종상 70cm)에 30cm 2열로 주간거리는 15cm, 1주 2본으로 재배하여 인산-가리-퇴비 7-7-1,000kg를 전량 기비로 시용하여 질소시비적량 시험을 실시한 결과 질소시비량은 개화에 큰 영향이 없었으나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지수는 0.2~2.0개 많아지고 분지장은 1~10cm 길고 지상부 건물중은 20~104g/m2정도 증가하여 생육이 왕성해지는 경향이었다. 또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주당화두수는 0.2~2.0개 100립중은 0.05~0.15g 증가하였으나 유효화두율은 92~95%, 화두당립수는 37.3~40.5개로 시비량간에 대차 없었으나 20kg시용시 유효화두율 89%, 화두당 립수는 36.4개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종실수량은 질소 15kg/10a 시용시 10a당 194kg으로 가장 높았다.
           
    표 14. 비닐피복시 질소시비량에 따른 생육 (경기 : 1994~1995)
   
시비량
(kg/10a)
개화기
(월.일)
분지수
(개/주)
분지장
(cm)
지상부건물중
(g/㎡)
0
5
10
15
20
6.22
6.22
6.21
6.21
6.22
15.0
15.2
16.6
16.4
17.0
29
30
31
33
39
893
949
913
962
997
           
    표 15. 비닐피복시 질소시비량 따른 수량 (경기 : 1994~1995)
   
시비량
(kg/10a)
주당화두수(개) 유효화두율
(%)
화두당립수(개) 등숙비율
(%)
백립중
(g)
종실수량
(kg/10a)
지수
0
5
10
15
20
17.0
17.2
18.0
18.4
19.0
95
94
92
95
89
39.7
40.5
37.3
40.1
36.4
84
85
85
85
86
3.40
3.45
3.50
3.53
3.55
179.8
184.0
188.7
193.9
184.2
100
102
105
108
102
           
    표 16. 잇꽃(홍화) 재배법 요약
   
구분 파종기 시비량(kg/10a)
N-P-K-퇴비
재식밀도
(cm)
파종방법
무피복 해빙직후
(중부 지방은
3월20일경)
10-7-7-1,000 배수로 : 30
파종상 : 70
   줄간 : 30
   주간 : 10
   (1주2본)
손파종(주당 4~5립)
(인력점파기, 경운기,
트랙터 이용 기계파종시
-파종량 : 800/10a
-입모본수:40주/m2내외)
비닐피복
(투명비닐)
무피복과
동일
15-7-7-1,000 무피복과 동일
단, 주간 : 15
(1주 2본)
손파종
(주당 4~5립)
           
   
구 분 솎음방법 수 확 기 기 타
홍화 종실
무피복
  - 시 기 : 본엽 4매
               전개시
  - 중경배토실시
개화

4일경
개화
성기후
20일경
° 지주설치 :
개화전(5월말~6월초)
° 종실수확:
-예취 : 낫 또는 바인더
-탈곡 : 손 또는 탈곡기
비닐피복
(투명비닐)
  - 무피복과 동일 단
    파공구는 흙으로
    막아 비닐피복내
    잡초발생 방지
           
  참 고 문 헌
   
 

강승원 외. 1995. 잇꽃의 파종기와 재식밀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약 작지3(3) : 200-206.
경기도농업기술원. 1998. 농사시험연구보고서-잇꽃(홍화) 우량품종 육성 : 119-121.
최병렬 외. 1996. 잇꽃(홍화) 종실 수확을 위한 PE피복재배시 질소시비적량. 경기 농업연구 8 : 53-56.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신 재배 기술  (0) 2006.08.27
백하수오 재배기술  (0) 2006.08.27
만삼 재배기술  (0) 2006.08.27
삼지구엽초 재배기술  (0) 2006.08.27
[스크랩] 말굽버섯 (약용)  (0) 2006.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