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일반특성 및 재배기술 |
|
|
기관 : 전북농업기술원 |
|
성명 : 김동원 |
|
전화 : 063-833-2011 |
|
|
|
|
|
|
|
|
1. 일반특성 |
|
○ 식물명 : 족두리풀 ○ 학명 :
Asarum Sieboldii MIQUEL. ○ 생약명 : 세신 ○
이명 : 만병초, 세삼, 족두리, 놋동이풀, 독엽초, 세신, 소신 |
|
|
|
|
|
|
|
|
가. 분포 및 형태 |
|
|
|
(1) 형태 |
|
|
|
다년생 초본식물이며 근경은 마디가 많으며 육질이고 매운맛이 있으며 원줄기
끝에서 2개의 잎이 마주나와 퍼지고 대생한 것처럼 보이며 높이는 15cm 안팎이다. 잎은 심장형 또는 신장상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깊은 심장형이며 너비는 5~10cm이다. 꽃은 4~5월에 검은 홍자색으로 피며 잎이 나오는 시기에 잎줄기 사이에서 1개씩 나오며 지름은
10~15mm로서 5~6월에 여문다. |
|
|
|
|
|
|
|
|
|
(2) 분포 |
|
|
|
우리나라 남부지방, 중부지방, 북부지방 산지의 음습지역, 중국, 일본에
분포. |
|
|
|
|
|
|
|
|
|
|
|
|
개체 |
포장전경 |
이용부위(자생종7년, 재배종5년산) |
|
|
|
|
|
|
화기 |
종자 |
재배년차별
생육 | |
|
|
|
그림 1. 세신의 형태 |
|
|
|
|
|
|
|
|
나. 성분, 이용 및 품질기준 |
|
|
|
(1) 성분 |
|
|
|
methyleugenol, safrole, eucarvone,
elemicin, higenamine, asarinin, 및 γ-asarone 등 |
|
|
|
|
|
|
|
|
|
(2) 용도 |
|
|
|
관절염, 근육통, 감기, 천식성기관지염, 백일해, 두통, 신경통등에 이용
|
|
|
|
|
|
|
|
|
|
(3) 효능 |
|
|
|
진해, 진통, 이뇨, 진정, 발한, 거담 |
|
|
|
|
|
|
|
|
|
(4) 품질기준 (약전, 생약규격집) |
|
|
|
순도시험은 잎 및 엽병 등의 지상부가 1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된다.
○ 이물 : 이약은 지상부이외의 이물이 1.0% 이상 섞여있어서는 안된다. ○ 회분 :
10%이하 정유함량 ○ 지상부 : 이약 : 0.6㎖이상(30.0g)
○ 등급 : 양품 이약은 지상부가 적고 맛이 매운것이어야 한다. |
|
|
|
|
|
|
|
2. 생산기술 |
|
|
가. 재배환경 및 적지선택 |
|
|
|
(1) 기후 |
|
|
|
세신은 차고 서늘한 기후에서 잘자라고 내한성이 강하다. 7~8월의 평균기온이
20~22℃ 중북부 산간음습로 연강우량 700~1000mm의 습윤이 일정한 지역이 적지이며, 세신의 생장은 반음지에서 생육이 좋다.
|
|
|
|
|
|
|
|
|
|
(2) 토양 |
|
|
|
토양은 부식질이 많이 함유된 사질양토으로 깊고 수분유지가 잘되는 곳으로 토심이
깊고 수분유지가 잘되는 곳이다. 토양산도는 중성 및 미산성이 좋다. |
|
|
|
|
|
|
|
|
나. 품종 |
|
|
민족두리풀(Asarum sieboklii MIQ.)은
중부지방에 분포하며 수림하에서 잘 자란다. 원줄기 끝에서 1~2개의 잎이 나와 재생한 것처럼 보인다. 잎은 심장형 또는 신장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깊은 심장형이며 나비 5~10cm로 표면은 녹색이다. 꽃은 10~15cm로 검은 흑자색으로 피고 꽃받침은 반구형으로 안쪽에
줄이 있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져서 펴지며 열편은 삼각형 비슷한 난형으로서 흔히 끝부분이 뒤로 말린다.
족두리풀(Asarum sieboldii MIZ. var seoulense
MAKAI)은 민족두리풀과 비슷하나 엽병과 엽에 세모가 있다. 개족두리풀(Asarum
maculatum NAKAI)은 한라산과 완도의 숲 속에서 자생한다. 족두리풀과 비슷하지만 잎이 더 두껍고 무늬가 있는 것이 다르다.
근경은 비스듬히 자라며 근경 끝에서 1~2개의 잎이 나온다. 잎은 털이 없고 심장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며 심장저이고 짙은 녹색에 백색 무늬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에 털이 약간 있는 것도 있고 엽병의 길이는 2.5~13cm이다. 화경은 엽병보다 짧으며 꽃은 흑자색이고 5~6월에
핀다. |
|
|
|
|
|
|
|
|
다. 번식방법 |
|
|
|
(1) 종자채종 |
|
|
|
과실의 성숙기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발아율에 영향이 크다. 채종시기는 완숙기와
과숙기가 좋으며, 과실을 채종후 1~2일정도 상온에서 보관후 과실이 연화되면 과피를 제거한다. |
|
|
|
|
|
|
|
|
|
(2) 종자번식 |
|
|
|
채종종자는 맑은물에 종자를 담그어 세척하고 즉시 파종하면 발아율이 높다.
모래와 혼합하여 습식처리후 4℃에서 90일 저온처리후 GA₃처리농도 5~100㎎/ℓ 에서 발아율이 향상되며 출현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발아
적정온도는 15~20℃ 이다. |
|
|
|
|
|
|
|
|
|
(3) 근경삽번식 |
|
|
|
근경번식은 3월과 10월에 뿌리를 분주하거나 6월에 줄기를 2~3절씩 잘라서
묘상에 이식후 다음해의 봄에 포장정식한다. 근경번식시 발근률을 높이기 위하여 IBA 100ppm에 2분 침지후 삽식하면 발근률을 90%이상
높일수 있다. |
|
|
|
|
|
|
|
|
라. 식재방법 |
|
|
|
(1) 직파재배 |
|
|
|
포장준비는 약산성 토양에 부식질이 많은 토양이 재배적지이며 포장 경운전
활엽수가 섞인 부엽300kg와 계분100kg/10a을 혼합하여 완전히 부숙시킨 부엽토을 고루 뿌린후 2~3회 심경한다. 두둑을 80cm로 만들어
조간 25cm, 주간15~20cm로 5~6립씩 파종한다. 파종후 침엽수+활엽수낙엽을 5cm 피복 하여준다. |
|
|
|
|
|
|
|
|
|
(2) 이식재배 |
|
|
|
육묘포장은 부식질이 많은 흑색 사질양토가 좋으며, 두둑넓이는 100cm,
높이는 10~15cm로 하여 종자 심는 거리는 3~4cm 간격으로 파종하고, 파종후 부식토양을 2~3cm 두께로 덮고 칩엽이나 활엽수 낙엽을
3cm 정도 피복한다. 종자 소요량은 10a당 1.5~2kg 필요하다. 본포장 정식의 포장준비는 부식질이 많고 읍습한 포장에 경운하기전 10a당
유기물을 활엽수낙엽 300kg, 계분 100kg을 포장 전면에 고루 뿌린후 토양살충제를 10a당 3kg을 살포하고 경운 로타리한다. 두둑넓이는
80cm, 높이는 10~20cm, 이랑사이를 30cm로 구각을 만든다. 묘정식의 정식시기는 육묘후 익년 3~4월이나
8~9월에 실시하고, 조간 30cm, 주간 20cm로 1주 2본씩 정식후 낙엽을 5cm정도 피복하여 준다. |
|
|
|
|
|
|
|
|
|
표 1. 유기물 종류별 생육 및 수량 |
|
|
|
유기물 종류 |
초장 (㎝) |
엽장 (㎝) |
엽수 (개/주) |
근장 (㎝) |
근중 (g/주) |
건근수량 (㎏/10a) |
침엽수 침엽+활엽 침엽+유박 침엽+계분 활엽+계분 한약부산물 퇴비+바이오콤 |
29.1 31.3 30.8 31.5 28.1 34.6 29.9 |
12.8 9.8 9.4 10.8 10.2 12.9 12.5 |
13 13 13 14 14 12 13 |
39.1 38.4 39.4 39.6 48.6 40.2 41.2 |
100.4 120.5 169.6 171.5 174.6 137.3 133.4 |
414 493 605 608 711 581 540 | |
|
|
|
주) * kg당 가격 : 10,000원 - 한국생약협회 |
|
|
|
|
|
|
|
|
|
표 2. 피복재료별 생육 및 수량 |
|
|
|
피복재료 |
초장 (㎝) |
엽장 (㎝) |
엽수 (개/주) |
근장 (㎝) |
근중 (g/주) |
건근수량 (㎏/10a) |
낙엽 볏짚 흑색비닐 배색비닐 투명비닐 |
36.1 31.1 28.5 27.7 28.2 |
13.2 11.0 8.3 8.7 9.0 |
13 12 11 11 11 |
39.9 39.4 37.0 37.5 37.6 |
160.2 142.4 71.4 73.3 74.7 |
590 527 279 275 288 | |
|
|
|
|
|
|
|
|
|
표 3. 재배년차별 생육 및 수량 |
|
|
|
재배년차 |
초장 (㎝) |
엽장 (㎝) |
근장 (㎝) |
생근중 (g/주) |
건근중 (g/주) |
정유함량 (%) |
수량 (㎏/10a) |
1 2 3 4 5 |
.7.0 .8.1 15.5 24.3 25.3 |
1.2 3.3 10.7 10.9 10.9 |
9.6 12.4 21.6 27.6 38.4 |
0.1 7.9 18.2 48.2 110.5 |
0.05 2.7 7.0 23.1 50.2 |
- - 5.0 4.5 4.3 |
3 49 127 370 456 | |
|
|
|
|
|
|
|
|
|
표 4. 경제성 분석 |
|
|
|
연차별 |
건근수량 (㎏/10a) |
경제성(원/10a) |
지수 (%) |
조수입 |
경영비 |
소득 |
3년 4년 5년 |
127 370 456 |
1,270,000 3,760,000 5,928,000 |
796,500 986,500 1,171,500 |
473,500 2,713,500 4,756,500 |
100 574 1,005 | |
|
|
|
주) * 가격 : 3, 4년생은 중품가격(10,000원/kg), 5년생은
상품가격(13,000원/kg)임 |
|
|
|
|
|
|
|
|
마. 포장관리 |
|
|
|
(1) 차광처리 |
|
|
|
음습지역이 적지이나 해발이 낮거나 음지가 없는 포장은 5월상순~10월중순까지
중산간부 50%, 평야부 75% 차광처리를한다. |
|
|
|
|
|
|
|
|
|
(2) 피복효과 |
|
|
|
정식후 낙엽이나 볏짚을 5cm 정도 피복하므로서 토양의 물리성을 좋게하고
보습효과를 높여 수량증수를 가져온다. |
|
|
|
|
|
|
|
|
|
(3) 추비시용 |
|
|
|
다년생작물이므로 정식후 2년부터 잎이 출현하기 시작하는 3~4월에 완숙된
부엽토를 10a당 200kg~300kg을 시용하고 작물생육과 포장여건에 따라 잎이 전개후 인산, 칼슘을 추가로 30~60kg/10a를 준다.
|
|
|
|
|
|
|
|
|
바. 병해충 방제 |
|
|
|
(1) 충해 |
|
|
|
세신은 다른작물과 달리 충발생은 심하지 않으나 달팽이류 종류인 민달팽이,
명주달팽이가 잎이나 생장부, 꼬투리등을 가해한다. 제방제는 달팽이약인 메타알데히드입제(나메톡스), 토양살충제 모캡을 10a당 4.5kg을
2~3회 토양표면에 살포하여 준다. 경종적 방제는 세신 지상부잎의 고사시기인 11월경 피복물을 제거하여 월동을 하기위해 피복물속에 숨어있는
달팽이와 함께 소각한다. |
|
|
|
|
|
|
|
|
|
(2) 병해 |
|
|
|
세신에 주로 발생하는 병해는 균핵병으로 이른봄부터 발생하여 성장기까지 균일하게
발생한다. 방제법은 생장기에 광을 적당히 조절하고 생석회를 시용하며, 약제로는 벤레이트티로 방제한다. |
|
|
|
|
|
|
|
|
사. 수확 및 가공 |
|
|
|
(1) 수확 |
|
|
|
세신은 유묘이식후 3~5년에 수확하고 직파의 경우 5~6년 재배후 수확해야
상품성 및 수량을 높일 수 있다. 수확시기는 5~7월에 수확하는 것이 수량성을 높일 수 있으나 약효성분을 높이고자 할 때에는 9월중순경 수확하는
것이 좋다. 10a당 생산량은 정식후 5년재배시 600~1,000kg이 생산된다. |
|
|
|
|
|
|
|
|
|
(2) 가공 |
|
|
|
세신을 수확한후 뿌리부분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바람이 잘통하는 음지에서 말리거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40℃에서 서서히 말린후 비닐로 포장하여 습기가 없는곳에 보관한다. |
|
|
|
|
|
|
|
3. 수출입 현황 |
|
|
|
|
|
|
|
표 5. 세신의 수출입 현황 |
|
구분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수입량(M/T) 수출량(M/T) 수입액(천$) 수출액(천$) |
50 13 328 272 |
258 10 1,225 225 |
89 23 386 502 |
154 30 699 664 |
137 23.8 525 536 |
218 38.6 835 801 |
276 21 1,194 473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