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잔대 재배

지리산자연인 2006. 8. 27. 22:46
       
  임간재배를 위한 재식방법
 
기관 : 전북농업기술원
 
성명 : 임주락
 
전화 : 063-433-7452
           
  1. 임간재배 시험지 환경
    잔대의 임간재배 적정 재식방법 구명을 위해 1996년부터 시험을 수행하였고, 재배지는 임간재배지(침엽수림, 활엽수림)와 일반재배지(대조구)로 나누어 시험지 환경 조건을 조사하였으며, 4월 중순경에 낙엽을 걷어내고 잔대를 파종 및 이식한 다음 다시 낙엽을 덮어주었으며, 일체의 관리를 하지않고 산지 자연상태 그대로 방치한 후 활착률 및 생육상황을 조사하였다.
           
    가. 지형 및 식생
      잔대 시험재배지 환경을 보면 침엽수림은 낙엽송 아래 거의 잡목이 없었고, 입목수는 평당 0.9주 정도였으며, 고도는 350~360m, 경사는 30도 정도로 경사져 있고, 토양은 토심 20~30cm로 심토는 사양토, 표토는 양토로 이루어져 있었고, 차광정도는 88.5%였다. 활엽수림은 갈참나무, 졸참나무와 기타 잡목이 우거져 있었고, 토양은 침엽수림과 비슷하였고, 입목수는 평당 0.8주, 고도는 350~360m, 차광정도는 91.1%였다.
           
    표 1. 재배지별 시험지 환경
   
구분 식생 입목도 고도
(m)
경사범위
( ˚)
토양형 토심
(cm)
차광정도
(%)
활엽수림

침엽수림
대조구
갈참나무

낙엽송
-
8

9
0
350~360


303
30


평지
심토:사양토
표토:양토

사양토
20~30


30~40
91.1

88.5
  0.0
    주) * 입목도 : 0~10으로 구분(10=3,000본/ha)
           
    나. 임간재배지 토양 특성
      시험장소별 토양분석 결과 임간의 경우 침엽수림과, 활엽수림간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일반 재배지에 비해 pH가 낮은 산성토양으로, 칼슘(Ca)함량이 적고, 특히 유효인산함량이 크게 부족하였다. 그러나, 유기물 및 칼륨(K)함량은 오히려 임간에서 상당히 높았다.
           
    표 2. 재배지별 시험전 토양분석
   
구분 pH
(1:5)
유기물
(%)
치환성염기(me/100g) 유효인산
(mg/ℓ)
CaO MgO K2O
활엽수림
침엽수림
대조구
일반기준
4.8
4.5
6.3
6.5
6.2
5.1
2.6
3.0
1.1
1.4
1.9
6.0
2.5
2.6
2.6
2.0
0.3
0.3
0.2
0.4
10.3
..9.8
205.2
200.0
           
  2. 재식방법별 생육상황
    가. 재배지별 활착률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잔대의 재식방법별 활착률 변화는 직파재배의 경우 파종당년에 발아는 잘되었으나 이듬해에는 활착을 하지 못하고 완전히 없어져 버렸다. 이것은 임간에서 수광상태 불량으로 인하여 출아후 정상생육을 못하고 도중에 자연고사한 것으로 생각되며, 반대로 이식재배의 경우는 임간에서 일반재배지보다 오히려 활착률이 더 좋았고, 침엽수림보다 활엽수림하에서 활착률이 떨어지는데 이는 활엽수림하에서 낙엽이 쌓이는 양이 많아 식물체가 도장하면서 생육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그림 1. 재배지별 활착률의 경시적 변화
           
    나. 재식방법별 생육상황
      생육상황은 직파재배시 파종당년에 임간에서 일반재배지에 비해 생육이 크게 뒤지고, 이듬해에는 활착을 하지 못해 거의 조사가 불가하였으며, 이식재배에서는 역시 일반재배지에 비해 생육이 저조하지만 점차 약간씩 뿌리비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초장, 엽장, 엽폭 등 지상부의 생육도 해가 지날수록 커지는 경향이다. 따라서 임간에서 4~5년정도 재배할 경우 어느정도 수량이 확보될 것이라고 판단되며, 또한 약효성분이 우수한 품질의 잔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표 3. 직파재배시 생육상황
   
구 분 초장
(cm)
경태
(mm)
엽장
(cm)
엽폭
(cm)
근장
(cm)
근태
(mm)
생근중
(g/주)
1996 침엽
활엽
대조
3.3
3.8
7.2
0.4
0.5
1.5
0.4
0.9
4.2
0.7
1.2
6.8
4.3
4.3
12.4  
0.9
0.7
8.5
0.1
0.1
4.6
1997 침엽
활엽
대조
-
-
109.7  
-
-
7.5
-
-
8.4
-
-
2.1
-
-
11.5  
-
-
16.8  
-
-
16.4  
1998 침엽
활엽
대조
-
-
171.5  
-
-
6.3
-
-
9.9
-
-
3.6
-
-
19.2
-
-
22.3 
-
-
33.3  
           
    표 4. 이식재배시 생육상황
   
구 분 초장
(cm)
경태
(mm)
엽장
(cm)
엽폭
(cm)
근장
(cm)
근태
(mm)
생근중
(g/주)
1996 침엽
활엽
대조
8.4
9.2
13.5  
-
-
-
4.0
3.9
7.1
4.9
4.8
9.4
9.4
8.2
16.6  
3.9
3.7
9.8
1.0
0.8
10.5 
1997 침엽
활엽
대조
30.9
28.7
115.1  
-
-
-
3.8
3.0
9.6
7.4
6.5
2.8
9.0
9.6
20.4  
4.2
4.6
17.9  
1.1
1.2
23.6 
1998 침엽
활엽
대조
71.5
65.7
118.5  
3.6
3.1
6.9
8.5
7.5
11.5 
3.4
3.6
3.3
11.3  
7.1
20.6  
7.1
8.0
27.5  
2.0
1.4
46.6 
           
  참 고 문 헌
   
  김재길 외. 1992. 최신 약용식물재배학. 남산당.
남기열 외. 1980. 인삼의 임간재배가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 지 4(1) : 15-30.
농림부. 1998. 인삼 임간 청정재배 경영모델 개발. 임업연구원.
산림청. 2000. 임산 약용자원을 활용한 농산촌지역 소득증대 방안 연구.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초석잠 - 석잠풀,파킨슨병에 좋은약초  (0) 2006.08.29
비단풀  (0) 2006.08.28
세신 재배 기술  (0) 2006.08.27
백하수오 재배기술  (0) 2006.08.27
홍화 재배기술  (0) 2006.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