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남 씨
![]() 배양센터 전경 |
![]() 재배사 전경 |
연초에 회원들에게 약속하였던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의 최중남 씨 느타리 봉지재배농가를 탐방하였다.
최중남 씨는 버섯재배 경력이 약 20년이다. 1983년 지신의 논에서 생산한 볏짚으로 느타리 균상재배를 시작한 이래 버섯 재배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느타리 폐면재배, 팽이 병버섯재배, 표고 톱밥봉지재배 등 새로운 버섯의 재배는 한번씩 다 거쳤고 지금은 느타리 봉지재배 방식으로 재배하고 있다.
보유하고 있는 시설은 소형 배합기 1대, 사각봉지 입봉기 1대, 고압 살균솥 1대, 냉각실 겸 접종실 1방과 배양실 2방(50평)이 있으며
생육실은 별도로 패널재배사 10동(50평형)이 있다.
최중남 씨의 봉지재배 방식을 따라가 보자.
![]() [사진1]소형배합기 |
최중남 씨 말로는 약 70% 정도일 것이라 한다. 배합기 1회 분량으로 만들 수 있는 사각봉지배지는 입봉하는 배지의 양에 따라 다르나 1봉에 1.2㎏[사진 2]을 기준으로 할 때 약 400봉지를 만든다.
![]() [사진 2]1,2kg사각봉지배지 |
![]() [사진 3]입봉기 |
입봉기[사진 3]는 한번에 사각봉지 2개를 만든다. 사각의 크기는 가로×세로=20㎝×14㎝이다. 비닐봉지에 넣는 배지의 양은 재배자의 재배
취향에 따라 배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800g에서 2.5㎏까지 다양하게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봉지 [사진 4]의
마개는 지름 5㎝의 플라스틱 마개를 사용하며 마개 안에는 부직포가 들어 있어 각종 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한다. 한 달 작업량은 하루에 400개씩
약 20일 정도 생산한다. 매일 생산할 수도, 하루에 2번 작업할 수도 있으나 절대 무리하지 않고 여유를 갖고 작업을 하고 있다. 한 달의 전체
배지 생산량은 약 8,000봉지이다. 이전에는 봉지를 근처 농가에 분양도 하였으나 지금은 모두 자신의 재배사에서 버섯을 생산한다.
![]() [사진 4]배양완료된 배지 |
![]() [사진 5]환풍기 |
입봉 완료된 배지는 100℃ 이하로 8시간 정도 상압살균을 시킨다. 살균한 배지는 바로 냉각실로 옮겨진다. 물론 크린부스도 보유하고 있지만 바로 냉각실에서 수동으로 종균을 접종한다. 냉각실에는 헤파필터를 장착한 환풍기[사진 5]를 설치하여 양압을 유지하고 있다. 접종하는 품종은 대체로 수한, 청풍, 춘추 등이다.
![]() [사진 6]배양실 |
![]() [사진 7]생육실 |
접종 배지는 곧바로 배양실[사진 6]로 옮겨 품종에 따라 약 20∼25일 배양한다. 배양실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봉지 제조 작업이 계속되면
후배양은 생육실[사진 7]을 이용하기도 한다. 10동의 재배사는 모두 수막 시설을 갖추고 있다. 배양이 끝난 배지는 바로 발이시켜 버섯을
생산한다. 50평 재배사 1동에 사각 봉지배지를 1,000∼1,200봉지 입상할 수 있다. [사진 8]

[그림 8]재배사 내부
중요한 것은 버섯의 봉지당 생산량이다. 최중남 씨는 1.2㎏ 봉지배지를 기준으로 볼 때 상품가치가 있는 버섯을 약 500g을 생산한다. 이
생산량은 1개당 실제 무게를 달아서 통계를 낸 수치가 아니고 1동을 기준으로 할 때 수확한 최소한의 수치라고 한다. 그러므로 1동당
1,000봉지를 입상하여 1주기에 300㎏ 2주기에 200㎏ 합계500㎏ 수확한다는 것이다. 배지의 최소 회수율은 41.7%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800∼900g 원통봉지배지에서 300∼350g을 생산하는 것과 비교할 때 비슷한 회수율을 보이고 있다.
![]() 1주기 발이중인 수한느타리 |
![]() 2주기 청풍느타리 |
생산한 버섯은 인근의 마켓에 ㎏당 평균 4,000원씩 직거래하고 남는 것은 경매시장에 출하한다. 연간 수익은 경영하기에 따라서 다르므로 여기서는 논하지 않기로 한다. 지금까지 많은 실패도 겪고 성공도 했지만 최중남 씨가 현재의 봉지재배방식을 앞으로도 계속 유지하겠다는 것은 결국 이 봉지재배 방식이 자신에게 적합하다는 판단이며 이 방식으로 성공적인 버섯농사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표현이다.
그러므로 어떤 재배방식을 선택하든지 그것은 버섯재배자 본인의 자유이다. 그러나 최중남씨가 하고 있는 사각봉지재배든지 아니면 원통봉지재배든지 또는 1주기 수확용이든지, 여러 주기 수확용이든지 현재 봉지재배 방식이 전국적으로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버섯산업의 흐름이라고 볼 수 있다.
최중남 씨는 버섯재배를 서두르지 않고 여유를 가지고 재배하고 있다. 현재의 시설은 많은 부분 정부의 보조를 받아서 시설하였기 때문에 버섯경영에 무리가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모든 시설을 본인의 자금을 투자하여 버섯을 재배해서 그 투자비를 다 회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말한다.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차가버섯 복용법 (0) | 2006.12.24 |
---|---|
[스크랩] Re:버섯(기르기 설명서) (0) | 2006.12.14 |
동충하초 (0) | 2006.10.31 |
종균의 제조 (0) | 2006.10.31 |
배양기제조 (0) | 2006.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