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두릅 재배기술
1. 분포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일명 땅두릅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해발 1,500m까지의 산야, 계곡, 산기슭 등에 군락을 이루어 자생하며, 일본, 중국, 동아시아의 온대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초장은
1.5 ~ 2.0m이상 자라고 줄기에 갈색 털이 많이 발생하고 잎은 난형의 소엽으로 된 재우상복엽으로 마디마다 호생하며 잎자루가 있다.
8~9월에 줄기끝에 산형화서로 많은 꽃이 원추형으로 피는데 엷은 녹색이며 열매는 검고 그속에 작은 씨앗이 몇개 들어 있다. 2. 용도 가. 식용 : 독활은 다른 산채와 달리 생채로도 먹을수 있고 삶아서 무침, 부침, 튀김, 절임 등으로 이용하며 염장하면 장기저장도
가능하다. (표1) 땅두릅의 영양가(가식부 100g당) |
구분 |
수분 |
탄수화물(g) |
단백질 |
회분 |
칼슘 |
인 |
철 |
비타민 | |
당질 |
섬유 | ||||||||
땅두릅 |
95.4 |
3.0 |
0.5 |
0.7 |
0.4 |
9 |
24 |
0.1 |
0 |
나. 약용 : 잎, 줄기, 뿌리 등에 들어있는 주요성분은 Aralin, Areloside A.B, Oloanalic, Saponin,
Coumarin-6, Aldehyde Angelical, 그리고 소량의 정유와 Phytosterol 등이 들어 있으며, 뿌리는 진통, 부종,
두통, 치통, 수족불수, 혈관확장, 혈압강화등의 효과가 있어 한약재로 이용된다. 3. 재배환경 초세가 강하여 물빠짐이 좋은 땅에서는 어디서나 잘 자라지만 좋은 품질과 많은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유기질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이
적지이다. 4. 재배기술 가. 번식방법 1) 종자번식 : 10월 하순경 종자를 채종하여 상온 또는 땅속에 묻어 보관한다. 독활은 발아억제물질로 인해 발아율이 떨어지므로 파종전에
흐르는 물에 일주일 정도 담근후 4℃에서 30일 저온처리후 파종하면 발아율을 높일수 있다. 파종상은 이랑너비 1.2m에 줄뿌림이나 흩어뿌림을
한다. 흙을 덮은후 건조하지 않도록 볏짚이나 왕겨를 덮어준다. 발아온도는 15~20℃이며 발아소요기간은 3~4주정도 걸리며 본잎이 2~3매정도
나오면 20~25cm간격으로 이식하여 가을까지 비배관리하면 2년째는 연화촉성용으로 쓸수 있다. 종자번식은 일시에 대량의 묘를 얻을수 있으나
포기의 양성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 단점이다. (표2) 독활종자의 휴면타파를 위한 저온처리 기간 및 생장조정제 효과 |
저온처리일수 |
온도처리별 발아율(%) |
G A (ppm) | |||||
15'C |
20'C |
25'C |
30'C |
20 |
50 |
100 | |
30일 |
66(27) |
64(15) |
63(23) |
55(15) |
44(22) |
39(22) |
44(20) |
60일 |
49(32) |
36(33) |
46(26) |
52(14) |
21(24) |
37(22) |
34(22) |
90일 |
70(32) |
40(32) |
42(23) |
11(12) |
28(14) |
12(16) |
32(12) |
* ( )는 발아소요일수 2) 포기나누기 : 포기나누기는 가장 확실한 번식법으로 3~4월경에 3~5년 정도 묵은 모주를 뿌리는 약재로 이용하고 뿌리 일부를 붙인
싹을 2~4개로 하여 묘두로 활용한다. 3) 꺽꽂이 번식 : 6월 중순경 새로 돋아나는 줄기를 15cm정도로 잘라서 순을 없앤 다음 루톤이나 IBA 1,000~2,000배액에
30초간 처리하여 깨끗한 강모래나 Vermiculite에 꺽꽂이를 하고 시원한 그늘에 두고 비닐터널을 설치해 준다. 나. 종자 및 종묘 준비 종자 또는 묘두로 번식하며 때로 꺽꽂이 번식도 하지만 주로 묘두 분주법으로 한다. 10a당 종묘 소요량은 재배형에 따라 2,500 ~ 8,000주가 소요되며 종자는 발아력이 약하기 때문에 10a당 2ℓ정도가 소요된다. 4. 포장정식 포기나누기나 육묘된 묘를 3월 중하순경 해동 후 빨리 정식한다. 시비량은 다비성으로 품질이 우수한 땅두릅이나 독활 뿌리를 수확하려면 많은
유기물이 소요된다. 밑거름은 밭갈기 전에 전량시용하고 웃거름은 2~3회로 6~7월에 준다. (표 3) 땅두릅 시비수준별 생육 및 수량('94) |
시비량(kg/10a) |
조장 |
엽수 |
경경 |
경장 |
경수 |
수량 |
지수 |
17-9-17 |
30.7 |
3.5 |
16.6 |
7.3 |
3.0 |
354 |
100 |
22-12-22 |
31.4 |
3.5 |
16.4 |
7.2 |
5.0 |
354 |
100 |
27-15-27 |
32.8 |
3.6 |
15.3 |
7.6 |
4.4 |
464 |
131 |
32-18-32 |
30.1 |
3.7 |
15.9 |
8.3 |
5.2 |
419 |
118 |
5. 재배작형 가. 노지재배 노지재배는 보온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이른 봄 새싹이 나오면 흙을 성토하여 재배하는 방법과 그 위에 터널을 설치하여 4월 중순부터 수확한다. 노지재배는 용도에 따라 녹채 및 백채를 이용하는 채소형, 지상부는 수확하지 않고 뿌리만 이용하는 약재형, 채소와 약재로 이용하는 복합형으로 나누며, 재식밀도는 채소형 60×30cm, 약재형 90×60cm, 복합형 75×15cm로 정식하는 것이 적당하다. (표 4) 용도별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및 수량('94) |
구분 |
재식거리 |
초장 |
엽수 |
경경 |
경수 |
경장 |
생채수량 |
건근중 |
채소형 |
90 * 90 |
26.5 |
4.2 |
19.8 |
6.2 |
16.3 |
267 |
923 |
60 * 50 |
23.6 |
3.5 |
17.5 |
4.6 |
15.0 |
564 |
444 | |
60 * 40 |
23.8 |
3.2 |
16.1 |
3.8 |
14.5 |
636 |
319 | |
60 * 30 |
24.1 |
3.1 |
15.4 |
3.7 |
13.6 |
613 |
170 | |
60 * 20 |
22.8 |
3.1 |
14.9 |
3.2 |
14.1 |
725 |
214 | |
약재형 |
90 * 90 |
20.6 |
3.3 |
16.3 |
4.9 |
4.5 |
124 |
1,100 |
90 * 75 |
16.8 |
3.2 |
13.7 |
4.5 |
3.5 |
107 |
566 | |
90 * 60 |
17.3 |
3.3 |
13.3 |
4.3 |
3.8 |
132 |
533 | |
90 * 45 |
16.5 |
3.1 |
12.9 |
3.5 |
4.0 |
149 |
403 | |
90 * 30 |
16.7 |
3.1 |
11.9 |
3.2 |
3.5 |
153 |
325 | |
복합형 |
90 * 90 |
22.5 |
3.5 |
20.2 |
5.7 |
13.0 |
250 |
1,063 |
90 * 60 |
20.2 |
3.5 |
20.8 |
5.0 |
12.1 |
425 |
681 | |
90 * 45 |
20.2 |
3.8 |
20.6 |
4.3 |
11.4 |
479 |
441 | |
90 * 30 |
22.1 |
3.7 |
19.8 |
3.9 |
12.4 |
485 |
485 | |
90 * 15 |
18.1 |
3.3 |
18.2 |
3.7 |
11.6 |
598 |
372 |
독활의 어린 순은 저온에 약하므로 왕겨나 볏짚을 피복하여 주면 고품질을 생산할 수 있고 저온피해도 줄일수 있다. 나. 촉성연화재배 노지에서 새로 나온 싹을 채취하면 짧아서 상품가치가 떨어지므로 흙을 성토 하거나 왕겨
(그림 1) 연화재배시 피복방법에 따른 수량('93) 30cm + 비니터널, 부직포를 피복하면 줄기가 연하고 연화장이 긴 우수한 상품을 만들수 있다. 이때 GA 10ppm용액을 포기당
200cc정도 뿌려주면 더욱 생육이 촉진된다. 하우스에서 촉성재배하여 겨울에 출하할때에는 가을에 서리를 맞힌 뒤 지상부를 10cm정도 남기고
자른 뒤 캐내어 휴면을 타파시킨 후 전열선을 설치한 하우스에 정식한다. 뿌리의 밑쪽은 고온에 약하므로 싹트기까지는 25℃로 하고 싹이 튼 후는
20℃로 낮춘다. 고온에서 썩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수로서 온도를 조절하고, 촉성재배는 밀식하는 것이 좋으며 정식후 50~60일 이면 수확할수
있다. 6. 수확 독활은 재배목적에 따라 수확하는 부분이 각각 다른데 채소용으로 재배시에는 연화재배와 녹채재배로 구분된다. 연화재배는 피복물 위로 새순이 2
~ 3cm정도 보일때 피복물을 제거하고 밑부분을 칼로 잘라 수확하며 녹채는 새싹이 9 ~ 12cm 정도롤 잎이 전개된 후 경화되기 전에
수확한다. 수확된 땅두릅은 크기별로 분류하여 포장 출하한다. 뿌리를 약근으로 쓸때에는 3 ~ 4년마다 전포기를 캐내어 굵은 약뿌리를 잘라내고
어미포기를 분주하여 포장에 정식한다. [참고문헌] 식품성분표(제4개정판), 농촌영양개선연수원 산채류 재배 (표준영농교본-60), 농촌진흥청 식용산채 생산론. 박철호,이기철. 선진문화사 농사시험 연구보고서. 1993~1994, 경북농촌진흥원 |
문의사항이 있으면 저에게 연락 바랍니다. |
|
690-170 제주시 연동 313-80 TEL. 064-741-6532 FAX.
064-747-3171 |
'나무들 > 순채취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죽나무 (0) | 2006.02.26 |
---|---|
[스크랩] 가죽나무에 대해,, (0) | 2006.02.26 |
가죽나무 (0) | 2006.02.03 |
두릅 재배기술 (0) | 2006.01.22 |
[스크랩] 천연식품으로 각광받는 음나무순 (0) | 200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