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나무 :::벌나무(산청목)에 대하여::: <민속의학자 인산 김일훈선생의 의학서 "신약" 내용> 벌나무는 생기(生氣)와 길기(吉氣)를 주재하는 세성(歲星)의 별정기를 응하여 화생(化生)한 물체이므로 벌나무가 있는 곳에는 늘 세성의 푸른 기운이 왕래한다. 간암, 간경화, 간옹, 간위, 백혈병 등 일체의 간병에 .. 나무들/약용나무 2006.01.16
구기자 옛날부터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일컬어지는 구기자는 일찍이 진시황도 복 용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옛날장수하는 가문이 있어 비결을 알아본 즉 구기 자 뿌리가 우물속까지 뻗어 그 물을 마셨기 때문이라는 전설이 있다. 또 중국 노나라의 한 관리가 민정을 살피던중 젊은이가 회초리로 한 노인 의 종.. 나무들/약용나무 2006.01.15
두충 [약용식물](7)두충 한약이라면 일반적으로 인삼, 녹용 등을 떠올리는데 이들 약재처럼 뛰어 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오랜 옛날부터 각광을 받아온 한약재로 두충이 있 다. 이 두충은 중국에서는 인삼보다 귀했기 때문에 「환상의 약초」로 불렸으 며 선목(仙木)으로 알려져 왔다. 중국 고대 야사에는 두.. 나무들/약용나무 2006.01.15
[스크랩] 초피와 산초 구별법 초피와 산초의 구별 1. 산초와 초피를 쉽게 구분하는 법은 "산호초대"를 외우면 됩니다. 산초는 가시가 호생(어긋나기)하고 초피는 가시가 대생(마주나기)하니까요. 따라서 가시만 잘 보면 산초와 초피는 구분이 쉬울듯. 2. 초피의 잎은 소엽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산초잎은 소엽에 잔거치가 있는것.. 나무들/나무 2006.01.13
나무재배법 모음 --> 나무재배법 서해로 (sing115) 05.06.16 10:35 * 나무명을 클릭하시면 해당 나무의 재배법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유실수 화목류 관상조경수 약용/특용수 사과나무 배나무 복숭아나무 포도나무 매실나무 자두나무 감나무(단감) 모과나무 살구나무 양다래(키위) 호두나무 앵두(양앵두) 무화과나무 산수유 유자.. 나무들/나무 2006.01.13
노박덩굴 류머티스 관절통, 요통, 근골통 ,생리통,고혈압, 저혈압, 동맥경화,중풍에는 노박덩굴 열매 2005/11/27 오후 6:59 | ●한우리 건강● 류머티스 관절통, 요통, 근골통 ,생리통, 고혈압, 저혈압, 동맥경화,중풍에는 노박덩굴 열매 노박덩굴은 화살나무과에 딸린 잎 지는 덩굴성 떨기나무로 줄기와 뿌리, 열매, .. 나무들/약용나무 2006.01.13
산초나무 산초나무 가꾸기 조회 (399) 즐거운 시골 생활 | 2005/12/14 (수) 13:38 공감 (0) 스크랩 (1) 회원님들! 안녕하십니까! 땅이 꽁꽁 얼어갑니다. 벌써 한해를 마무리해야 할 시간이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회원님들도 얼마 남지 않은 2005년도를 잘 정리하시길 바라면서 다가올 2006년도에도 행복하길 기대합니다. 이.. 나무들/유실수 2006.01.11
[스크랩] 천연식품으로 각광받는 음나무순 천연식품으로 각광받는 음나무순 글ㆍ사진 / 천상배(경북 상주시 만산동) 기능성 꿀을 생산하는 음나무꽃 식용가능한 어린잎 약재로 이용되는 수피 음나무 새순 음나무 포지 종자 파종 묘목 뿌리 삽목 어린 음나무 어른나무로 자란 음나무 새순 생산을 위한 재배 방법 전국의 산야에 분포하며 계곡 부.. 나무들/순채취용 2006.01.11
[스크랩] 으름덩굴(목통)에 대하여 으름덩쿨(목통) 으름덩굴은 손바닥을 편 듯한 다섯 장의 잎모양이 아름답고 사랑스러우며 은은한 흰빛으로 피는 꽃도 보기에 좋고 가을에 바나나 모양으로 익는 열매도 인상적이다.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의 산속 숲속이나 개울가에서 흔히 자라며 한자로는 목통이라고 쓴다. 으름은 이 덩굴에 달리는 열매를 가리키는 말이다. 으름은 육질의 삭과로 과육이 달고 부드러워 입안에 넣으며 살살 녹아 버리는 것이 마치 아이스크림 같다. 그러나 씨가 너무 많아서 과실로 쓸 수 없는 것이 흠이다. 시골에서는 머루, 다래와 함께 산과일로 중요하게 여긴다. 제주도에서는 으름을 유름, 졸갱이줄, 목통어름이라고 하여 말이나 소를 몰고 산에 갔다가 으름을 발견하면 덜 익은 것일지라도 따서 보리항아리 속에 며칠 넣어 두어 딱딱하던 과육이 .. 나무들/유실수 2006.01.09